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북
각
hadj
haji
d라이브러리
"
하지
"(으)로 총 5,227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크래프트] #15. 인공위성은 지구를 얼마나 빠르게 돌까?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궤도에 있는 인공위성은 작용하는 중력이 작기 때문에 느린 속도로 움직여도 지구로 추락
하지
않아요. 특히 고도 약 3만 6000km에 있는 인공위성은 지구의 공전 속도와 같은 속도로 움직여 한 곳만 집중적으로 관찰할 수 있어요. 이런 위성을 정지궤도위성이라고 부른답니다. 오늘은 인공위성의 ... ...
가습기 살균제는 폐질환과 관계없다? ‘무죄 판결’ 둘러싼 과학적 쟁점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폐는 인체의 중요한 면역기관이기도 하다”며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사태가 발생
하지
않도록 흡입 노출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다양한 질환을 연구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 ...
AI 법학 │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사건의 경우에는 실제 피해당한 개인이 없는 한 영업의 자유를 제한하기 어려울 겁니다.
하지
만 도박이나 마약 사용을 처벌하는 것처럼 공동체적 가치나 후견적 개입(개인에게 스스로 돌볼 수 있는 판단 및 의사결정 능력이 부족한 경우 국가 등이 이를 대신하는 것) 필요성을 이유로 개인의 자유를 ... ...
[지사탐 인터뷰] 외래종 거북, 친환경적으로 잡는다! 구교성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생태적 지위가 겹쳐요. 남생이가 먹이나 서식지를 두고 외래종 거북과 경쟁해야
하지
요.심지어는 남생이가 사라질 수도 있어요. 중국줄무늬목거북과 남생이는 서로 번식이 가능해서 외래종과 교잡하면 유전자가 섞인 거북이 태어나거든요. Q 잡는 것 외의 근본적 해법이 필요한 것 같아요 ... ...
[가상인터뷰] 전기뱀장어, 함께 모여 사냥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약한 전류는 탁한 물속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볼 때 쓰고, 강한 전류로는 먹잇감을 사냥
하지
. 순간적으로 최고 850V(볼트)에 달하는 전압을 만들 수 있는데, 전기를 만드는 어류 중에서는 가장 강력해!물속에 있으니 우리도 전기의 영향을 받는데, 전기 충격의 영향을 줄이기 위해 내장 기관은 몸 ... ...
[2021 소미더뭐니] 최고의 흰 소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수가 매우 부족해요.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에서 정한 멸종 위험 및 위기 품종이기도
하지
요. 백우는 현재 우리나라에 25마리밖에 없어요. 생물의 다양성이 감소하는 상황에서 다양한 한우 유전자원은 국가의 소중한 유산이에요. 그래서 백우 복제를 통해 멸종위기 백우를 되살리려고 하는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사실을 바탕으로 금성 대기에 미생물의 존재를 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하지
만 연구가 발표되고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아 분석 결과가 잘못됐다는 논문이 나왔습니다. doi: 10.1051/0004-6361/202039717 포스핀을 발견한 그리브스 교수팀은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천문대(JCMT)와 아타카마 대형 ... ...
[여섯 번째 대멸종] 원인이 뭐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대체 생물들이 사라지는 이유는 뭐냐고? 대멸종의 원인은 다양해.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대멸종이 일어나기도
하지
. 그 원인들을 하나하나 말해줄게! ...
[SF소설] 날아올라라, 우주 고양이 나비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최대한 미치지 않도록 경기장을 초공간 지대에 두도록 했다. 특수 우주선을 통해서 접근
하지
않으면 아무도 올 수도, 갈 수도 없는 그곳에서 지구의 고양이와 우리우리스 종족의 가장 강력한 장사가 서로 결투를 벌였다.우리우리스 종족의 장사는 양쪽 손이 핵융합 폭발을 일으킬 수 있도록 개조돼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문제 푸는 것을 평소에 많이
하지
만 문제를 내는 건 해볼 기회가 없잖아요. 저는 남들이
하지
못하는 특별한 경험을 하는 것이 의미 있다고 생각해서 문제 내는 것을 더 좋아합니다. 문제를 낼 때는 배운 개념이나 이론을 응용하고, 거기에 자신의 생각이나 창의력까지 섞으면 더 좋아요. 생각하는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