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날
오늘
현세
요즈음
최신
최근
d라이브러리
"
지금
"(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월하정인’에 뜬 눈썹 달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볼 수 있다.][파리 근교 오베르 쉬르 우와즈에 가면 고흐의 작품에 나오는 실제 모델들이
지금
까지 남아 있다. 사진은 오베르 성당. 해당 작품이 성당 앞에 안내표지판으로 설치돼 있다.]신윤복은 어떤 달을 그렸을까하지만 이 같은 주장을 믿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 몇몇 네티즌들은 “여름이라 ... ...
“북한 비대칭 전력 첨단과학으로 막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부품의 접촉 불량 때문이더군요.”백 소장은 “이런 과정을 겪었던 현무 유도탄은
지금
도 한국군의 주력 무기”라며 “한 번의 쓰라린 실패가 더 큰 성공을 불러온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이런 각고 끝에 세계 정상급 무기들을 개발해온 ADD의 연구원들에 대한 백 소장의 자부심은 대단하다. 그는 ... ...
지구 만든 미생물로 환경오염 처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거의 모든 물질 순환에 관여하며
지금
의 지구를 만들기도 했다.원래 지구의 대기에는
지금
같이 산소가 많지 않았다. 광합성을 하는 미생물이 번성하면서 산소를 대기로 내뿜기 시작했고, 산소와 반응한 지구 표면이 급격히 변했다. 현재 광물의 3분의 2가 산소와 물이 광물과 반응한 결과물이다 ... ...
녹색성장 꿈꾸는 ‘유연한 전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태평양 전쟁 막바지에 일본의 전략요충지 이오지마에서 일본군과 미군의 전투가 벌어졌어요. 2만 명 이상의 일본군은 배수진을 치고 저항하다 거의 전 ... 우리나라가 다른 선진국에 비해 유리한 대목이지요. 미래의 에너지 선진국을 꿈꾼다면
지금
스마트 그리드가 절호의 기회입니다 ... ...
Incoming New Faces for the Internet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AF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나라키스 회장은 “새로운 이름으로 도메인을 등록하려면
지금
당장 행동해야 한다. 새로운 도메인을 등록하는 작업은 닷컴을 등록하는 것처럼 간단하지 않다. 생각과 투자가 필요한 일이다”라고 덧붙였다. ICANN 통신담당 매니저인 미셀 조르단은 “이제 기업들은 ... ...
자원전쟁에 맞서는 바다 위 저격수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흡착제는 다시 바다에 가져가서 재활용한다. 반영구적인 자원 생산이 가능한 셈이다.
지금
은 리튬을 분리, 정제하는 공정을 육지에서 하지만, 앞으로는 모든 공정을 바다 위에서 한꺼번에 할 예정이다.[한국지질자원연구원 소속 연구원들이 준공식에 앞서 연구 시설을 점검하고 있다. 앞으로 4년 ... ...
최후의 1%까지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일하고 있다. 컴퓨터 구조 연구실에서 단 1%라도 더 개선하기 위해 흘린 피땀이 있었기에
지금
의 꿈을 이룰 수 있었다.컴퓨터 구조 연구실의 주요 연구 주제인 모델 기반 내장형 컴퓨터 개발 기법은 연구 기회가 무궁무진하다.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소비자 제품이 점차 늘어나며 그 복잡도가 급속히 ... ...
제10회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대안이 없다는 주장도 있었다. 또 환경친화적인 녹색성장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는
지금
녹색 화학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되짚어볼 수 있는 주제도 적절했다. 많은 학생들이 평소에 잘 몰랐던 화학물질의 위험성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볼 시간을 가졌을 것이다. 이공계 공부를 한 과학자들은 대체로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불과하다. 하지만 미생물이 25억 년만 살고 다른 생물에게 지구를 넘겨준 것이 아니다.
지금
도 가장 많은 개체수를 자랑하고, 다른 어떤 생물보다 빠르게 증식하고 있다. 지구의 주인은 인간이 아니라 사실상 미생물인 셈이다. 생물의 역사 전반을 이해하고, 동시에 생물과 인류의 ‘관계’를 다시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양해를 구했다). 녹조류는 잘 자라는 반면 규조류는 지질 함량이 높죠.”강 박사팀은
지금
까지 실험실에서 바이오연료의 가능성이 있다고 확인된 10가지 미세조류에 대해 배양 규모를 키웠을 때도 유용한 특성이 유지되는지를 확인하는 실험을 하고 있다.“실험실에서 소규모로 키웠을 때는 ... ...
이전
594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