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선
향상
진보
개혁
쇄신
증진
일소
d라이브러리
"
개량
"(으)로 총 677건 검색되었습니다.
소프트웨어의 젊은 황제 윌리엄 게이츠 3세 William H.Gates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연기하는데 성공했다. 대신 게이츠는 IBM 엔지니어들과'윈도우'를 그들의 마음에 쏙 들게
개량
하기로 했으며 IBM은 그 결과를 기다려 다시 채택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1년 남짓 지난 올해(1987년) 4월 2일 IBM은 퍼스널 컴퓨터계의 패권을 노리는 새로운 세대의 기계용 주요소프트웨어로 '윈도우'를 ... ...
극한의 과학
과학동아
l
1987년 10호
만드는 기술이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지난 82년 일본 '스미토모'전기는 초고압장치를
개량
해 직경 약 6mm(1.2캐럿)의 다이아몬드를 합성해 내는데 성공했다. 입상(粒狀)의 합성다이아몬드는 첨단산업용으로서 자기디스크나 레이저 반사경 등의 절삭, 극미세선용다이스, 컴퓨터의 초정밀가공 바이트로 ... ...
난청분야의 세계적 권위 전성균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채취하는 도구를 몸소 고안해 미국에서 특허를 얻기도 했고 이번에 이를 주사기식으로
개량
한 중이액 채취기를 국내 업계에 의뢰해 제작할 방침이기도 하다.-우리나라 의약계를 둘러보신 소감은 어떻습니까?"KAIST 구미공단 여러 대학들을 두루 방문했읍니다. 그때 느낀 것은 의약분야의 연구활동은 ... ...
PART 2 도대체 어떻게 벌었나?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고안이었다. 처와 의동생 등 셋이서 회사를 만든 것이 시작의 전부였다. 그러나 이
개량
형 소켓은 유감스럽게도 팔리지 않았다. 회사가 궤도에 오른 것은 전구소켓용의 접속플러그가 대성공을 거두면서부터였다.요컨대 서비스든 상품이든 이제까지 없었던 것을 고안해내고 그것을 기초로 사업을 ... ...
번개의 신화에서 전자공학 혁명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도구이다. 그러나 그후에는 정전기에 관한 연구가 시들해지고 다만 때때로 마찰기전기를
개량
하여 불꽃방전의 실험을 오락으로서 즐기는 정도로 그쳤다.전지 발명으로 백작이 된 「볼타」정전기는 한번 번쩍하면 끝나고 말지만 전지로부터의 전류는 몇 시간동안 연속적으로 흐른다. 전류 발견의 ... ...
PART Ⅰ 마이크로 코스모스 사진으로 본 신비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정도의 능력이라면 원자의 배열과 원자궤도는 손쉽게 관찰이 가능하게 된다. 또 요즈음
개량
이 된 전자현미경은 물질의 표면구조와 살아있는 세포의 생생한 모습도 그대로 우리의 육안에 재생시켜 준다.끝없이 펼쳐지는 우주의 모습과 마찬가지로 현미경을 통해서 우리는 아름다움과 신비에 ... ...
전쟁에 동원되는 전자기술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이래 핵병기의 설계와 제품을 꾸준히
개량
시켜 왔다. 이렇게 해서 핵무기 자체가
개량
된 것은 사실이지만 병기 자체가 '핵'이라는 사실에는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 그대신 명령 전달 정보 유도 그밖에 실리콘칩과 컴퓨터를 기반으로 하는 시스팀에 중요한 진보가 있었다.30여년 전부터 소련과 ... ...
국가프로젝트 통한 고급인력 양성을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할 수 있다.하드웨어와 밀접하게 관련된 시스팀소프트웨어를 하드웨어 설계에 맞도록
개량
하여 이식하는 포팅기술이 부분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독창적인 제품보다는 이미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품의 라이센스를 받아서 우리환경에 맞도록 보완시키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 ...
암연구의 선구 로버트 와인버그 Robert Weinberg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바람직한 특성을 목표로 하여 수십년간의 세월에 걸쳐 선택적인 육종을 하여 유전적인
개량
과정을 밟았으나 최근의 유전공학의 기술로 이 과정을 크게 단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가까운 장래에는 우유나 고기를 대량으로 얻을 수 있는 소나 특정한 제초제에 대해서 저항력을 갖는 농작물의 ... ...
컴퓨터시대의 한글 한글의 과학성 재조명되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바뀔 수가 없다. 물론 현재의 '한글자형'에서 그치지 않고 꾸준히 조금씩 연구하고
개량
하여 글자형태를 좀더 세련되고 아름답게 하고 있지만 무언지 모르게 이질적인 거부감을 갖게 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못지않게 컴퓨터를 도구로 한글을 연구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우리의 문자문화를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