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
일단
만억
단
팀
스페셜
"
조
"(으)로 총 1,36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R&D예산 삭감과 과학기술 정책의 본질
2023.09.27
절대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오히려 오늘날 우리에게 절실하게 필요한 것은 ‘선진창
조
형 국제협력’에 대한 투자를 강화해야 한다. 선진국의 과학자들과 대등한 입장에서 진정한 공동연구‧개발에 참여하는 ITER(국제핵융합실험로)와 아르테미스 프로젝트(국제유인달탐사)가 우리에게 필요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완전히 길을 잃어버린 ‘과학기술정책’
2023.09.13
결국 정부
조
직에서 부총리급 과학기술부가 사라져버렸다. 교육과학기술부‧미래창
조
과학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혼란스러운 변신을 거듭해야만 했다. 화려하게 등장한 혁신본부는 지금도 제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의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면초가(四面楚歌)의 형편이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오염수·초전도체·이권카르텔…과학이 있어야할 곳은
2023.08.30
삭감에 반발해야 하는 현실은 반드시 바로 잡아야 한다. 2달 만에 끝내버린 졸속 예산
조
정을 대단한 제도 혁신이라고 자랑하는 부끄러운 목소리는 절대 용납할 수 없다. 대통령이 아니라 국민을 감동시키는 과학기술을 만들어야 한다. 진정한 과학기술의 발전을 위해 절대 포기할 수 없는 엄중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카르텔' 지적에 눈감고 입닫은 과학계
2023.08.16
과학기술이 ‘공정과 상식’을 실천하는 가장 실질적인 수단이라는 사실을 더욱 강
조
해야 한다. 이제는 나로호, 온누리호와 같은 과학기술이 국민을 감동하도록 만드는 수단이라는 사실이 중요하게 되었다는 뜻이다. 정부 예산을 나눠 먹고 갈라 먹는 약탈적 이권 카르텔의 부끄러운 오명(汚名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보도 가치가 전혀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사기꾼의 거짓 주장도 보도해야 한다는 억지와
조
금도 다르지 않은 것이다. 기자들에게는 가짜 과학을 가려낼 능력이 없다는 변명은 부끄러운 것이다. 과학기술 시대의 언론인에게 요구되는 책무는 절대 가벼운 것이 아니다. 언론이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 ...
[일상 속 뇌과학] 뇌의 '회춘' 위한 새 단서 찾았다
2023.06.30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겸임교수다. 현재 생쥐 모델을 활용해 학습과 기억을
조
절하는 세포간 상호작용의 분자 기전을 연구하고 있으며, 뇌 속 기억 형성 및 변화에 대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저술 작업도 같이하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로 물을 전기분해해 만드는 그린수소가 주목받지만 여러
조
건이 충족돼야 해 쉽지 않다. 재생에너지 효율이 낮은 우리나라는 중동에 그린수소 설비를 짓는 쪽으로 집중하고 있다. 대신 우리나라에서는 발생한 이산화탄소를 포집 저장하는 블루수소가 현실적인 대안으로 충남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인구감소·의대쏠림·대학해체의 삼각파도에 휩쓸리는 대학
2023.06.07
원을 지원해주겠다는 교육부의 달콤한 유혹을 떨쳐버릴 수 없었던 것이다. 교육부가 6
조
원에 이르는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 것인지를 분명하게 밝히지도 않았다. 거대 야당이 교육부의 일방적인 선택과 집중을 수용해줄 것인지도 불확실하다. 5쪽으로 제한된 신청서에 담긴 혁신의 유형은 다양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50억년 후 지구가 태양에 잡아먹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5.06
포착한 것은 2020년 5월이다. 지구에서 약 1만 2000광년(1광년은 빛이 1년 가는 거리, 약 9
조
4600억km) 떨어진 독수리자리 근처에서 10일 만에 약 100배 밝아졌다가 사라진 별이 관측됐다. 분석 결과 이 현상은 별이 소멸하기 전 상태인 적색거성이 행성을 흡수하는 순간으로 확인됐다. 이번 관측에서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빗해파리 신경계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23
펄스를 광음극에서 생성하고 높은 에너지로 가속해 원자 크기보다 짧은 피코미터(1
조
분의 1m) 수준의 파장에 도달하면서 높은 시공간 동시 분해능을 가진다. 분석 결과 빗해파리 신경망의 뉴런은 다른 동물 신경계와 달리 시냅스로 연결돼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신 ‘합포체’라는 일종의 ... ...
이전
1
2
3
4
5
6
7
8
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