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3) 한반도의 공룡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유의해야 한다. 즉 단단한 땅위를 거닐 때의 속도는 이보다 민첩하게 움직였을 것이다.
우리나라
에서 공룡 발자국화석이 발견된 이후 일본에서도 경상층군과 대비되는 지층 에서 매우 단편적이지만 조각류의 발자국들이 발견돼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중생대 동부아시아 지역 해륙의 분포, 즉 ... ...
지구온난화 막아주는 CO₂고정화기술이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줄이고 태양광이나 바이오매스 등 대체에너지 개발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안하고 있다.
우리나라
도 ${CO}_{2}$고정화기술개발은 아주 초보 단계다. 다행히 금년부터 국가의 G7과제에 포함되어 1차적으로 ${CO}_{2}$의 분리 및 화학적 고정연구를 시작하고 있다.우리들이 지구환경문제에 대해 무관심한 ... ...
갯지렁이의 별난 생태계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2m 정도에서 부터 1㎝ 미만의 것까지 매우 다양하다. 지구상에 8천종 정도 살고 있으나
우리나라
엔 3백종 정도가 알려져 있다.비교적 큰 개체들은 자라면서 마디 수가 점차 불어나게 되는데 제주도 해안에서 흔히 잡히는 왕털갯지렁이(Eunice aphroditois, 사진1)는 길이 1.5m, 마디 수가 4백개 이상자라는 ... ...
3. 64메가 D램 개발 공방 내막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가질 수 없다는 것이다. 더구나 반도체 생산 장비의 대부분을 일본에서 수입해오는
우리나라
로서는 일본 업체들의 협조없이는 아무리 첨단제품을 개발했더라도 양산체제에 들어갈 수가 없는 실정이다.앞으로도「공동개발」가능한가마지막 남은 초점은 '이번 사건 이후에도 여전히 공동개발방식이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실제로 데네브와 같은 A형의 하얀색 별인데 지평선 가까운 곳의 대기를 통해 보기 때문에
우리나라
에서는 약간 붉게 보인다. 이 별은 지구로 부터 대략 23광년의 거리에 위치하며 태양에 비해 그 지름은 2배정도 크고, 밝기는 14배나 더 밝다.(그림2)는 주요 지역의 위도에서 볼 수 있는 최남단 ... ...
오존층 파괴 현상 날로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규제 대상, 전면 금지의 경우
우리나라
는 연간 2조원 이상의 제품 생산차질이 예상됨).
우리나라
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을 중심으로 대체물질 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며 90년대 중반에는 대체물질 개발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KIST 환경복지기술연구단장 박원훈 박사는 "이번에 남극에서 ... ...
여성과학자들이 몰려온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획득했으며 이제는 거의 모든 분야에서 여성과학자들이 활약하고 있다.그러나
우리나라
여성과학자의 경우 아직도 많은 핸디캡을 안고 있으며 유형무형의 불이익을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박영자교수는 여성과학자의 진출을 가로 막는 걸림돌들을 이렇게 제시했다."여학생들의 자부심 결여가 ... ...
태극마크를 둘로 나눠라!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의 로고이기도 한데, 이 회사의 설계담당 중역이 1893년에 열린 시카고 세계박람회에서
우리나라
국기에 태극마크가 쓰여진 것을 보고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는 이 형태가 증기기관을 움직이는 불과 물을 잘 표현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 ...
실크로드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곳 사람들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황토와 황진(黃塵) 속에 묻혀 산다.이곳의 황토는
우리나라
에서 볼 수 있는 것과 달리 약간 회색의 다공질(多孔質) 황토로서 마치 분설(粉雪)이 쌓인 것 같다. 지금으로부터 약 20만년 전 홍적세에 북쪽과 서쪽의 고비사막으로부터 실려온 황진이 계곡이나 분지에 ... ...
"우리 꽃을 우리 땅에"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이를 발표했더니, 얼마 안 있어 약초꾼들이 씨를 말려버릴 정도로 뽑아간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
자생식물은 60% 이상이 약초인 데다 약성 또한 좋아 항상 약초꾼들에게 시달린다. 국립공원 안에서도 잘 번식되지 않는 종을 쏙쏙 뽑아간다고 한다.자생식물연구회 정회원쯤 되면 눈으로 확인하지 ... ...
이전
649
650
651
652
653
654
655
656
6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