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균관대학교
성대
성균관대학
성균관
뉴스
"
성균관대
"(으)로 총 705건 검색되었습니다.
17.9% 세계 최고 효율 태양전지 개발
과학동아
l
2014.07.10
비중을 끌어올릴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석상일 한국화학연구원 연구위원(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 연구팀은 차세대 태양전지로 꼽히는 ‘무․유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발전효율을 세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릴 수 있는 구조와 제조 기술을 개발했다고 10일 밝혔다. ... ...
‘류현진 직구급’ 우주선이 지구로 돌진?
과학동아
l
2014.07.08
가능성은 약 1만 분의 1에 불과할 정도로 정확하다. 연구에 참여한 박일흥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는 “극한에너지 우주선이 우주에서 균등하게 날아오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곳에서 기원한다는 사실을 밝힌 데 큰 의의가 있다”며 “이런 우주선이 만들어지는 곳이 어디인지 앞으로 알아낼 ... ...
내시경 검사 괴로움 없앨 새 검사법 나오나
과학동아
l
2014.06.30
있는 검사 기술을 개발해 주목을 받고 있다. 주진수 고려대 물리학과 교수팀은
성균관대
와 미국 미시간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생체 물질을 검출할 수 있는 나노 크기의 ‘수송관(나노광도파관)’을 개발했다고 6월 30일 밝혔다. 주진수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광도파관의 개념도. 나노선에 ... ...
색깔 변하는 유리창, 초간단 제작 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14.06.10
쓰이는 전기변색소자를 더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이효영
성균관대
화학과 교수팀은 그래핀 양자점을 활용해 전해질 없이도 안정적인 전기변색소자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10일 밝혔다. 전기변색소자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색깔이 변하는 전기변색 물질을 ... ...
사이언스브리핑
과학동아
l
2014.04.18
이날 기공식에는 신희섭 IBS 원장 직무대행을 비롯해 김준영
성균관대
총장, 서정돈
성균관대
법인이사장, 용홍택 미래창조과학부 연구공동체 정책관 등이 참석했다. 나노구조물리연구단과 뇌과학이미징연구단 등 IBS 연구단이 IBS센터에 입주할 예정이다. IBS센터는 앞으로 10년 동안 나노 및 뇌과학 ... ...
[과학의 달 기획]사이언스 마이크: 당신에게 과학이란? ②
과학동아
l
2014.04.16
이동이 발생하면서 전류가 흐른다. 이를 이용, 다양한 분야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다. -
성균관대
제공 ●“동료의 성과? 부럽지만 시기 질투는 없어요” 대학원생들은 자신이 진행하는 연구가 잘 진척되지 않으면 힘들 때도 있다. 그것보다 동료가 앞서 나가는 것을 보며 부러울 수도 있다. ... ...
고온 초전도체, 언제쯤 나올까
과학동아
l
2014.04.09
수 있으리란 기대감에서다. 그러나 아직까지 관련 연구는 걸음마단계다. 박두선
성균관대
물리학과 교수는 11일 오후 6시 30분 대구 중앙도서관에서 ‘재미있는 초전도 이야기’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박 교수는 초전도현상과 1986년 발견된 고온초전도현상의 원리를 설명하고, 이 현상들이 여러 ... ...
바이러스로 정수기 필터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4.04.06
얻었다. M13 바이러스로 만든 분리막(초록색)을 수면 위에 띄워 놓은 모습. - 유필진
성균관대
교수 제공 연구진이 이 분리막을 시험한 결과 단위 시간 동안 1m2당 1000리터 이상의 물을 걸러내며 기존 분리막보다 투과 능력이 2~4배 뛰어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10nm 크기의 초미세입자를 걸러내는 ... ...
사이언스 브리핑
과학동아
l
2014.04.04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황성우 나노일렉트로닉스랩팀 전무와
성균관대
황동묵 신소재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진은 ‘꿈의 소재’ 그래핀을 넓은 면적으로 만드는 기술을 개발해 ‘사이언스’ 4일자에 발표했다. 기존 방법보다 성능이 뛰어난 단결정 그래핀을 5cm 크기로 만들 수 있고 유해 물질을 ... ...
꿈의 소재 ‘그래핀’ 실용화 성큼
과학동아
l
2014.04.04
주목받고 있다.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황성우 나노일렉트로닉스랩팀 전무와
성균관대
황동목 신소재공학부 교수 공동 연구진은 성능이 뛰어난 단결정 그래핀을 지름 약 5cm 크기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진은 반도체를 만들 때 쓰는 지름 5cm의 실리콘 기판 표면에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