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균관대학교
성대
성균관대학
성균관
뉴스
"
성균관대
"(으)로 총 705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시선발 70% 육박… 한국사 3등급 넘으면 무난
동아일보
l
2015.05.14
한양대, 이화여대 등은 인문계열은 3등급 이내, 자연계열은 4등급 이내면 만점이다.
성균관대
와 중앙대는 4등급 이내면 만점이다. KAIST의 경우 2등급 이내여야 만점(5점)을 받을 수 있어 다른 대학에 비해 기준이 엄격한 편이다. 그러나 대체로 3등급 이상을 받으면 되기 때문에 큰 부담은 없다는 것이 ... ...
온도 하나로 반도체와 도체 넘나드는 신기한 금속
2015.05.05
반도체와 금속을 넘나드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양희준 기초과학연구원(IBS) 연구위원(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사진) 팀은 15도에서는 반도체였다가 500도로 가열한 뒤 상온으로 낮추면 도체가 되는 소재를 세계 최초로 개발하고 물리학 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처 피직스’ 4일자에 발표했다. ... ...
논술 선발 많은 상위권대, 출제경향 익힐 좋은 기회
동아일보
l
2015.04.30
문제지와 답안지, 문제 해설지를 배송해 학교별로 모의논술을 치르게 하는 방식을 쓴다.
성균관대
차원에서 채점을 해주지는 않는다. 개인적으로 모의논술을 치르고 싶은 경우에는 6월 26일 이후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시험 자료를 구할 수 있다. 모의논술을 온라인으로 실시하는 대학들도 있다. 지방 ... ...
패혈증 치료 후보물질 ‘스매듀신-6’ 개발
2015.04.28
이중 절반은 사망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패혈증을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박석희
성균관대
생명과학과 교수와 이연숙 연구교수팀은 ‘스매드-6(Smad6)’ 단백질에 주목했다. 이 단백질은 염증성 질환을 제어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매드-6는 신호를 전달하는 단백질인 ‘펠리노-1(Pellino-1) ... ...
[프리미엄 리포트 4] 모험과 자율성에 다 걸어라
2015.04.20
정확하다”면서 “국내에서도 동료 평가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태일
성균관대
교수도 “논문 수로 평가하는 정량적인 방식은 소모적이며 단순화된 연구 결과만 양산하기 쉽다”고 지적했다 ... ...
‘신의 입자’ 찾은 가속기 ‘시즌2’ 시작
2015.04.10
현지에서 뮤온 입자 검출기의 성능을 확인하고 소프트웨어 개발을 총괄한 고정환
성균관대
박사는 e메일 인터뷰에서 “현재 가속기와 검출기 등 LHC의 모든 부분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시운전을 하면서 최종 점검 중”이라면서 “이르면 6월 본격적인 실험이 시작될 것”이라고 말했다. LHC가 ... ...
빛으로 수소 만드는 효율 7배 높였다
2015.04.06
KIST) 손동익, 배수강 선임연구원, 박종혁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김정규
성균관대
나노과학기술학부 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청정에너지인 수소를 생산하는 소재의 안정성과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손동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팀은 ... ...
서울~대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배터리 나온다
2015.04.06
편도 노선을 가까스로 다닐 정도이며 언덕 등을 만나면 거리는 더 줄어든다. 박호석
성균관대
화학공학과 교수(사진)팀은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 용량을 2배 이상 늘릴 수 있는 전극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보다 출력이 높아 언덕도 쉽게 오를 것으로 ... ...
세계 최고 효율 열전(熱電) 소재 개발
2015.04.03
높은 새로운 열전 소재를 개발해 학술지 ‘사이언스’ 3일 자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는
성균관대
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이 공동 참여했다. 열전 소재는 이론적으로 열만 있으면 전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열전 소재는 효율이 낮아 일상생활보다는 미사일 ... ...
[SW가 미래다 1] “소프트웨어는 창의성 위한 훌륭한 도구”
2015.04.03
교육을 받으면 문제 해결 능력 등 사고력이 향상된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안성진
성균관대
컴퓨터교육과 교수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과 논리적 사고 능력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논문 100여 편을 모아 메타분석을 실시해 지난해 그 결과를 발표했다. 메타분석은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