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태학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
성대
뉴스
"
성균관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전 쉬지 않고 달릴 수 있는 배터리 나온다
2015.04.06
편도 노선을 가까스로 다닐 정도이며 언덕 등을 만나면 거리는 더 줄어든다. 박호석
성균관
대 화학공학과 교수(사진)팀은 전기자동차에 사용되는 배터리 용량을 2배 이상 늘릴 수 있는 전극을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현재 사용되는 리튬이온 전지보다 출력이 높아 언덕도 쉽게 오를 것으로 ... ...
빛으로 수소 만드는 효율 7배 높였다
2015.04.06
KIST) 손동익, 배수강 선임연구원, 박종혁 연세대 화공생명공학과 교수, 김정규
성균관
대 나노과학기술학부 연구원. -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청정에너지인 수소를 생산하는 소재의 안정성과 효율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손동익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선임연구원팀은 ... ...
[SW가 미래다 1] “소프트웨어는 창의성 위한 훌륭한 도구”
2015.04.03
교육을 받으면 문제 해결 능력 등 사고력이 향상된다는 조사 결과도 나왔다. 안성진
성균관
대 컴퓨터교육과 교수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이수한 학생들의 문제 해결 능력과 논리적 사고 능력 등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논문 100여 편을 모아 메타분석을 실시해 지난해 그 결과를 발표했다. 메타분석은 ... ...
세계 최고 효율 열전(熱電) 소재 개발
2015.04.03
높은 새로운 열전 소재를 개발해 학술지 ‘사이언스’ 3일 자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에는
성균관
대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이 공동 참여했다. 열전 소재는 이론적으로 열만 있으면 전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에 활용도가 높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된 열전 소재는 효율이 낮아 일상생활보다는 미사일 ... ...
오호~ 빛-열 이용해 나노반도체 도핑
2015.03.30
입자)의 농도를 조절해 반도체의 특성을 n형이나 p형으로 바꾸는 과정이다. 박진홍
성균관
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사진)팀은 종이처럼 얇은 이황화몰리브덴(MoS2) 나노반도체 위에 반도체 공정에서 절연 물질로 사용하는 인-규산염-유리층을 차례대로 놓은 뒤 빛과 열에너지를 가했다. 그 결과 ... ...
두께 3nm,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도체 개발
2015.03.25
. 세로 길이는 10마이크로미터로 미세먼지와 비슷한 크기다. -
성균관
대 제공 유원종
성균관
대 나노과학기술학과 교수팀은 세계에서 가장 얇은 반도체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유 교수는 “두께 3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인 초박막 반도체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24일 밝혔다. 현재 ... ...
‘도핑’은 나쁘기만 한 걸까요
2015.03.10
박진홍 교수(왼쪽, 교신저자)와 강동호 연구원(오른쪽, 제1저자). -
성균관
대 제공 ‘도핑’이란 불순물을 더하는 공정을 뜻하는 용어로, 반도체에 특정한 비율의 불순물을 넣으 ... 나노’ 1월 28일자에 실렸다. OTS가 도핑된 WSe2 전자소자 모식도와 특성을 분석한 그래프. -
성균관
대 ... ...
약하지만 센 힘 중력상수 G
과학동아
l
2015.03.05
이 모든 것이 가능한 이유는 우리가 중력상수 G값을 알기 때문이다. 김범준
성균관
대 물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통계물리학의 다양한 주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특히 사회/경제/물리 복잡계가 주요 연구 관심분야다. 세상을 물리학의 눈으로 바라보고, 이를 바탕으로 대중과 ... ...
[요즘대세 공대가 좋아 Part3] 터치스크린 발표에 농담도 영어로
과학동아
l
2015.03.03
서울과기대 등 주요 공대가 이 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시작했다. 서의성
성균관
대 교수는 “학교 차원에서 수십 곳의 기업과 협약을 맺고 있다”며 “학생들의 참여율이 높은 편”이라고 설명했다. 창업도 활성화하는 분위기다. 한 예로 이화여대는 3년 전부터 ‘실전 캠퍼스 CEO’라는 과정을 ... ...
“청색 LED 개발에 10년, 노벨상 수상까진 25년 걸렸죠”
2015.02.26
아마노 히로시(天野浩·55) 일본 나고야대 교수가 한국을 찾았다. 아마노 교수는 26일 서울
성균관
대 600주년 기념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연구자에게 연구 성과를 다그치지 않는 연구 풍토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아마노 교수는 대학원생 시절 청색 LED 개발의 단서를 발견한 공로를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