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오토마타로 배운다! 행성의 겉보기운동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때 평소와 반대인 ‘동’에서 ‘서’로 움직여 보여요. 이를 ‘역행 현상’이라
하지
요. 이는 지구와 행성들의 공전 속도가 서로 달라 상대적인 위치가 달라져 일어나는 현상이랍니다. 만들어 보자! 스스로 움직이는 기계 오토마타! 오토마타는 ‘스스로 동작하다’라는 뜻의 고대 라틴어에 ... ...
[기획] 현대로 이어지는 수학 명가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궁금한 점을 여쭤보면 조금씩은 알려주셨던 것 같지만 억지로 수학 공부를 시키거나
하지
않았어요. 그래도 특별한 점이 있었다면 아버지가 수학자여서 그런지 항상 집에 수학책이 많았어요. 어릴 때는 그 책들을 보곤 했었죠. 물론 어려워서 이해는 못 하고 정말 보기만 했어요. 볼펜이나 색연필로 ... ...
[질문하면 답해줌!] 왜 혀를 닦으면 헛구역질이 나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소리를 인식할 수 있어요. 따라서 일부 보청기는 골전도 원리를 활용해 개발되기도
하지
요. 또한, 물속이나 화재 현장처럼 주변의 소음이 심한 곳에서도 널리 사용된답니다. Q 인간은 잠을 자지 않을 수 없나요? / 이영채(jasica817) 1983년, 미국 시카고대학교 심리학과 앨런 렉트세이펀 교수 ... ...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아들?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분야를 컴퓨터 보안에 적용했습니다. 바로 ‘영지식 증명’입니다. 아래 그림을 볼까요?
하지
만 이때의 실험 과정을 녹화해 제3자에게 보여준다고 해도 여자아이가 열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증명하기 어렵습니다. 두 아이가 미리 어느 통로로 나올지 정했을 수도 있기 때문이죠. ... ...
코로나19 백신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1차 접종과 2차 접종을 모두 마친 후 14일이 지난 백신 접종자를 ‘예방 접종 완료자’라
하지
요. Q. 코로나19 백신은 왜 두 번 맞아야 하나요?코로나19 백신 외에도 대부분의 백신이 2번 이상 접종해요. 한 번 접종할 때에 비해 더 빠르고 강력한 면역 반응을 이끌 수 있기 때문이에요. 2021년 3월 ... ...
[가상 인터뷰] 거미줄 도르래로 무거운 것도 거뜬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아니라 바퀴벌레, 달팽이 껍질, 생쥐, 뱀 등 우리보다 덩치가 크고 무거운 먹이들도 거뜬
하지
.대단해! 무거운 먹이를 드는 비결이 뭐야?니콜라 푸뇨 교수 연구팀은 꼬마거미과 거미가 거미줄을 도르래처럼 사용하는 게 그 비결이라고 발표했어. 연구팀은 별무늬꼬마거미 네 마리와 또다른 꼬마거미과 ... ...
백남준의 꿈에 전기를 수혈한 작가의 ‘손’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화면이 나타난다. “당시 한국엔 분배기가 없을 때라 일본에서 수입해야 했죠.
하지
만 요즘처럼 개인이 수입하는 게 쉽지 않을 때라 두 달 안에는 절대 불가능한 일이었어요. 그래서 백 선생님에게 부탁해 삼성에서 분배기 제작에 필요한 부품인 IC칩을 지원받았죠. 분배기 85개를 제가 직접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2019년 전국의 중·고등학생 6만 100명을 조사한 결과도 일주일에 5일 이상 아침식사를
하지
않는 청소년은 일주일에 3일 이상 탄산음료와 패스트푸드 등 편의식품을 섭취할 확률이 1.35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doi: 10.4163/jnh.2020.53.3.255 잘못된 식습관은 장내 미생물에 그대로 반영됩니다. ... ...
[특집] 사람을 대신하는 AI 비서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모형(모델)을 만들어. AI에 쓰이는 학습 알고리듬도 수학자들이 만든 모형이야. 완전
하지
않은 데이터와 수학자가 도입한 여러 가정 등으로 인해 이 모형 역시 불확실성을 가질 수밖에 없지. 결국 데이터와 모형이 가진 불확실성 때문에 AI가 내놓는 답 역시 100% 확실하다고 장담할 수 없는 거야 ... ...
[수담수담] 수학으로 영화 속 비밀 푼다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참인 명제의 역도 참이라 여기는 논리적 오류에 빠지기 쉽다고 말했죠. 논리가 통
하지
않는다면 사람 사이에 갈등이 늘어나기 마련입니다. 상황을 분석하고 차근차근 풀어가는 수학적 사고방식만 있어도 사람 사이의 충돌은 줄어들 거라고 말했습니다.영민하다 님이 들려주는 수학의 쓸모와 영화의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