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대한"(으)로 총 7,1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2018.04.24
- 발표했다. 전뵈트징어복합체의 뉴런 일부가 뇌교(pons)에 있는 청반(locus coeruleus)에 호흡에 대한 정보를 보내 각성상태를 유도한다고 설명했다. 뇌교 역시 뇌간에 있는 조직으로 연수 위쪽에 있다. 연구자들은 전뵈트징어복합체를 이루는 뉴런의 유전자발현패턴을 분석하다 특이한 현상을 발견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2018.04.21
- 강조), 또 다른 그룹의 사람들에게는 행복 대신 정확한 판단력을 기르는 것의 중요성에 대한 글을 읽게 했다. 그리고 나서 연구자들은 사람들에게 행복한 영상(운동 선수가 금메달을 따는 영상) 또는 슬픈 영상(아내의 죽음)을 보여준 후 영상을 보면서 얼마나 기쁘고 즐거웠는지, 또 얼마나 ... ...
- 남북 종전 선언 기대 속… 북한 IT과학은 어느 수준? 2018.04.19
-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요? 북한에서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사용할까요? 북한의 IT과학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보겠습니다. GIB 제공 북한에서도 인터넷 접속이 가능할까? 북한에도 인터넷은 있지만 고위 관계자나 대외사업 관계자 등 외에는 접근이 까다롭게 제한됩니다. 이들이 접속할 수 ... ...
- [표지로 읽는 과학] 나무는 어떻게 겨울잠을 잘까?동아사이언스 l2018.04.14
- 봄이 오기를 기다리고 있다. 이번주 사이언스 표지 논문은 나무의 겨울잠 메커니즘에 대한 내용이다. 온대 및 아한대 생태계에서 자라는 다년생 식물은 겨울잠을 통해 추운 겨울 환경에 적응한다. 스웨덴 농업과학대학을 비롯한 국제연구팀은 겨울잠 즉, 추운 겨울동안 성장을 하지 않고 ‘휴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칭찬을 받을 때 불편한 느낌이 드는 이유는?2018.04.14
- 또한 마찬가지다. 단점을 지적받았거나 스스로 깨달았을 때 이것을 나라는 사람 전반에 대한 부정으로 받아들이는 경우 훨씬 방어적이고 감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반면, 잘못을 자신의 한 부분으로 인식하는 사람이 더 실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적응적인 행동을 보인다는 발견들이 있었다(Tangney et al., 2 ...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2018.04.11
- 밝혀 지더라도 왜 불가능한지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내가 우주에 대한 우리의 지식에 무언가를 보탰다면, 나는 행복하다.” 호킹은 자서전의 마지막 문장을 이다지도 담백하게 끝냈다. 확실한 건 호킹이 남긴 유산은 그가 생각한 ‘무언가’보다는 훨씬 클 것이라는 점이다. ...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한국 과학자들이 기억하는 호킹 박사 2018.04.10
- 알고 싶어 하던 호킹은 2010년 돌연 “신(神)은 없다”는 선언을 했다. 저서 ‘위대한 설계’를 통해 “현대물리학은 우주 창조에서 신을 위한 자리를 남겨두지 않는다”고 한 것을 두고 전 세계가 발칵 뒤집혔다. 그런 그가 아이작 뉴턴의 동상과 폴 디랙의 무덤이 있는 영국 테임즈 강변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 건강 노력을 게을리 할 수 없는 이유 2018.04.10
- 알 수 없기 때문에 면역학적 방법을 쓴다. 즉 각 세포에서 고유하게 발현하는 단백질에 대한 항체를 만들어 여기에 반응하느냐 여부에 따라 그 세포의 존재유무를 판단하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런 처리를 한 뒤 치상회의 세포 개수를 일일이 세서 성인 신경생성 여부를 판단했다. 이 논문의 최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대해 자신이 못나서가 아니라 그 일이 특별히 어려워서, 상황이 안 좋아서 그랬다는 등 최대한 책임을 회피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자신에게 어떤 부족함과 문제가 있었는지, 어떤 것을 수정하고 해결해야 하는지보다 자신의 과오를 덮고 이미지를 방어하는 데 더 많은 힘을 쏟았다. 과하게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女 마라톤 최고 기록 김도연, 밥심으로 달렸다!2018.04.03
- 그만큼 긴요하다는 뜻이다. 즉 녹말이 풍부한 음식을 많이 섭취하게 됐기 때문에 이를 최대한 소화해 흡수할 수 있는 형태인 포도당으로 바꿔 에너지원으로 쓰기 위해서다. 유일하게 아밀라아제(AMY1) 유전자가 여러 개인 인류. 그만큼 긴요하다는 뜻이다. - 사진 GIB 제공 흥미롭게도 대략 3만 년 ... ...
이전6026036046056066076086096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