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한민국
한국
대한극장
극장
코리아
korea
d라이브러리
"
대한
"(으)로 총 10,255건 검색되었습니다.
로그
과학동아
l
199909
말이다. 물론 리히터 규모 말고도 ‘진도’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진도’는 지진에
대한
인간의 반응과 지진에 의한 피해의 정도를 기준으로 지진의 크기를 정한 오래된 척도다. 진도를 나타내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우리 나라에서 이용하는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은 0부터 7까지 ... ...
감추고 싶은 비밀 똥배
과학동아
l
199909
0.95 이상일 때 똥배는 복부비만으로 불려진다.2. 남자와 여자 어떻게 다른가똥배에
대한
고민은 여성들의 몫으로 비춰지지만 사실 고민을 해야할 사람은 남성들이다. 왜냐하면 남성들의 똥배가 복부비만쪽에 가깝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여성이 평생 복부비만에서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여성의 ... ...
실험실은 동물보호 사각지대
과학동아
l
199909
경우 동물실험에
대한
법적 규제는 없다. 해마다 어느 정도의 실험동물이 사용되는지에
대한
정확한 통계자료도 없다. 매년 국내의 많은 연구소들은 실험동물의 넋을 위로한다는 의미에서 '위령제'를 지내지만 그저 인간의 죄스러운 마음을 위안할 뿐이다 ... ...
1. 장마는 약해지고 국지성 호우 등장
과학동아
l
199909
필요가 있다”고 털어놨다.그러나 전체적으로 한반도의 기후특성이 변하고 있는지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은 아직 일치되지 않고 있다. 연세대 이태영 교수는 “만일 장마전선 소멸 후에 나타나는 집중강우가 정말로 한반도 기후특성이 변하고 있다는 증거라면, 작년과 올해의 집중호우는 ... ...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
과학동아
l
199909
물체를 보고 이게 장애물이니까 피해가야 한다는 생각을 하지 못한다. 또 미리 계단에
대한
정보를 주지 않으면 계단을 오를 수 없고, 책상 위에 놓인 물체가 물컵인지 콜라캔인지 구별할 수도 없다. 이러한 사정은 다른 나라에서 개발한 로봇들도 비슷하다. 그래서 지금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 ...
화성생명체를 찾아나선 바이킹
과학동아
l
199909
있으며, 바이킹은 이를 확인하면 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렇다고 화성생명체에
대한
미련을 버린 것은 아니다. 바이킹 탐사로부터 21년 뒤인 1997년 7월 4일(미국의 독립기념일) 패스파인더가 화성 아레스계곡에 착륙한 것이다. 그러나 패스파인더도 화성생명체를 찾는데는 실패했다. 이제 화성에 ... ...
태백으로 떠나는 화석여행
과학동아
l
199909
중생대 백악기에 퇴적된 역암층으로 강물에 의해 침식돼 2백70m 깊이로 패여 있는 거
대한
협곡이다.삼척시 도계읍 심포리 오십천 상류 미인폭포에서 시작되는 통리협곡 바닥에는 수많은 자갈들이 굳어 만들어진 역암을 많이 볼 수 있다. 멀리서 보면 보통의 바위절벽이지만 가까이서 보면 자갈로 된 ... ...
콜레라균을 마시고 무사했던 과학자
과학동아
l
199909
증상을 보이지 않고 무사했다.콜레라균을 마셨음에도 무사했으니 이는 세균감염설에
대한
강력한 반대 증거가 될 것 같았다. 하지만 상황은 그렇게 흘러가지 않았다. 얼마 지나지 않아 페텐코퍼의 한 제자가 똑같은 실험을 하다가 콜레라에 걸려 죽고 말았던 것이다. 후대에 사람들은 페텐코퍼가 ... ...
혜성 탐사 우주선 발진 준비
과학동아
l
199908
연구해 태양계의 생성비밀을 밝히려는 시도다. “이 프로젝트는 태양계의 생성과정에
대한
이해를 돕고 지구상의 생명체에 혜성이 어떠한 공헌을 했는지를 밝혀줄 것이다”라고 그라프 박사는 덧붙였다.충돌은 지구로부터 약 1백32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므로 망원경을 이용하면 지구에서도 관측이 ... ...
아날로그와 디지털의 장점만 살린다
과학동아
l
199908
소리를 확대 재생하는 장치다. 그런데 아날로그식은 원음이 그대로 재생되지만 입력에
대한
출력의 비율인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반면 디지털식은 효율은 좋지만 원음을 충실히 재현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KAIST 조규형 교수(전기 및 전자공학과)는 이 숙제를 속시원히 풀었다. 바로 ... ...
이전
638
639
640
641
642
643
644
645
6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