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중요한 이유가 있다. 가제트의 작동원리 속에는 “머릿속에서 생각이 달라지면 뇌파의
모양
이나 특징도 그때마다 달라져야 한다”는 가정이 담겨있다. 그렇지 않으면 “가제트 만능 팔!”하고 외쳤을 때 엉뚱하게 미사일이 발사되는 일이 발생할 수도 있으니까. 그러나 뇌파가 뇌의 정보처리 과정에 ... ...
양자세계의 토끼 사냥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유리에 해당하는 것은 적당한 전기 포텐셜로 만들 수 있다(그림).이렇게 생긴 포텐셜의
모양
을 포텐셜 장벽이라고 한다.이때 고전적으로는 입자의 역학적 에너지가 포텐셜 에너지보다 작은 경우에는 입자는 이 포텐셜을 절대로 통과할 수 없다.하지만 양자역학적 세계에서는 빛이 유리를 통과하는 ... ...
우리 속 동물들의 스트레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울타리를 칠 수 없게 된 천산갑이 받은 스트레스가 정도를 넘어선 것이다.고슴도치
모양
이면서 토끼만한 호저(표큐파인)는 성적으로 흥분하면 대량의 오줌을 싸 상대방을 흠뻑 적신다. 기린은 막 떨어지는 암컷의 오줌을 혀로 받아 음미함으로써 혼인의 적기를 가늠한다. 오줌에 섞여있는 호르몬이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벗어나는 기본적인 방법은 날거나 뛰는 것이다. 그도 아니면 카멜레온처럼 몸의
모양
이나 색깔을 주위 환경과 비슷하게 해 적을 속이거나, 독을 가지고 있어 아예 식단에서 제외하게 만들기도 한다.그런데 ‘나 여기 있소’하고 대놓고 울어대는 곤충도 있다. 바로 매미가 그렇다. 물론 매미도 ...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윤곽이 환하게 드러난다. 주변이 지나치게 환하거나 어둡거나 간에 사물의 윤곽과
모양
이 선명히 나타나는 것이다.색상 항상성이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자. 과일바구니를 붉은색, 흰색, 그리고 파란색 조명 아래에 놓으면 각 경우 기존의 인공시각시스템은 과일색을 다르게 인식한다(그림 2). 하지만 ... ...
2. 모두가 제각각 은하의 모습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쏟아져 나오고 있다. 지금까지 은하의 형태학적 분류는 사진 건판에 나타난 은하의
모양
을 보고 눈으로 하나 하나 분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우리은하를 여러 파장에서 관측한 결과에서 잘 나타나는 것처럼 한 은하가 다른 파장에서는 다른 형태로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다. 어떤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③ 교실을 국립민속박물관으로 옮겨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수 있도록 구멍이 있는 판이 있다. 허리부분에는 증류된 에탄올이 나올 수 있도록 긴 코
모양
의 대롱이 달려있다. 이 소주고리의 위에는 뒤집힌 솥뚜껑이 덮여있다. 술밑을 솥에 넣고 그 솥 위에 시루처럼 이 소주고리를 얹어 놓고 가열한다. 기체 에탄올이 솥뚜껑에 작은 액체방울로 맺히기 시작할 ... ...
머리카락이 자연스러운 애니메이션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3월 서울대 휴먼애니메이션 연구단은 자연스러운 머리
모양
을 자연스럽게 연출할 수 있는 애니메이션 기술인 ‘SNU - HAIR’를 개발했다. 머리카락 하나하나의 변화를 얼굴의 움직임과 바람 같은 외부요인의 작용에 따라 표현해 캐릭터 애니메이션의 사실성을 한단계 높이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 ... ...
동물의 아비사랑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그렇게 진화한 것이다.이렇듯 모성애가 본능이라면 부성애는 후천성을 가지는
모양
이다. 모성애 못지 않게 부성애 역시 너무나 숭고하다. 가족의 고난을 극복하기 위한 처절한 노력, 그리고 묵묵한 애정 표현이 바로 아비의 사랑인 것이리라 ... ...
만약 산소 반응성이 두배 높아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세계에서 귀족들은 유유상종한다는데 원소 세계의 귀족들은 철저하게 고독을 즐기는
모양
이다. 비활성기체의 발견으로 레일리는 1904년 노벨 물리학상을, 램지는 같은 해에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결합 원리, 누이 좋고 매부 좋고반응성이 거의 없어 0족 원소로 불리는 비활성기체의 발견은 어떤 ... ...
이전
634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