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아래턱뼈"(으)로 총 11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인류 '파란트로푸스'의 재발견2023.02.21
- 파란트로푸스. 위키피디아 제공 각각 흰옷과 검은 옷을 입은 선수들이 농구공을 패스하는 영상을 보여주며 흰 셔츠 팀의 패스 횟수를 세는 과제를 준다. 1분이 흐르는 사이 고릴라 분장을 한 사람이 나타나 가슴까지 두드리고 지나갔지만, 놀랍게도 실험 참가자의 절반은 패스 횟수를 세느라 이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2022.09.06
- 좌우 쌍으로 있는 이들 근육을 합쳐 씹기근육이라고도 부른다. 이 가운데 광대뼈와 아래턱뼈에 걸쳐있는 깨물근은 우리 몸에 있는 근육 가운데 가장 힘이 세다(단위 단면적 기준). 귀밑 턱에 손을 대고 이를 꽉 물면 불끈 솟아나는 근육이 바로 깨물근이다. 저자들은 깨물근 바로 위 피부에 전극을 ... ...
- 환자 세포를 3D프린팅 찍어 만든 인공귀 이식 첫 성공동아사이언스 l2022.06.03
- 3D바이오쎄라퓨틱스가 개발한 3D 프린팅 귀. 3D바이오쎄라퓨틱스 제공 미국 재생의학 분야 바이오테크 기업 3D바이오쎄라퓨틱스가 3차원(3D) 프린터로 사람의 세포를 이용한 신체 기관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크기가 유난히 작고 기형적인 모습의 오른쪽 귀를 가진 20세 여성의 세포를 이용해 3D 프린팅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니소바인은 한반도에도 살았을까2021.07.13
- 이름의 학술지에 실렸다는 게 왠지 역설적으로 느껴진다. 중국 티벳 샤허에서 발견된 아래턱뼈 화석으로 커다란 어금니가 박혀 있어 데니소바인으로 추정되고 콜라겐 아미노산 분석 결과도 이를 뒷받침했다. 그러나 이번 논문에서 저자들은 하얼빈 두개골과 가장 가까운 호모 롱기라고 주장했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2019.10.22
- 데니소바 동굴에서 발굴된 뼛조각 2315개의 콜라겐 단백질을 분석한 결과 사람 뼈는 단 하나였다(사진. 여러 각도에서 찍었다). 여기서 DNA를 추출해 분석한 결과 엄마가 네안데르탈인이고 아빠는 데니소바인인 여성이라는 놀라운 사실이 밝혀졌다. 사이언티픽 리포트 제공 지난해 9월 학술지 ‘네이 ... ...
- '당신의 구강나이는 OO살입니다' 국내 첫 치과종합검진센터 가보니동아사이언스 l2019.04.30
- 경희대 치과병원 전문의가 동적구강기능검사(MMS) 센서를 달고 근육, 교합압, 전자교합, 3차원 하악골이동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경희대치과병원 제공 아래턱과 턱 옆, 목, 관자놀이 등에 센서를 붙이고 입에 문 구강센서를 물었다. 위아랫니를 붙였다 뗏다를 반복하니 스크린 속 치아 위로 알록달록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2017.06.20
- 결과 16만 년 전 인류로 밝혀졌다. 제벨 이르후드 재발굴 과정에서 찾아낸 성인의 아래턱뼈 화석이다. 크기가 좀 클 뿐 형태는 오늘날 사람들과 거의 비슷하다. 세 번째 어금니(사랑니)까지 제자리에 잘 잡혀있다. 그 뒤 턱이 작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하면서 사랑니가 위치할 공간이 부족해져 오늘날 ...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2017.03.14
- 2007년 12월 중국 허난성 쉬창현 링징 마을의 들판에서 척추동물고고학고인류학연구소(IVPP)의 고고학자 리장양 박사는 10만여 년 전 구석기시대의 도구들을 발굴하고 있었다. 짐을 싸고 철수할 무렵 석영으로 된 아름다운 석기(石器)를 발굴하자 일정을 이틀 늘렸다. 그리고 마지막 날 아침 아쉬운 마 ... ...
- ‘호빗’의 조상, 70만 년 전에 존재했다.2016.06.20
- 확실하다. 그렇다면 이 뼈들과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와는 어떤 관련이 있을까. 놀랍게도 아래턱뼈와 치아의 크기와 형태가 호빗과 꽤 비슷했다. 턱뼈의 경우는 성인의 것임에도(사랑니가 박혀 있던 치조, 즉 턱뼈의 구멍이 뚜렷이 보인다) 호빗의 턱뼈보다도 더 작았다. 함께 발굴된 치아의 경우도 좀 ... ...
- 호모 날레디, 고인류학을 비추는 별이 될까2015.09.14
- 지금까지 누구도 단일 종에서 한 번에 100점이 넘는 화석을 분석한 논문을 출판하려고 시도한 적이 없었다. - 리 버거 지난주 외신들은 고인류학 분야에서 깜짝 놀랄만한 발견을 크게 소개했다. 새로운 종의 호모속 인류 ‘호모 날레디(Homo naledi)’에 관한 내용이다. 날레디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