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스페셜
"
단위
"(으)로 총 750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
2023.03.24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
단위
체 연구그룹장 ※필자소개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
단위
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락가락' 기름값...정부가 걷는 유류세 개편해야
2023.03.21
‘리터’(liter)를 사용한다. 영국의 야드·파운드법에서 사용하는 부피의
단위
인 배럴은 158.9리터에 해당한다. 그래서 배럴당 82달러인 두바이유의 가격은 리터당 670원(환율 1300원)이다. 소비자의 입장에서 편하게 가격을 비교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서울의 한 주유소 유가정보. 연합뉴스 제공 ... ...
[기후위기와 산림] 더 많은 탄소 흡수하는 나무 만들기
2023.03.16
탄소흡수량을 높이는 방법으로 산림의 면적을 지금보다 더 늘리거나 현재 산림 내에서
단위
면적 당 탄소흡수량을 높이는 두 가지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우리나라와 같이 산림 면적을 크게 늘리는 것이 어려운 경우라면, 한정된 산림 면적에서 탄소 흡수량을 높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 ...
[오늘과학] 생쥐는 성욕과 식욕 중 어떤 욕구 앞설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4
게티이미지뱅크 식욕과 성욕 둘 중 어떤 욕구가 앞설까. 타티아나 코로트코프 독일 쾰른대 신경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생쥐가 식욕보다 ... 교수는 “렙틴이 식욕 억제 뿐 아니라 사회적 활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세포
단위
기전을 밝히기 위한 추가 연구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
단위
체 연구그룹장 ※필자소개 박형주. 한국뇌연구원 신경혈관
단위
체 연구그룹에서 근무 중이며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 ...
[박정연의 닥터스] "'싱글셀' 유전자분석으로 가장 정밀한 암 치료전략 세워"
동아사이언스
l
2023.02.20
형성하는 것이 쉽지 않다. 반면 한국의 주요 대형병원은 마음만 먹으면 수천 명
단위
의 환자를 손쉽게 모집할 수 있다. 또 중요한 것은 세계적으로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유전자 분석 기술이 아직 눈에 띄게 발전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의료인프라가 발전돼 있는 한국은 아시아인 유전자 분석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정체를 알 수 없는 ‘문과 침공’ 논란
2023.02.15
선택한 학생을 ‘이과’로 분류하는 모양이다. 서울대의 인문·사회·예체능 모집
단위
에서 최초 합격자 640명 중 330명(51.6%)이 미적분·기하 응시자였다는 것이 ‘이과생’의 ‘문과 침공’의 증거라고 한다. 경제학부는 70명 중 50명(71.4%)이 그런 이과생이고, 심리학과는 10명 중 8명(80.0%)이 그렇다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
2023.02.14
하나가 인류의 생활양식을 바꾸어 놓는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생명의 기본
단위
인 DNA와 단백질 합성 정보를 지닌 유전자 세포의 핵 속에 들어 있는 핵산(nucleic acid)은 인, 당(탄수화물), 염기가 모여 이루어진다. 수많은 종류의 탄수화물 중에서 핵산에 포함되어 있는 것은 리보스와 ... ...
[커버링클라이밋나우] 빌 게이츠는 왜 '소 트림' 줄이는 연구에 투자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0
온실가스 농도가 최대치를 경신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메탄 농도가 1908ppb (물질의 농도
단위
로 1ppb는 10억 분의 1)로 전년보다 18ppb 증가하는 등 40년 전 체계적인 관측이 시작된 이후 가장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 10년간 평균 증가율인 연간 9.2ppb와 비교해도 두 배에 가깝다. 국내 상황도 ... ...
[기후위기와 산림] 남한·북한 가리지 않는 기후위기...“북한은 더 심각”
2023.02.09
산림 황폐화는 심각한 상황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1999년부터 북한의 산림 현황을 10년
단위
로 모니터링하고 있다. 2018년 위성영상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북한 산림 황폐지 면적은 전체 산림 면적의 28%인 약 262만ha에 달한다. 심각한 북한 산림 황폐화는 자연재해를 가속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