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한국
대한극장
극장
코리아
korea
스페셜
"
대한
"(으)로 총 7,15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아니요. 저는 뽀뽀하기 싫어요!”
2017.04.09
답한 적이 있다. 그러자 스탭은 “미안하긴 That's why we ask!”라고 해주었다. 내 몸에
대한
나의 의사를 흔쾌히 존중해주는 모습에서 편안함과 안전함을 느낄 수 있었다. 상대의 바운더리를 묻고 이를 존중하는 것이 나에게도 아직은 익숙하지 않은 일이다. 막상 거절당하면 언짢게 느껴질 것 같기도 ...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4.05
미국대비 아직 초기단계이지만 우수한 연구 인력이 많고 해당 분야의 논문 수에
대한
통계만 보더라도 일본을 뛰어 넘습니다. '랩온어칩'의 편집 자문위원은 1년에 한두 번 모임을 갖는데, 오는 4월에는 영국 케임브리지 본사에서 회의를 가질 예정입니다.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조윤경 그룹리더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소발생 광합성 역사 불과 25억 년?
2017.04.04
속에 시아노박테리아 산다고? 일은 엉뚱한 데서 시작됐다. 2005년 동물의 장내미생물에
대한
메타게놈 연구에서 시아노박테리아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유전자의 데이터가 좀 나왔다. 빛이 전혀 들어가지 않는 장 속에 광합성을 하는 박테리아의 유전자가 있다는 뜻밖의 결과였지만 박테리아 ... ...
스스로를 비난하는 사람들, 어떻게 될까?
2017.04.01
있음 3. 다른 사람의 시선을 지나치게 의식함. ‘안 좋은 사람’으로 평가받을 것에
대한
두려움이 큼 스스로에게 너그러울 줄 아는 사람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타인에게도 너그러울 줄 아는 경향을 보인다는 발견들이 있었다. 나를 파괴하지 않기 위해서,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또 주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산불의 추억
2017.03.28
이제 그만 이런 관행을 끊자는 말이다. 옛날 같으면 100% 공감했겠지만 산불다양성에
대한
논문들을 읽고 나니 우리 조상들이 수백 년 어쩌면 수천 년 동안 효과도 전혀 없는 일을 관습적으로 했다고 치부하기엔 좀 찜찜하다. 그리고 2005년 양양 대화재 역시 당시 초동 진화작전 미숙 등이 불을 ... ...
11만 년 전 동아시아에는 머리가 아주 큰 사람이 살았다
2017.03.14
수가 없다고 말했을 정도로 고품질의 DNA 정보를 확보했음에도 데니소바인의 생김새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다. 다만 어금니가 현생인류의 것보다 1.5배나 더 크고 네안데르탈인의 어금니보다도 커서 외모는 네안데르탈인과 비슷하면서도 좀 더 원시적으로 생겼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 수준이다. ... ...
권력형 성폭력, 어떤 경우에 더 많이 일어날까?
2017.03.12
크고 그 한 가지 수단으로 성폭력을 휘두르는 경향"이 있다는 결론을 내렸다. 여성에
대한
억압과 성폭력이 자신의 권력을 확인하는 한 가지 수단이 된다는 것이다. GIB 제공 ● 여성은 보상물? 또한 힘을 얻으면 섹스가 자동으로 따라오는 것이라는 인식(power-sex association)을 갖고 있는 사람들의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교수의 지도하에 IL10 유전자 발현조절 기작에
대한
분자 수준의 후성유전체학적 역할에
대한
연구에 몰두했다. 임 그룹리더는 '면역 질환 치료제 개발'이라는 꿈을 위해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 IBS 제공 '유산균 5형제'를 뛰어넘는 연구 2004년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공학부 교수로 부임한 그는 ... ...
난민과 이주민이 정말 ‘내 나라’에만 많이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이런 세계적인 현상에 발맞춰 네이처에서는 이주민 (혹은 난민) 과학자들의 삶에
대한
특집 기사를 내놨다. 시리아에서 브로커를 통해 망명해 독일에서 일하고 있는 지질학자 모하메드 알리 모하메드 씨의 사례를 비롯해, 그동안 미국에 와서 업적을 남겼던 이주민 과학자들이 현재 미국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동아사이언스
l
2017.03.05
따라서 잠수병을 막기 위해 특수 제작하는 호흡용 고압 기체 통에는 질소보다 혈액에
대한
용해도가 매우 작은 헬륨 등을 산소와 섞어 사용합니다. 그는 수심 30m-150m 사이 희미하게 빛이 드는 ‘트와일라잇 존(약광층)’에 서식하는 물고기들과 산호들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 SCIENCE / Sonia Rowely ... ...
이전
613
614
615
616
617
618
619
620
6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