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세기"(으)로 총 8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2018.07.10
- 모네라계(Monera. 원핵생물)와 식물계, 동물계, 균계, 원생생물계다. 필자를 포함해 20세기에 학교를 다닌 사람들이 중고교 생물 시간에 배운 분류체계다. 그런데 DNA 염기를 해독할 수 있게 되면서 5계 분류가 치명상을 입었다. 모든 세포 생물이 공유한 리보솜RNA의 유전자를 해독해 염기서열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잠 안 설치려면, 커피 언제 얼마나 마셔야 하나 2018.06.12
- 문득 2011년 타계한 스티브 잡스가 떠올랐다. 두 사람은 전혀 다른 분야에서 활동했지만 21세기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에 심대한 영향을 끼쳤다는 공통점이 있다. 1999년 우리나라에 스타벅스 1호점이 문을 열었을 때만 하더라도 20년이 채 지나지 않은 오늘날 조금 과장하면 한 건물 건너 하나꼴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IQ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많지만 증가 폭이 미미해 큰 의미가 없다는 반론도 있다. 20세기 최고 천재 아인슈타인은 머리가 작았다. 1955년 아인슈타인이 76세로 사망한 뒤 꺼내 측정한 뇌의 무게는 1230g으로 부피로 환산하면 1190cc 내외다. 노화로 뇌가 약간 줄어들 수 있음을 감안하더라도 남성 평균에 못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미의 과학, 꽃의 여왕은 이렇게 탄생했다2018.05.14
- 감도는 1930년대 말 프랑스 장미육종가 프란시스 메이앙이 개발한 로사 피스(Rosa Peace)는 20세기에 가장 널리 사랑받은 품종이다. 피스의 등장으로 하이브리드 티 장미는 현대장미를 대표하는 계열로 자리 잡았다. - 위키피디아 제공 라 프랑스 = 프랑스장미 +다마스크장미 +월계화(두 품종)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2018.04.24
- 뉴런이 잠잠해진 결과일지도 모른다. 연구자들도 논문에서 “느리고 조절된 호흡은 수세기 동안 마음을 고요하게 만드는 방법으로 쓰였고 임상적으로도 공황발작 같은 과도한 각성을 억누르는 데 쓰인다”고 언급했다. 코로 숨을 쉬어야 하는 이유 “먼저 조용히 숨을 쉬는 동안 콧구멍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십대 후반만 돼도 신경생성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는 내용으로, 만일 이게 맞다면 19세기 말 산티아고 라몬 이 카할의 도그마로 회귀하는 것이다. 이 논문은 발표되자마자 대서특필됐고 국내 언론에서도 크게 다뤘다. 덕분에 필자는 다룰 타이밍을 놓쳤다. 지난 3월 학술지 ‘네이처’에는 성인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보면 밥공기가 지금보다 훨씬 더 큰 데다 밥도 무덤처럼 봉긋하게 담았다. 실제 지난 반세기 동안 1인 당 쌀 소비량을 보면 1970년과 1979년 136kg으로 가장 많았고(중간에 쌀이 부족해 분식장려운동을 펼치면서 쌀소비량이 소폭 감소했다) 그 뒤 하락세로 돌아서 지난해에는 62kg에 불과해 절반 이하로 ... ...
- 과학동아 4월호 '굿바이, 호킹' 특별판 함께하기 동아사이언스 l2018.03.29
- 20세기 대표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이 향년 76세 나이로 영면했습니다. 호킹은 몸이 불편한 상황에서도 왕성한 연구를 통해 블랙홀과 빅뱅연구에서 탁월한 성과를 이뤄냈습니다. 세계 물리학계의 별이 된 스티븐 호킹의 타임라인을 과학동아가 담았습니다. ▶과학동아 4월호 구매하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2018.03.20
- 사업자에 선정됐으니 대문짝만한 기사가 나갈 만도 하다. 전기차는 20세기 말 또는 21세기의 발명품이 아니다. 19세기 말 자동차가 막 나오던 무렵 전기차의 비중이 오히려 더 높았다. 사진은 1899년 벨기에에서 출시된 납산배터리 전기차 ‘라자메콩텐트(La jamais contente)’로 처음으로 시속 100킬로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2018.03.14
- 할 수 없는 일을 아쉬워하지 말아야 한다고 나는 믿고 있다.” - 스티븐 호킹 지난 반세기 동안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과학자로 꼽히던 영국의 이론물리학자 스티븐 호킹이 14일 오전(현지시간) 76세로 타계했다. 근육이 굳어 말조차 할 수 없는 사실상 전신마비 상태에서도 유머를 잃지 않고 때로는 ... ...
이전5556575859606162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