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040건 검색되었습니다.
실험
기간만 ‘500년', 인간수명 넘어서는 과학프로젝트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4
이
실험
을 이어서 해준다는 보장이 없다는 점이다. 연구진은
실험
조건과 방법이 담긴
실험
안내서를 USB 메모리와 종이에 프린트해 남기고, 25년마다 안내서가 적절한 방식으로 보존될 수 있도록 복사해달라는 요청도 덧붙였다. 연구진의 랄프 묄러 독일 항공우주센터(DLR) ... ...
[표지로 읽는 과학]‘게르마늄’ 존재 믿은 멘델레예프 주기율표를 제안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3
“주기율표는 단순히 화학적인 영역에만 있는 게 아니다”라며 “전 세계 모든 화학
실험
실과 교실에 걸려 ‘우리는 여기서 과학을 한다’고 알리는 깃발 또는 배너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1869년 멘델레예프는 당시 알려진 모든 화학적 원소를 분류한 주기율표를 처음 내놨다. 각 원소의 ... ...
“유사과학은 지식 아닌 사고방식 문제...과학적 사고 교육 중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답이 정해져 있고, 그 답 이외에는 실수나 무지 등 비정상적인 절차로 생긴 틀린
실험
결과’라는 잘못된 믿음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아직 정해진 결론이 없는 최고 분야 과학자들은 지금도 싸우고 설득하며 합의에 이르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이렇게 지식이 만들어지는 방식에 대해 ... ...
우주에서 ‘당’ 만들어진다?
과학동아
l
2019.02.01
미국항공우주국(NASA) 아베스연구센터 연구원팀은 우주 공간을 모방한 조건을 갖춘
실험
실에서 DNA의 당 분자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018년 12월 1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우주 환경을 모방하기 위해 물과 메탄올 분자를 절대영도(영하 273.15도)에 가까운 ... ...
"블랙홀 미스터리 풀 열쇠"…韓, 중력파검출기 '소그로'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19.02.01
위해 계속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협력단은 올해 한국천문연구원을 통해
실험
그룹을 꾸리고 소그로 요소 기술 개발을 위한 연구과제를 제안할 계획이다 ... ...
스페이스X, 이번엔 페어링 캐치에 도전…100%재활용 로켓시대 열리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스페이스X는 이달 30일 트위터에 스페이스X 페어링 회수
실험
영상을 공개했다. 페어링이 페어링 회수 선박 '스티븐 씨'의 그물에 걸렸다 떨어지 ... 줄일 수 있다”며 “관련 연구를 진행중”이라고 했다. 30일 스페이스X 페어링 회수
실험
동영상: https://twitter.com/i/status/1090400806703001600 ... ...
로봇의 다음 정복대상은 '젠가'
동아사이언스
l
2019.01.31
후 88.2%까지 올렸다. 탑이 무너지기 전에 얼마나 많은 블록을 뺄 수 있는지를 여러 명의 피
실험
자와 비교했을 때에도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연구팀은 인간과 경쟁하려면 갈 길이 멀다고 봤다. 알베르토 로드리게스 교수 연구팀 제공 연구팀은 인간과 경쟁하려면 갈 길이 ... ...
자연에서 얻은 아이디어로 고장난 혈관 대체할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30
연구팀은
실험
실에서 줄기세포를 정렬한 조직과 그렇지 않은 조직을 배양해 비교했다.
실험
실에서 조직을 배양한 지 7일이 지나자 줄기세포를 정렬한 조직은 한 방향으로 혈관이 자라나는 모습을 보였다. 혈관도 10배 이상 잘 형성됐다. 정렬 배양한 조직은 무작위로 배양한 조직에 비해 혈관의 ... ...
주기율표 곳곳을 채운 화학의 '히든 피겨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독일 화학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에 소개했다. 1938년 마이트너와 한이 페르미의
실험
에서 56번 원소 바륨(Ba)이 발견되는 것을 확인하며 노다크의 핵분열 개념이 입증됐다. 한은 리제 마이트너의 계산이 원자 핵분열의 중요한 증거가 되었음에도 1939년 이를 발표한 논문에 마이트너의 이름을 넣지 ... ...
”깜깜이 대학원 진학은 낭비, 학생·교수 참여 통해 공정성 높일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했을 때 치러야할 기회비용이 너무 큰 것도 문제다. 유 대표는 "한국은 제도적으로 다른
실험
실로 옮길 수 있지만 현실적으론 거의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지도 교수가 졸업에 대한 절대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 교수와 연구실이 맞지 않아 나왔지만 이런 사실이 꼬리표처럼 붙어다니는 ... ...
이전
621
622
623
624
625
626
627
628
62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