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공진은 무서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마이크로파 공진을 이용해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기술도 현재 활발히 개발 중이다.
지금
까지 공진에 대한 오해와 실제에 대해 살펴봤다. 잘못된 사실이 퍼져 위험성이 과장된 면도 있지만, 정확히 알고 잘 이용하면 공진은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 수 있다. 어설프게 두려워하기보다는 이 기회에 ... ...
우주에서 가장 어두운 행성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연구팀이 지구에서 718광년 거리에 있는 용자리의 별 GSC-03549-02811에서 발견한 행성은
지금
까지 발견된 어떤 행성보다 어둡다.TrES-2b라 불리는 이 행성은 크기가 목성과 비슷하며, 가스로 이뤄졌다. 모항성으로부터 불과 500만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 온도가 1000℃에 달한다. 온도가 높아 빛을 반사할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를 바탕으로 달의 탄생을 이론적으로 설명하는 방법을 상당히 많이 개발했다. 하지만
지금
까지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관측 증거와 실제 증거가 필요하다. 인간은 아직 달 뒷면의 월석도 가져오지 못했다.사람들은 가장 가까운 천체로 인간이 유일하게 발을 디뎌본 달에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미래형 스튜디오를 구축하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해리포터’를 예로 들어보자.
지금
은 영화 속 인물들이 마법을 사용할 때 ‘마법을 쓰는 척’ 연기한 뒤 CG로 특수효과를 입힌다. 그러나 특수 스튜디오를 사용하면 배우의 눈에 마법이 ‘실제로 보인다’. 이 스튜디오에서 배우들은 진짜로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낚시로 잡는 것. 짱뚱어는 이 지역 식당에서 반찬으로 나올 정도로 흔한 식재료지만,
지금
은 소비가 줄면서 전통 낚시마저 대가 끊길 위기에 처했다. 다행히 일본에서 이름난 ‘짱뚱어 낚시 명인’인 오카모토 씨가 올해 4월 전통낚시 체험 관광을 개발했고, 덕분에 대를 이을 후계자도 생겼다.이 ... ...
1981년 마틴 에번스 교수의 생쥐 배아줄기세포 확립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배아암종세포의 경우 핵형이 비정상인 반면 배아에서 확립한 세포는 정상이기 때문이다.
지금
생각해보면 에번스 교수가 논문을 쓸 때 배아줄기(embryonic stem, 줄여서 ES)세포라는 쉽고 명쾌한 용어를 생각해내지 못한 게 다소 의아하다.에번스 교수는 이렇게 확립된 배아줄기세포에서 유전자를 ... ...
스마트 그리드와 함께 멋진 인생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하고 있는 이유 역시 전력시스템 연구실에서 배운 유연한 사고 덕분이다. 우리 연구실은
지금
도 1년에 한번 이상은 지도교수와 연구원들이 모두 가족 동반으로 졸업생 모임을 하고 있다. 학문적 탐구 외에도 멋진 인생을 배우고 싶은 패기 넘치는 젊은 후배들의 동참을 기대해본다 ... ...
세계에서 가장 밝은 빛 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모른다. 김기정 빔라인부연구원은 “완성된 뒤 실제로 빔라인에서 연구를 하다 보면
지금
은 상상하지 못했던 새로운 연구를 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경험이 축적되면 새로운 응용 연구 분야가 개척될 것이라는 예상이다. 가속기 자체의 운영과 최적화에 대한 지식도 물론 축적될 것이다 ... ...
목소리 크면 주던 점수, 이젠 정밀 채점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놀라운 변화를 겪었다. 앞으로도 과학기술의 발달에 따라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다.
지금
은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스트리밍서비스 받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아마도 머지않아 반주기의 스트리밍서비스도 본격화돼 언제 어디서든 최신곡을 바로 즐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안전을 위해 작업복의 색채 가이드라인을 개발한 박혜원 창원대 의류학과 교수를 만났다.
지금
까지 작업복의 기능에 대한 연구는 있었지만, 색채를 이용해 안전성을 높인 연구는 드물었다. 박 교수는 근무지 근처에 있는 산업단지에서 착안해 지난 15년간 의복 디자인의 공공성에 대한 연구를 해왔다 ... ...
이전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