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스페셜
"
병
"(으)로 총 80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만드는 일이 시급하다. 다만 이주할 개체를 선별할 때 감염 여부를 철저히 확인해
병
이 퍼지는 걸 막아야 한다고 저자들은 강조했다. 코알라를 멸종위기에서 구해내는데 이번 게놈 해독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pixabay 제공 뇌 대신 소화관을 선택 미국 작가 마이클 폴란은 2006년 펴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밀가루 글루텐 유해성, 여전히 논란 중
2018.05.29
상당 부분을 면이나 빵 같은 밀가루 음식이 대신했을 것이다. 이런 변화가 선진국
병
급증과 무관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참고로 쌀에는 글루텐이 없고 포드맵도 미미해 과민대상증후군인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음식목록에 포함돼 있다. (정답: 포드맵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은 빵, ... ...
[사이언스지식IN]남북 협력으로 북한 산림 푸르러질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5.09
금강산 소나무들이
병
에 걸렸다고 도움을 요청해 국내 과학자들이 참여해 젓나무응애
병
임을 확인해 줬다”며 “교류가 경색되는 국면이 혹시라도 찾아와도 (북한의 산림 복구 의지가 강해) 국제사회에서 학문적 교류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
2018.05.01
않는 게 최선”이라는 원론적인 말만 하고 앞으로 6개월 동안 나올 수백 명의 환자에게
병
원은 치료제도 없이 환자의 면역계가 바이러스를 극복할 때까지 도와주는 처치만 해준다면 좀 무책임한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날이 더워져 본격적으로 환자들이 나오기 전에 우리나라 보건당국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때문에 호흡 전반에 대해 아직까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한숨 못 쉬는 것도
병
호흡이 꼭 몸의 대사를 반영하는 게 아님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가 한숨이다. 한숨은 얕은 숨을 쉬다가 일시적으로 깊은 숨을 쉬는 현상이다. 보통 걱정이 있거나 탈진했을 때 한숨을 쉬지만 위험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찾을 때까지 기다려야 하는데 그동안 제산제에만 의존해야 하는 걸까. 위산과다로
병
원을 찾은 경험이 있는 독자들은 다른 약을 처방받았다는 사실을 기억할 것이다. 즉 위산 분비 자체를 억제하는 약물이다. 이는 이미 나온 위액을 중화하는 제산제보다는 한 수 위의 책략이다. 그렇다면 이 ... ...
[호킹, 별이 되어 떠나다] 호킹의 말로 되돌아본 그의 삶
과학동아
l
2018.04.11
참고로 ‘시간의 역사’의 호킹 지수는 6.6이다). ‘시간의 역사’에는 그의 질
병
에 대한 언급이 두 세 번 밖에 나오지 않는다. 그는 자서전에서 “책에서 다루고자 한 것은 우주의 역사지, 나의 역사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는 온몸을 움직일 수 없는 상황에서도 ‘블랙홀과 아기 우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나는 믿고 있다”고 담담히 말했다. 이런 마음가짐이었기에 1963년 21살의 나이에 루게릭
병
진단을 받고 나서도 50년 넘게 기적적으로 삶을 지속할 수 있지 않았을까 (물론 그동안 죽을 고비를 숱하게 넘겼다). 평창 패럴림픽 폐막식 때 호킹을 기리는 시간이 마련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 ...
“나에게 시간은 늘 귀중하다” 스티븐 호킹 박사 발언 되짚어 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호킹 박사를 추모하며 2013년 출간한 회고록 내용을 마지막으로 기사를 마친다. “
병
진단을 받은 당시 나는 인생이 끝났다고 생각했고, 내가 가진 잠재력을 결코 깨닫지 못했다. 하지만 50년이 지난 지금, 나는 조용히 내 삶에 만족할 수 있다” 사진 NASA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
2018.02.20
책임편집했는데 설탕의 위험성을 간과하지 않았다. 즉 설탕이 충치와 관련이 있고 당뇨
병
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설탕 섭취를 현재 수준에서 40% 줄이라고 권고했다. 저자들은 “제당업계가 헤그스테드에게 접근한 건 낙농업계가 지원한 연구에서 설탕이 아니라 지방이 심장질환의 요인이라는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