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전자 질량이 양성자와 비슷해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자리한 양성자는 전자기력으로 전자와 상호작용하면서 전자의 에너지와 오비탈의
모양
등 전자의 모든 행동 양식을 결정한다. 이처럼 원자의 핵심 세력인 양성자와 양성자들을 묶어 줘 1백가지 정도의 다른 원소들을 가능하게 하는 중성자는 양성자와 함께 원자의 핵을 형성한다. 반면 전자는 ... ...
진화가 대칭성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간과 맹장은 오른쪽으로 치우쳐 있다. 또한 오른쪽 폐는 왼쪽보다 크다. 장이 감겨있는
모양
과 방향은 완전히 비대칭이다. 무엇보다도 사람의 행동이나 습관 중에는 두드러지게 비대칭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일례로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오른손잡이이다. 오른 손은 왼쪽 뇌의 지배를 받는다. 즉 ... ...
다섯행성을 어떻게 찾았을까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다른 사람에게 그 위치를 설명하기도 쉬웠을 것이다.그래서 밤하늘을 펼쳐 별들을 어떤
모양
에 따라 짜 맞추기 시작했다.이것이 오랫동안 전통으로 굳어지면서 별자리가 정해졌다.별자리 가운데에는 매일 뜨고 지는 것들도 있지만 북극성 주변처럼 항상 하늘 북쪽에 머물러 있는 것이 있다.나침반이 ... ...
1월 1일 0시의 자오선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태양을 돌고있는 수성과 금성은 가끔 지구와 태양 사이로 들어와, 작은 흑점같이 까만 점
모양
으로 태양면을 지나가는 모습을 연출한다. 옛날 우리 조상들은 이 현상을 국가에 중대한 변고가 생길 전조라고 생각해 매우 주의해서 관측하고 국왕에게 보고했다. 수성의 태양면 통과는 항상 5월과 11월에 ... ...
Ⅲ. 민속학/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그래도 간혹 서낭당을 만날 때가 있다. 이러한 서낭당 말고도 마을 입구에 잡석을 원뿔대
모양
으로 쌓아올린 탑도 있다. 불교 사찰의 탑이 아니라, 마을 입구의 하당신인 할아버지탑, 할머니탑인 것이다. 음력 정초가 되면 나쁜 액운이 들었다고 염려하는 사람들은 마을 부근의 서낭당에 무당과 함께 ... ...
물질의 비밀을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마이크로파를 쪼여줄 때 일어나는 현상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하게 이용된다. 분자의
모양
과 대칭성에 대한 호기심은 단순한 이유에서 출발했지만 분자의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은 물론 화학반응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분자의 구조에 대한 관심은 더욱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는 ‘해 그림자’를 뜻하므로, 앙부일구는 요즘의 말로 ‘해 그림자로 시간을 보는 솥
모양
해시계’이다. 지나다니는 사람들이 앙부일구 안에 나타난 해그림자를 보고 시각을 알 수 있었으니 서울역 광장의 시계탑처럼 누구에게나 시간을 알려주는 공중시계였다. 시간을 읽지 못하는 현대인 세종 ... ...
DNA고고학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1천5백여년 전 삼국시대에 살았다고 추정된 사람들의 뼈가 발견됐다. 무덤 안에서 항아리
모양
의 관(옹관) 3기가 있었는데, 흥미롭게도 모두 두사람 이상을 함께 장사지낸 듯 각 옹관마다 2개 이상의 두개골이 발견됐다.그렇다면 이들은 생전에 어떤 관계를 맺고 있었을까. 같은 마을의 사람이었을까 ... ...
용, 아홉가지 동물의 키메라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나타나면 다음날 행운이 온다고 믿고 있다. 용은 비록 아홉 가지 동물이 합쳐진 기괴한
모양
이지만, 괴물이 아닌 착하고 친근한 동물로 생각하는 것이다. 새해 들어 첫 진일(辰日, 용의 날을 뜻함)을 상진일이라고 한다. 이 날에는 새벽에 주부들이 물동이를 이고 서로 먼저 우물에서 물을 긷기 위해 ...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자세히 알려져 있다. 크기는 1.9-9m로 다양하다. 이빨은 작고 단순하며 약간 톱니
모양
인 점을 빼고는 별 특징이 없다.불쑥 돌출한 파키케팔로사우리아의 머리뼈는 오늘날의 산양처럼 암컷을 차지하기 위해 수컷끼리 서로 박치기를 할 때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왜냐하면 목뼈가 충격을 방지하게 ... ...
이전
639
640
641
642
643
644
645
646
6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