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스크림 튀겨 먹는 비법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열 전도 막아주는 빵가루서울의 한 식당. 후식으로 나온 튀김이 충격적이다. 겉
모양
을 봐선 영락없는 튀김이지만 그 속에 담고 있는 건 아이스크림이라니. 어디 한번 먹어볼까. 뜨거움과 차가움이 어우러진 아이스크림 튀김의 맛! 입 속에 넣고 한입 씹는 순간 혀끝에선 일대 혼란이 일어나기 ... ...
3. 전세계 디지털 복원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달려있다. 다비드상은 데이터의 총량이 테라바이트(${10}^{12}$)수준이기 때문에 컬러와
모양
을 동시에 스캐닝하는 작업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다. 실제 다비드상(a)과 디지털 복원한 다비드상(b)의 차이를 구분하기 어렵다 ...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있는 것일까. 사실 자율구동 대장내시경에는 MEMS 기술이 쓰이지 않았다. 둥근 긴 관
모양
의 대장내시경은 지름 24mm, 길이 1백30-1백80mm로 아직 캡슐형태는 아니다. 그리고 스스로 움직이는 능력을 가졌을 뿐 전선을 비롯해 외부로 영상을 전송하는 장치 등 여러개의 선들이 대장내시경과 연결돼 있다.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엉덩이의 최적 위치 찾기바퀴를 보자. 어떤 용도인가에 따라 타이어의 두께와
모양
이 변한다. 편평하고 고른 아스팔트나 벨로드롬에서 사용되는 타이어는 아주 얇으며 고압의 공기를 넣는다. 표면과의 저항을 줄이고 에너지 낭비를 줄이기 위해서다. 반면에 험한 산악지역을 다니는 산악자전거(MTB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한다(표).일반사진용 필름(필름감도ISO 100)을 기준으로 구경비(초점거리/구경)와 달
모양
에 따른 표준 노출시간을 초로 나타냈다. 이를 참고로 사용해 주어진 노출에서 전후로 한두 단계씩 찍어보면 적정 노출을 찾을 수 있다.달을 촬영한 다음 어떻게 달의 크기를 구할 수 있을까. 우선 필름에 나타난 ... ...
게임돌풍, 인터페이스의 미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한명인 요코야마 군페이였다.군페이는 어린이들의 손에 맞도록 작고 납작한 십자(+)
모양
의 조종부분과 버튼 두개가 전부인 조이패드를 개발했다. 이후 어린이에서부터 어른까지 스스로 이 조이패드를 손에 들었고, 이 패드에 적응했다. 혁신적인 바람을 몰고온 패미컴의 조이패드는 기본적으로 ... ...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같은 신세대 폭탄은 공항의 검색장치를 무안하게 만든다. 우선 예전의 폭탄처럼 일정한
모양
과 부피가 있는 금속성 물체가 아니다. X선 검색대를 아무리 들여다봐도 소용없다는 얘기다. 사전에 폭탄이 있다는 정보를 안다 해도, 또 모든 승객을 일일이 검사한다고 해도 C4를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 ...
차가운 과일이 더 달콤한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말한다. 고리
모양
의 과당 분자는 항상 일정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슬
모양
으로 풀렸다가 다시 다른 구조의 이성질체로 쉽게 바뀌는 특성을 갖고 있다. 이 중 베타형 이성질체가 알파형보다 더 안정하고 훨씬 더 강한 단맛을 갖고 있다. 그런데, 일정한 평형비로 존재하던 알파형과 ... ...
자연의 정교한 수학자 벌 육각기둥을 선택한 까닭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집을 만들 때 재료가 가장 적게 들어가려면 정육각형
모양
으로 지어져야 한다.정육각형
모양
의 구조물은 빈틈이 없으면서 매우 튼튼한 형태가 된다. 실제로 튼튼한 구조물을 만들 때 그 내부를 육각형 구조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지름이 6m 정도인 큰 망원경을 만들 때 그 받침대의 내부에, 그리고 ... ...
크기 1.6광년 슈퍼개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만들었다. 또 안을 잘 들여다보면 귓불
모양
도 여럿 보인다.과학자들은 개미성운의
모양
에 대해 두가지 설명을 내놓는다. 하나는 중심별 가까이 또다른 천체가 있어 밖으로 나가는 가스에 강한 중력 효과를 일으켰기 때문이라는 견해다. 다른 하나는 중심별이 자전함에 따라 별 주변의 자기장이 ... ...
이전
607
608
609
610
611
612
613
614
61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