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뜨거운 6월 태양 가리는 부분일식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역할을 하는 유리다.주의할 점은 소형 천체망원경에 끼워 팔고 있는 작은 색유리
모양
의 태양필터가 태양을 관측하기에 대단히 위험하다는 사실이다. 이런 조잡한 태양필터는 관측 도중 열을 받으면 깨질 위험이 높아 매우 위험하다. 그러므로 태양필터는 반드시 망원경 앞쪽 바깥에 부착하는 ... ...
2. 금싸라기 유전자 발굴하는 DNA칩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5만개의 구슬이 들어있는 자루에서 우리가 원하는 것을 골라내는 수준이었다면, 이제
모양
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미리 알고 원하는 것을 찾는 시대가 열린 셈이다. 따라서 게놈이 해독되기 전에는 하나의 유전자 기능을 밝히면 박사학위를 받을 수 있었지만 이제는 10개 또는 1백개 이상의 유전자 ... ...
유로화의 위조방지장치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시변각장치(OVD, Optically Variable Device)가 있다. 이 시변각장치는 보는 각도에 따라 색상과
모양
이 변하는 홀로그램의 얇은 필름이나 은박을 지폐 표면에 부착한 것으로, 스캐너 등에 의한 위조 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 대중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일으키는 단백질이 어떤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지는 현재도 알 수 있다. 그런데 접히는
모양
에서 실질적으로 단백질의 기능이 밝혀지기 때문에, 이 단백질의 기능을 차단하려면 그 구조가 명확히 밝혀져야 한다. 그러면 단백질의 구조와 딱 맞는 약물을 개발하는 일이 훨씬 쉬워진다.그래서 ... ...
진공에서보다 빠른 빛, 상대성이론에 어긋날까 ?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여기에서 이해하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 펄스가 정보로서 의미가 있다는 것은 펄스
모양
이 0과 1을 구분하는 파형을 형성하기 때문이 아닌가. 펄스가 파형이 변하지 않고 물질을 통과했을 때 진공에서보다 빨리 전달됐다면 정보로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닐까.아직 이 문제에 대한 논의가 종결되지 ... ...
빛과 전자가 만난 퓨전학문 광전자학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때문에 상당량의 빛은 밖으로 빠져나간다. 빛이 지나가는 길을 구부리거나 다양한
모양
으로 만들기 어렵다. 때문에 광집적화에 실질적인 어려움을 준다.이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원리로 빛이 지나가는 길을 모색하고 있다. 이 원리로 지금의 광섬유와 다른 구조를 갖는 물질이 만들어지고 있다. ... ...
까마귀 옆에 있는 더듬이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거대한 ‘교통사고’의 현장이다. 지상에 있는 거대망원경으로는 곤충의 더듬이
모양
만 확인하는 정도였지만 미항공우주국(NASA)의 허블우주망원경이 더듬이 은하를 향하자 ‘끔찍한’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사고현장에는 붉은빛보다 오히려 푸른빛이 뿌려져 있다. 눈이 시릴 정도로 ... ...
Ⅰ첨단장비가 펼치는 격전의 무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기존 인조가죽에 비해 50%나 뛰어나다고 한다. 또 최고의 착용감을 살리기 위해 맨발
모양
을 본떠 기존의 평평한 바닥과 달리 발의 굴곡을 반영했다. 이런 디자인은 뒤꿈치 주변의 지방조직이 자연스레 발을 보호하도록 했다. 실험 결과 굴곡형 축구화에서 뒤꿈치가 받는 압력이 평평한 축구화에 ... ...
유전자 감식으로 비행기 탑승자 신원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인간의 세포는 46개의 염색체를 갖고 있다. 그리고 염색체는 크게 두가지로 구분된다.
모양
과 크기가 비슷한 두개의 염색체가 한쌍을 이루는 것을 ‘상동 염색체’라고 하며, 이들 총 22쌍에 대해 1번부터 22번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또다른 종류의 염색체는 ‘성 염색체’로 성을 결정하는 X와 Y ... ...
물의 표면장력 정복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방향이 가운데 꼬리에서 바깥쪽 머리쪽으로 회전하는 방향이다. 따라서 물이 뱀
모양
사이로 소용돌이를 치면서 바깥으로 끌려나간다. 이는 세제가 퍼지면서 표면장력이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물의 흐름과 반대방향으로 뱀이 돌게 된다.참고로 여러가지 물질이 공기와 접촉할 때 20℃에서 ... ...
이전
603
604
605
606
607
608
609
610
6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