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턱뼈
d라이브러리
"
아래턱뼈
"(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성격까지 밝게 만드는 치아교정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최근 갑자기 예뻐져 화제가 된 영화배우가 있다. 영화 ‘올드 보이’ ‘웰컴투 동막골’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겼던 강혜정 씨가 ‘도마뱀’에서 전혀 다른 사람처럼 여겨질 만큼 부드러운 모습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네티즌 사이에서 성형의혹이 불거지자 강씨 측은 매니저를 통해 치아를 교정 ... ...
생명과학이 만드는 아름다운 예술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보건복지부, 충청북도, 충북대와 오송바이오재단이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후원하는 제2회 전국 바이오현미경사진전 당선작들을 소개한다. 이번 대회에서는 과학기술부장관이 시상하는 대상 1개 작품을 포함해 총 14개 작품이 본상, 40개 작품이 입선을 차지했다. 이번 사진전의 작품 전시회는 충 ... ...
5000m 심해에 심은 한국의 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5000m 심해에 도착해 처음으로 잠수정 라이트를 켠 순간을 지금도 잊지 못합니다. 깜깜하던 주위가 갑자기 밝아지더니 고려청자색 바닷물이 눈앞에 펼쳐졌어요. 태평양 깊은 곳에서 조상의 숨결을 느꼈죠.”한국해양연구원 김웅서(47) 박사는 지난해 6월 하와이 남쪽에 있는 5000m 깊이의 심해 광구 ... ...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했다(새의 치골은 처음에 앞으로 향하다 다시 뒤로 향하게 변했다). 조반류는 아래턱에 앞
아래턱뼈
가 진화했다. 모든 조반류 공룡은 초식성이며 방어와 자기과시, 먹이 습성에 따라 특이한 모양으로 진화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를 두근거리게 할 코리아노사우루스 1. 꿈틀거리며 ... ...
라이거야, 입 찢어질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19호
라이온과 타이거의 합작품(?)인 라이거가 가을 하늘 아래에서 커다란 입을 쩍 벌리고 누워 있네요. 금방이라도 따라해야 할 것 같지요? 하품은 보통 산소가 부족할 때 한다고 해요. 또 하품을 하면 턱뼈 사이 근육이 늘어나면서 신호가 전달되어 대뇌 피질을 왕성하게 운동시키지요. 그래서 머리가 ... ...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살찐 사람과 마른 사람과의 차이점은 이마와 코로 이어지는 얼굴 중심부보다는 광대뼈와
아래턱뼈
부위에서 그 차이가 현저했다.다음은 머리뼈 형태와 얼굴생김새 간의 차이를 알아보자. 이를 위해서는 두장의 사진이 필요하다. 각 그룹의 일반 얼굴 정면사진과 머리뼈의 방사선 사진을 각각 준비해 ... ...
현생 포유류의 새로운 원시조상 발굴
과학동아
l
2001년 07호
발굴한 뒤 하드로코디움(Hadrocodium) 이라고 명명했다.일반적인 포유류 화석은 머리뼈와
아래턱뼈
에 나타나는 특징으로 파충류와 구별된다. 파충류의 아래턱에는 포유류에 없는 세가지 특징적 뼈가 있다. 학자들은 이 뼈가 포유류의 귀로 진화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전까지는 이에 대한 증거가 ... ...
껌 8분 이상 씹으면 스트레스 받는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야구선수가 껌을 씹으면 시합의 긴장감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그러나 오래 씹으면 오히려 더 스트레스가 쌓인다.왜 그럴까.또 껌을 씹을 때 뇌의 활동이 공부할 때와 비슷하다고 하는데….박찬호가 나오는 미국 프로야구 경기를 보면, 야구선수들이 껌을 우물우물 씹고 있는 것을 자주 ... ...
턱도 디스크에 걸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영화를 보며 오징어를 먹거나 양치질 대용으로 껌을 찾는 경우가 흔하다.그런데 이 기호식품들이 턱의 관절에 무리를 주고 있다.하품할 때나 음식을 먹을 때 턱에 통증이 오면 얼마나 불편할까.증상이 심해지면 관절염이 발생해 얼굴 한쪽이 삐둘어질 수도 있다.갑자기 턱에서 ‘딱’ 하는 소리가 ... ...
Ⅱ. 체질인류학/신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높다’는 점이다. 여기서 머리의 길이는 이마에서 뒤통수까지의 거리를 말하며, 높이는
아래턱뼈
윗부분의 ‘으뜸점’에서 정수리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특히 머리뼈의 높이가 높은 것은 구석기시대인부터 현대 한국인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나타나는 특징으로 알려져 있으며, 다른 집단의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