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차지하는 단백질이 바로 ‘카제인’이다. 카제인이란 즉, 정제된 우유단백질이다. 그런
데
카제인은 물에 잘 녹지 않아 커피 프림으로 곧 바로 쓰기 어렵다. 그래서 카제인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알칼리 처리를 해서 물에 잘 녹도록 만들었다. 이것이 바로 카제인나트륨이다. 남양유업의 ... ...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통해 나노 입자를 관찰하고 있다.] “어떻게 물리를 싫어할 수가 있죠?”공학자가 되는
데
가장 중요한 과목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최 교수는 망설임 없이 물리를 꼽았다. 하지만 물리를 싫어하는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물리의 매력을 알려달라는 질문에는 허허 웃으며 황당하다는 기색을 드러냈다 ... ...
진흙 속 진주 : 일렉트로웨팅(electrowetting)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카메라 모듈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② 액체로 종이를?현재 전자종이는 화면이 바뀌는
데
걸리는 시간이 길다. 그래서 입자 대신 유동성이 큰 액체로 전자종이를 만들려고 시도하고 있다. (…중략…)③ 손바닥 위의 실험실 랩온어칩(Lab on a Chip)(…중략… ... ...
[4월] 과동
데
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있다. 사람들의 일상이나 진부한 소재로 흥미를 유발하다 보면 자칫 관심을 유도하는
데
만 그칠 수 있다. 이럴 때 과학 지식과 원리에 대한 간결한 설명은 기사의 무게 중심을 잡아 준다. ‘진흙 속 진주:일렉트로웨팅’ 기사는 중간에 전기모세관 현상과 일렉트로웨팅 현상을 설명하며 중심을 ... ...
실패를 새로운 아이디어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개발에 대한 연구를 한다. 대학원 때 하던 연구와 같은 분야는 아니다. 그러나 연구하는
데
필요한 체계적 사고와 기초지식은 지금도 큰 도움이 된다. 대학원 시절이 소중한 순간이었다는 생각을 해본다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당황했지만, 이렇게 찾아다닌 강연에서 얻은 최신 과학 동향은 연구의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됐다.스펙보다 중요한 것이런 노력 덕에 흔히 말하는 ‘스펙’이라고 할 만한 것도 쌓였다. 하영 군의 포트폴리오는 화려하다. 각종대회 수상경력부터 강연, 과학캠프 참여까지 가짓수가 60을 넘는다. ... ...
Part2. 최강 독 TOP 15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돇어물질인 아세트알
데
하이드는 효소(알
데
하이드디하이드로제네이스)가 분해하는
데
이 효소를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일수록 술에 쉽게 취하지 않는 등 독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자연의 잔혹한 미소 - 독의 화학Part1. 독, 잔혹한 욕망에 빠지다Part2. 최강 독 TOP 1 ... ...
Part1. 초호화 여객선 타이타닉은 왜 침몰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놓아두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양측 모두 타이타닉 본체를 인양하는
데
는 부정적이다. 당분간 타이타닉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기는 어려울 듯하다. 인류 역사상 가장 유명한 침몰 사건의 주인공인 타이타닉은 아직도 비극의 장소에 그대로 머문채 자신의 뒤를 이은 거대 선박이 대양을 ... ...
우주망원경 총정리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받은 신호를 하나로 중첩시키기 쉽기 때문이다. 보통은 지상에 간섭계를 만드는
데
, 전파망원경을 우주로 올려보내면 지구보다 지름이 큰 초장거리간섭계를 만들 수 있다. 라디오아스트론은 지구에서 최대 39만 km까지 멀어지므로 지구와 달사이의 거리만큼 큰 망원경과 같은 효과를 낸다.지난 23년 ... ...
물리학자가 우주상수에 집착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측정될 것이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은 빛의 속도는 일정하다고 못을 박았다. 그런
데
α의 변동성으로 특수상대성이론이 위기를 맞는다면 100여 년 전 추방된 에테르가 부활할지도 모른다. 어쩌면 물리학의 역사를 100년 전으로 후퇴시킬지도 모를 일이다.과연 α는 상수일까, 아닐까? 지난해 빛의 ... ...
이전
635
636
637
638
639
640
641
642
6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