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바일게임 대작 영웅서기3의 인기 비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의 서버를 개발했다. 김 씨는 대학에서 정보통신공학 및 컴퓨터 공학을 전공한 뒤
처음
에는 음성인식관련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회사에 취직했다. 하지만 적성에 맞지 않아 좋아하는 게임을 개발하기 위해 모바일게임 관련 학원을 다니며 공부했다고 한다. 하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게임을 ... ...
조지 스무트 이화여대 석좌교수 인터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영상회의를 통해 우주론 교육을 하기도 했다.3월 2일 스무트 교수가 이화여대에서
처음
으로 진행한 강의도 인상적이었다. 그는 이화여대 학부생을 대상으로 ‘주류를 초월해 보기’(Seeing Beyond the Majority)라는 주제로 일반물리 강의를 시작했다. 착시 현상을 그림으로 보여주며 주류를 넘어서려면 ... ...
나방이 특정 냄새에 ‘필’이 꽂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실제 화밀로부터 나온 화학물질로 실험을 하기는 이번이
처음
. 리펠 박사는 꽃 주변의 공기를 모아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화밀에서 나오는 화학물질을 하나씩 분리했다. 나방에는 뇌가 반응할 때마다 ‘뽑뽑뽑’ 소리가 나는 기계를 설치했다.실험 결과 나방의 뇌는 ... ...
각주구검(刻舟求劍)과 좌표평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도형으로 나타낼 수 있게 됨으로써 직관적으로 고찰할 수 있게 됐다. 함수의 그래프를
처음
으로 좌표평면에 나타낸 그를 해석기하학의 창시자라고 부르는 이유다.데카르트가 좌표평면을 도입한 뒤 해석기하학은 함수를 본격적으로 다루는 학문으로 발전했다. 운동하거나 변화하는 구체적인 현상을 ... ...
나이를 거꾸로 먹어가는 한 남자의 인생극장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원인은 무엇인가벤자민은 20세가 되던 해 첫 사랑을 느낀다. 상대는 벤자민이 6살 때
처음
본 데이지. 양로원에 머물던 할머니의 손녀인 데이지는 벤자민과 소꿉친구로 자란 사이다. 실질적으로는 사춘기를 갓 지난 ‘노인’ 벤자민은 풋풋한 첫 사랑을 기대하지만 데이지와 어울리기에는 외모가 ... ...
수소연료의 실용화 가능성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新에너지혁명이 시작된다’ (나) 1950년대 수소를 이용해 발전을 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처음
제시된 뒤, 과학자들은 수소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쉽게 뽑아 쓸 수 있는 용기를 개발하려고 애써왔다. 공업용 수소는 기체 상태에서 고압으로 압축해 탱크에 저장한다. 하지만 수소를 많이 저장할수록 ... ...
[물리]생활 속 물리, 단진동과 지자기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도달한다. 2) 8주 후에 발견된 박테리아가 반대극성을 가진 박테리아의 후손이 아니라면
처음
에 있던 박테리아들이 극성을 바꾼 것이어야 한다. 먼저 진흙과 물을 채취한 뒤 극성이 반대인 박테리아가 존재하는 시료와 그렇지 않은 시료를 준비한다. 한쪽에는 산소가 많은 공간(박테리아가 살기 ... ...
먼지 따라 떠나는 지구과학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순환함을 알 수 있다. 남반구의 해류는 반시계 방향으로 순환한다.사실 해류의 중요성을
처음
깨달은 사람은 미국의 벤자민 프랭클린이다. 미국과 유럽 간에 해상 운송이 활발하던 18세기 어느 날 프랭클린은 한 귀족으로부터 수수께끼 같은 질문을 받았다. 미국에서 유럽으로 항해할 때보다 ... ...
차세대 여성 공학인의 산실 WIE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역할 모델을 제시해야 한다며 취업 현장에서 선배를 만나는 프로그램 ‘길을 찾다’를
처음
시작하던 때의 얘기를 들려줬다.“2006년 견학 장소로 삼성전자 생산기술센터를 진짜 어렵게 섭외해 공대 여학생 40명을 버스에 태우고 갔어요. 여대생들은 현장을 돌아보고 나서 그곳에 취업한 지 한 달 된 ... ...
제2 지구 찾는 케플러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지난 2월에는 한국천문연구원의 연구진들이 2개의 별 주위를 공전하는 2개의 행성을
처음
발견하는 쾌거도 이뤘다. 영화 ‘스타워즈’에 나오는, 2개의 태양이 지는 타투인(Tatooine) 행성이 실제 존재한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이다.외계행성 분야의 국제적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천문연구원에서는 ... ...
이전
595
596
597
598
599
600
601
602
6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