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040건 검색되었습니다.
난치성 만성통증 치료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① 당뇨, 외상, 항암제 등으로 말초신경이 손상되면 ②손상된 신경은 저절로 퇴화된다. ③미처 제거되지 못한 손상된 신경은 자연살해세포가 ...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고 소회를 밝혔다. 연구팀은 NK세포 전문가 등과 함께 환자 대상
실험
을 해 이 연구 결과를 사람에게 적용시킬 계획이다 ... ...
기초연구 부족으로 상용화 속도 더딘 '인공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2017년 8월 미국의 인공고기 스타트업인 ‘멤피스 미트’에 수천만 달러를 공동 투자했다.
실험
실에서 키운 인공고기가 인류의 미래 먹거리가 될 것이란 기대다. 하지만 굵직한 투자에도 불구하고 인공고기 상용화는 기대만큼 이뤄지지 않고 있다. 기초연구 부족으로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 ...
퇴행성관절염 원인 알고보니 ‘콜레스테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원인은 물론 근본적인 예방 및 치료법이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생쥐를 활용한
실험
에서 고농도 콜레스테롤 식이요법이 퇴행성관절염 진행을 촉진한다는 것을 알아냈다. 정상 연골에 비해 퇴행 연골에서 콜레스테롤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유입돼 증가한 것이다. 퇴행 연골세포에서 ... ...
‘지우고 싶은 공포 기억’ 제거 돕는 뇌 속 효소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공포를 느낄 필요가 없다”는 새로운 학습을 시키는 것이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PTSD
실험
에서도 쓰는 방법으로, 예를 들어 “비행기 소리가 전쟁이 아니니 괜찮다”고 반복 학습시켜 전쟁 PTSD를 치료하는 식이다. 원래 이 과정은 오랜 시간이 걸린다. 그런데 이노시톨 대사 효소를 만들지 않는 ... ...
美연구진, 대장균 유전자도 교정하는 ‘크리스퍼’ 기술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2.06
지난 2016년 Cas9에 비해 Cpf1의 유전자 교정 정확도가 더 뛰어나다는 사실을
실험
을 통해 입증하고 학계에 보고하기도 했다. 이번에 다우드나 교수를 비롯한 UC버클리 연구진이 규명한 새로운 효소는 CasX로 불린다. 연구진이 크리스퍼-CasX 기술을 적용한 결과 인간 유전체 교정은 물론 대장균의 특정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세포핵에서 세포사멸 프로그램이 작동해 소멸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근핵영역가설은
실험
으로 증명되지 못했다. 이를 지지하는 결과도 있지만 어긋나는 결과도 나왔다. 이런 혼란은 근육에서 근육세포만을 따로 관찰하기가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런데 리뷰논문에 따르면 최근 측정기술이 ... ...
3D 프린터로 척수 임플란트 제작
과학동아
l
2019.02.06
한다. 연구팀은 2mm 길이의 임플란트를 제작해 쥐의 척수 손상 부위에 이식하는 동물
실험
을 진행했다. 그 결과 손상 부위의 척수가 재생됐고, 다리의 운동 기능도 회복됐다. 투진스키 교수는 “10분이면 사람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4cm 길이의 임플란트를 인쇄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038/s41591-0 ... ...
스모그 먹고 자란 박테리아가 미세먼지 된다
과학동아
l
2019.02.05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2017~2018년 네 차례에 걸쳐 스모그 샘플을 수집했다. 연구팀이
실험
실에서 이 샘플을 분석한 결과, 스모그에는 아시네토박터, 고초균 등의 박테리아가 섞여 있었고 종별로 50~70%가 스모그 속에서도 계속 생존했다. 연구팀은 박테리아들이 스모그 내 오염물질을 먹고 자라는 ... ...
스트레스도 가족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5
후손의 스트레스에 대한 면역반응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울타리 도마뱀을 대상으로
실험
을 진행했다. 울타리 도마뱀은 미국에 서식하는 도마뱀의 일종으로 강한 공격성을 가진 불개미와 함께 살아간다. 불개미는 울타리 도마뱀에게 많은 스트레스를 준다. 울타리 도마뱀을 물거나 찌르고 ... ...
움직이는 후각 유전자가 냄새 구별해
과학동아
l
2019.02.04
푸는 데 성공했다. 스타브로스 롬바르다스 미국 컬럼비아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은 쥐
실험
을 통해 한정된 수의 유전자만으로 수많은 냄새를 구별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9일자에 발표했다. 인간의 경우 1000만 개의 후각 뉴런과 400여 개의 후각 수용체 ... ...
이전
620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