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벽돌, 우주장님은 코끼리의 모습을 알아내기 위해 촉각을 사용해 손으로 만져서
모양
을 추정한다. 이 방법은 코끼리의 각 부위의 구조 연구에는 쓸만하지만, 코끼리의 전체 모습을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천문학자들은 촉각 대신에 시각만을 이용해 전혀 만져볼 수 없는 우주의 모습을 ... ...
망원경으로 엿본 은하마을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보는 우리은하도 이만큼 작고 어둡게 보일 것이다.6번별에서 1도 남동쪽에는 바람개비
모양
의 팔을 가진 M99가 있다. M99는 역사적으로 로스 경이 M51에 이어 ‘성운’에서 두번째로 나선팔 구조를 인식한 은하로 알려져 있다. 9.9등급으로 비교적 밝고 Sc형 정면 나선은하여서 구경 10인치 망원경으로도 ... ...
공룡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머물면서 5종의 다른 노도사우르 갑옷공룡들을 조사했다.이 과정에서 노도사우르의
모양
에 대한 새로운 추측이 제시됐다. 노도사우르의 가장 큰 특징은 이들이 항상 머리를 약 50°정도 수그린 채 살았다는 점이다. 이 자세는 낮게 자라는 풀을 뜯어먹기에 유리하다. 그렇다면 숙여진 머리를 지탱하기 ... ...
수증기로 성냥불 켜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사이의 인력이 거의 없어 서로 멀리 떨어져 있다. 기체는 약한 인력 때문에 부피와
모양
이 온도와 압력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흔히 물을 끓일 때 눈에 하얗게 보이는 것을 수증기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하얗게 보이는 것은 수증기가 순간적으로 냉각돼 물방울로 응결된 것이다. 액체인 ... ...
3. 우리은하는 어떻게 탄생했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그룹의 구상성단이 만들어졌다는 증거가 됐다. 또한 허블망원경을 통해 관측한 안테나
모양
의 충돌 은하 NGC4038과 4039는 이런 일이 우주에서 실제로 일어나고 있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허블우주망원경 영상을 잘 살펴보면 어린 구상성단이 많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최근 개봉 SF영화 리뷰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진폭 등을 X,Y,Z축의 3차원 도표에 옮긴 것이다. 영화에서 이 그래프를 DNA의 이중나선
모양
과 어떻게 일치시켰는지 생각해본다.GALAXY QUEST갤 럭시 쾌스트감독/딘 패리섯주연/팀 알렌, 시고니 위버-작품소개와 줄거리-너무나도 유명한 SF 시리즈인 ‘스타 트렉’을 철저하게 패러디한 코미디로서 ... ...
오래 쓰고 전기료 싼 3파장 전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형광등은 지름이 12mm정도로 가늘다. 그리고 전체 램프
모양
의 길이를 짧게 하기 위해 U자
모양
으로 구부린 후 다시 2-3개를 연결한다. 이렇게 하면 긴 형광등이 백열전구처럼 작아진다.다음 문제는 램프가 작아지면 일반형광등보다 온도가 높아져 효율이 저하되며 수명도 짧아진다는 점이다. 주위 ... ...
소비자와 직접만나는 델컴퓨터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모방했지만 아무도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전략은 간단해도 실천하기는 무척 어려운
모양
이다.델은 그의 저서 ‘직접 팔아라’(Direct from Dell)에서 “나는 어릴 때부터 불필요한 단계를 없애는 것에 관심이 많았다”고 말한다. 8살이던 초등학교 3학년 시절 그는 “간단한 시험만 통과하면 고등학교 ... ...
2001 우주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표면에 있는 거대한 선돌을 발견한다. 달에서 발견된 것과 똑같은 1:4:9 비율의 직육면체
모양
인, 그러나 높이는 6백m가 훨씬 넘는 거대한 선돌을.그는 스페이스퍼드를 타고 나가서 선돌에 착륙한다. 그 순간 보먼은 믿기지 않는 상황에 직면한다. 마치 선돌의 안팎이 뒤집힌 것처럼, 별로 가득 찬 ... ...
발상의 전환으로 무에서 유를 창조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생각을 한다. 상대방에게 미안한 줄은 알지만 쉽게 고쳐지지 않는다고 하니 어쩔 수 없는
모양
이다.서울대 이공계열로 들어온 노태원 교수는 막연하게 공학을 공부하고 싶어했다. 그런데 전공을 정할 때 지도교수이던 최병두 교수가 물리를 해보고 대학원에 가서 공학을 해도 좋을 것이라고 ... ...
이전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