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기획] 폐기물 대란으로 본 직매립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현재 침출수 무방류 시스템을 통해 침출수를 전량 자체순환시키고 재이용해 주변
지역
환경오염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시도가 진행 중이다. 무방류 시스템이 전면 도입되면 수도권매립지에서 밖으로 배출하는 침출수는 ‘0’이 된다는 게 공사 측의 설명이다 ... ...
[기획] 도시와 공존하는 폐기물 처리 기술의 미래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비해 크게 낮은 수준”이라며 “회수하는 에너지원도 대부분 열뿐이고 SRF 등 활용은
지역
주민이나 환경단체의 거부감 때문에 활발하지 않아 전체적인 에너지 회수율을 더 높일 수 없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이 명예교수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더 많은 열을 증기로 회수하고, 증기를 보다 ... ...
[매스크래프트] 혼잡도와 수송력으로 지옥철 탈출!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개통은 수송력을 기준으로 판단!퓨처킴이 타고 다니는 경의·중앙선은 수도권의 거주
지역
과 서울을 연결하는 노선이라 출·퇴근 시간 혼잡도가 높습니다. 그래서 매번 속으로 ‘다른 노선 하나만 더 개통돼라!’라고 빌곤 했죠. 새로운 노선을 개통하기 위해서 따지는 요소 중 하나가 한 시간 동안 몇 ... ...
[기획] 순간 포착! 과거의 흔적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가장 초기 조상격 종이라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바딘 교수는 “현재 마다가스카르
지역
에 서식하는 드라큘라 개미의 사냥 모습이 이와 비슷한 것으로 보아, 지옥개미의 사냥 습관이 현재 개미에게까지 전해져 내려온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_ 인터뷰소지현(성균관대학교 생명과학과 ...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부분이다. 지구는 열린 자기력선 때문에 극지방이 아닌 지구자기위도 70° 내외의 고위도
지역
에서만 오로라가 발생한다.피터 델라메레 알래스카 페어뱅크스대 지구물리학연구소 교수는 “자기권을 이해하는 방식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져온 연구”라고 평가했다. doi: 10.1126/sciadv.abd120 ... ...
인류는 늘 이동하고 섞였다...동아시아인의 복잡한 형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작용했던 만큼, 시공간에 따른 유전적 변화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넓은
지역
과 시기에 걸쳐 촘촘하게 시료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해안 이주 가설과 동아시아인의 초기 이주사해안 이주 가설 검증은 유전체학 시대를 맞아 이들 집단의 공통 기원 여부를 검정하는 것 위주로 진행됐다. 즉, ... ...
1년 동안 지구에 내리는 우주먼지는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강설량이 일정하고 측정에 영향을 주는 다른 이물질이 거의 없다. 연구팀은 해당
지역
에서 입자의 지름이 30~350µ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인 우주소구체(대기를 통과하며 녹은 미세운석) 808개와 얼어 있는 미세운석 조각 1280개를 수집했다.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지구 전체에 같은 양의 ... ...
거대 갑옷공룡의 독특한 생존법 ‘땅파기’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번에 분석한 갑옷공룡 표본은 건조한 아시아
지역
에서 발견됐다”며 “건조한
지역
에 적응해 살아가는 대형 초식동물들처럼 땅을 파서 식물의 뿌리를 섭취하고 지하수를 마셨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doi: 10.1038/s41598-021-83568- ...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있다. CERN 아래에서 시작된 터널은 스위스 국경을 넘어 프랑스 남동부 오베르뉴론알프
지역
으로 뻗는다. 그리고 큰 원을 그리며 돌아 다시 출발점에 도착한다. 둘레만 무려 27km에 달한다. 터널 안에는 두꺼운 금속관이 터널을 따라 이어져있다. 수많은 입자가 세상에서 가장 빠른 빛과 거의 같은 ... ...
[특집] 동물들의 겨울잠이 방해받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다음 해 3월 말까지 대부분 사람의 발길이 거의 닿지 않는 평균 900m 이상의 고지대 능선
지역
에서 겨울잠에 들어요. 주로 바위틈이나 굴, 나무 구멍, 그루터기를 이용합니다. 하지만 흙 굴을 파기도 하고, 심지어는 맨땅에 곰탱이*를 만들어 겨울을 나기도 해요.저희는 인간의 침입을 막기 위해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