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d라이브러리
"
지점
"(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와 감성이 공존하는 브라운아이드걸스 BASIC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웜홀을 지나야 훨씬 빠른 시간에 도착한다. 출발
지점
에서 가까운 블랙홀로 들어가 도착
지점
에 가까운 화이트홀로 나와야 한다는 얘기다. 하지만 화이트홀은 이론일 뿐, 아직까지 실제로는 밝혀지지마음 속 쿼크의 장난노래 제목인 ‘신의 입자’가 가리키는 것은 지난 2012년에 존재가 밝혀진 힉스 ... ...
매력적인 날개를 펴다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그림에서 화면의 오른쪽 모서리 끝에 맞닿은 부분을 작은 점으로 표시해요. 그 다음, 이
지점
에 화면의 가로길이에 해당하는 좌표를 주는 거예요. 게임이 시작되면 그림과 함께 이점도 왼쪽으로 움직여요. 이 점의 좌푯값은 점점 작아지다가 화면 왼쪽 모서리까지 오면 0이 돼요. ‘이 점의 좌푯값이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원통의 가운데에서 두 개의 빛이 교차하도록 레이저빔을 설치한 다음, 초파리가 그
지점
을 지나면 그림자가 생기도록 실험 상자를 설계했어요. 초파리는 갑자기 생긴 그림자를 보면 포식자가 공격하는 것으로 착각해요. 그래서 도망치기 위해 빠르게 비행경로를 바꾸지요. 연구팀은 1초에 7500장의 ... ...
폐허 위에서 품은 희망 네팔 지진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4월 25일 처음 발생한 규모 7.8의 대지진은 카트만두에서 북서쪽으로 약 81km 떨어진
지점
에서 일어났다. 연구팀은 이 지진을 일으킨 히말라야 단층지대 바로 위에 설치된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인공위성에서 측정한 자료를 토대로 지진이 일어난 70초 동안의 기록을 분석했다. 그 결과 단층이 ... ...
[생활] 요트 과학적 스포츠의 추억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선택한다. 이 속도를 ‘유효 속도’라고 한다. 지그재그인 길은 겉보기와 달리 사실 목표
지점
으로 가는 가장 빠른길이다. 요트를 유효 속도가 가장 빠른 길로 정확하게 움직여야 경기에서 이길 수 있다.바다 위에서 요트의 현재 상황에 맞는 유효 속도를 매번 계산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매 상황에서 ...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동시에 할 수 있다.송 교수는 “산화아연 미세광 전극체를 다발로 묶어 뇌신경의 여러
지점
에 꽂으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는 뇌신경 활동을 측정할 수 있다”고 밝혔다.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메소드’ 10월 12일자에 실렸다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인공위성을 이용한 지진 예측을 시도하고 있어요. 단층 주변에 GPS를 설치해 각
지점
이 얼마나 움직이는지 위성으로 관찰하는 거예요. 다른 속도와 방향으로 움직이면 지하에 힘이 쌓이면서 지층이 부서질 테니까요. 하지만 아직 뚜렷한 성과가 나오지는 않았어요.한편 일본의 과학자들은 지진을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때, 데이터가 절대 스마트폰에서 스마트폰으로 바로 날아가지 않는다. 통신망 내 연결
지점
을 의미하는 ‘노드’를 무수히 지난다. 노드는 정보를 인식한 뒤 처리하거나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런 중간전달자들이 있어야 정보가 손실되지 않고 무사히 끝점까지 도착할 수 있다.현재 우주에는 이런 ... ...
꿀벌이 새 집을 찾는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정찰벌들은 새 집을 찾으러 떠나지요. 야영지에서 멀지 않은 곳을 중심으로 후보
지점
을 검색하고, 맘에 드는 곳을 발견하면 수십 번 왔다갔다하면서 꼼꼼하게 조사해요. 집의 크기와 위치, 포식자로부터의 안전 등을 종합적으로 따져 보지요.정찰벌들이 새 집 후보지를 찾는 동안, 무리가 머물고 ... ...
한글을 그리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잡아당긴다고 생각해보자. 팽팽한 직선이었던 고무줄이 여러 곡선이 된다. 원하는
지점
을 어떻게 끌어당기느냐에 따라 고무줄은 다양한 모양과 방향으로 늘어난다. 여기에는 베지에 곡선이라는 수학식이 숨어 있다. 두 점을 잇는 선분을 일정한 비율로 나눈 점인 내분점을 이용하는 식이다. 그리고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