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선
향상
진보
개혁
쇄신
증진
일소
d라이브러리
"
개량
"(으)로 총 677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시대의 한글 한글의 과학성 재조명되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바뀔 수가 없다. 물론 현재의 '한글자형'에서 그치지 않고 꾸준히 조금씩 연구하고
개량
하여 글자형태를 좀더 세련되고 아름답게 하고 있지만 무언지 모르게 이질적인 거부감을 갖게 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에 못지않게 컴퓨터를 도구로 한글을 연구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우리의 문자문화를 ... ...
마이크로프로세서 어떻게 응용되나 장난감에서 고속컴퓨터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컴퓨터에 활용되면서 스스로의 능력을 확장시켜나가고 있다. 1973년에 발표된 i8008의
개량
형인i8080이 바로 오늘날 8비트 PC의 CPU(중앙처리장치)이다. 이어 16비트 PC와 최근에 개발된 32비트 PC는 i8086, i8088, i80286, i80386등 마이크로프로세서의 기능 향상에 따른 등급분류라 보아도 무방하다.퍼스널컴퓨터의 ...
영국에서 새로운 전자현미경 MEATSEM 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이용해 습기를 머금은 시료를 볼 수 있게 한 것. '브리스톨'대학이 개발한 것은 이를
개량
해 두장치사이의 벽을 없앤 것으로 큰 어려움 없이 살아있는 물체를 생생하게 볼 수 있다. 이 현미경은 앞으로 제품의 검사와 흠집을 잡아내는 등 산업적으로 응용될 것이라고 한다 ... ...
광양제철소 그 강점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광장의 8배)을 메우는 작업은 그리용이한 일은 아니었다. 그중 백미는 연약한 지반의
개량
공사때 도입한 모래말뚝공법이다. 매립지 전역에 2~3m 간격으로 암반까지 이르는 길고짧은 모래기둥을 24만여개나 박고 토사를 3~15m쌓아 지반을 단단히 하는 방법이다. 모래기둥을 박으면 메워진 지면의 물과 ... ...
산업혁명의 숨은 주인공 산·알칼리 공업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A. 솔베이의 힘을 입은 바 컸다. 1863년 '솔베이의 회사'가 설립되었고, 그후 끊임없이
개량
을 거듭하여 1873년에 '든바르'에 공장이 세워졌다. 이로써 1903년 르블랑법에 의한 소다 생산량이 15만t인데 비해서 솔베이법에 의한 생산량은 1백 65만t에 이르렀다. 솔베이는"공업적 실현을 둘러싸고 ... ...
SW.2 아직은 형편없지만 2001년에는 세계5위 목표로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해야 할 일은 국내 기술수준의 제고를 위한 전문인력의 양성과 해외 신기술을 도입,
개량
하여 국내 업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이다. 나아가 새로운 고차원의 기술을 독자적으로 개발, 국내에 공급하고 한국의 S/W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앞장섰으면 하는 것이다. 미국이나 일본의 S/W기술 ... ...
한국 화학 연구소 이서봉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부정할 수 없겠지만 이번의 개발은 아직 실험실 단계라는 점을 강조하고 싶습니다.
개량
의 여지가 많이 있다는 이야기도 되지요. 먼저 기존의 축전지는 수명이 2~3년인데 비해 개발품은 1년 밖에 안됩니다. 또 플래스틱 축전지가 겨울과 여름의 혹심한 상황에서 어떻게 적응하게 하느냐도 과제이지요. ... ...
독일이 화학에서 선두를 차지한 까닭은? 기센대학과 「리비히」의 실험교육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의약품 염료 등의 제조와 판매를 주로 하는 상인이었다. 그리고 제품이나 제조의
개량
을 위해서 여러 실험을 꾸준히 하고 있었다. 이런 환경 아래 리비히는 어릴 때부터 화학에 흥미를 가지게 되었다. 그는 화학 도서관에서 많은 화학서적이나 잡지를 통해서 화학의 지식을 얻는 한편, 책에 기술되어 ... ...
임목 육종 연구소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임목의 유전생리연구분야에서는 조직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대량증식 및 품질
개량
을 위한 실험을 하고 있읍니다. 특히 아배양법(芽培養法)에 의해 현사시와 이태리포플러의 눈(芽) 1개에서 매월 10~20배를 증식시켜 묘목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걸 밝혀냈읍니다. 또 리기테다소나무 성숙목 눈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머무를 것이며 창조성은 점차 빛을 잃게될 것이다. 발명은 간단한 생활용구의
개량
에서부터 인류사회의 흐름을 바꿔놓은 대발명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창조적 사고의 출발점은 동일하며 얼마만큼 발명의 사고방식을 생활화하느냐가 중요하다. 지금까지 우리나라 발명계를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