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불그스름한 네모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허블우주망원경의 뛰어난 해상력 덕분에
지구
에서 2천3백광년이나 떨어진 이 천체가 실제 사각형이 아니라 전체적으로 X자 모양임이 드러난 것이다.수백년마다 탑의 한단씩 형성돼성경에 따르면 대홍수가 휩쓸고 지나간 후 노아의 자손들은 바빌론에 도시를 ... ...
자존심의 승리인가, 무모한 도박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소련이었다. 이 날 소련에서는 우주 비행사 유리 가가린이 우주선 보스토크 1호를 타고
지구
궤도를 선회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결과적으로 미국은 소련에게 두번이나 패배한 셈이었다. 당시 존 F. 케네디 미 대통령은 모든 측면에서 미국과 소련이 힘의 균형을 이뤄야 세계 질서가 유지된다고 ... ...
공동실험 연구의 새 패러다임 원격실험시스템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단위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이 박사는
지구
와 사과의 크기를 비교해 이해를 도왔다.
지구
의 지름을 1m라고 생각할 때 사과의 지름은 1nm 가량 된다.학생들이 나노 세계에 흥미를 보이자 이 박사는 이날 사용된 주사전자현미경에 대해 간단히 설명했다. 주사전자현미경은 전자가 물체의 표면과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지구
기후의 실제 데이터와 잘 들어 맞는다. 흥미로운 점은 현재
지구
가 더워지고 있지만
지구
의 운동에 의한 예측은 이미 빙하기로 다시 접어들고 있다는 것이다. 언젠가는 상승곡선이 꺾일 것으로 전망된다 ... ...
숲에서 배우는 느림과 비움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현재는 25%만 존재한다는 게 전 교수의 설명이다. 산불과 솔잎혹파리로 인한 피해에
지구
온난화와 기타 다양한 환경재해로 생겨난 피해까지 겹쳐, 이런 추세라면 50년 이내에 남한에서 소나무가 사라질 것이라고 한다.그래서 한편으로는 가능한 모든 보존활동을 펴면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소나무 ... ...
페름기 대멸종 일으킨 충돌분화구 호주서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분화구 생성연대는 대멸종과 비슷한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에 해당한다고 밝혔다.
지구
상에서는 백악기 말기인 6천5백만년 전 공룡 멸종 등 지금까지 모두 5차례의 대규모 멸종이 있었다. 페름기 멸종 때는 해양생물종의 90%, 육상생물종의 80%가 사라져 규모가 가장 컸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이번 ... ...
HOT ISSUE 1. 특명 '아인슈타인의 우주를 검증하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넣듯이 4차례에 걸쳐 납 상자를 교체했다.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중력탐사B는
지구
를 거의 완전한 원궤도로 돈다. 중력탐사B는 더이상 완벽할 수 없을 정도로 만들어진 것이다.중력탐사B가 완성되는데 1백여명의 박사가 배출됐다고 한다. 또한 노벨물리학상 수상자는 물론 하버드대, ... ...
불과 얼음의 운무, 벌레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역동적인 모습이 담긴 사진이 공개됐다. 남쪽 하늘 전갈자리에 위치한 벌레성운은
지구
에서 대략 4천광년 떨어져 있다.성운의 화려한 운무는 수명이 다해가는 별이 내뿜는 가스와 먼지가 빛을 산란시켜 연출된 것이다. 나비가 연상되는 벌레성운의 나비 몸통에 해당하는 곳에 죽어가는 별이 있다. 이 ... ...
태양계 밖 행성 첫 촬영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포착했다”고 말했다.그러나 이번 관측이 1백% 확실한 것은 아니다. 진짜 행성이 아니라
지구
에서 볼 때 우연히 백색왜성과 같은 각도에 위치해 있는 더 먼 곳의 별이나 은하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연구자들은 수개월 뒤 이들 천체를 다시 관측할 예정이다. 이 대상이 진짜 행성이라면 공전으로 인해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차이가 커서 극지방은 적도에 비해 약 35% 정도 적다. 이런 불균형은 대기와 해양의
지구
적 규모의 대순환에 의해 균형을 되찾고 있다. 덕분에 인류는 생존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해양은 대기보다 3배 이상 열을 극지방으로 이동시킨다. 해양이 기후조절자로서 주목받는 이유가 바로 이 ... ...
이전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