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부
내면
뱃속
내용
마음속
실질
안
어린이과학동아
"
속
"(으)로 총 6,596건 검색되었습니다.
가마솥 밥맛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13
위쪽은 덜 뜨거워지니까요. 그리고 전체 무게의 3분의 1을 차지할 만큼 무거운 뚜껑은 공기나 수증기가 새나가지 않게해 줘서 밥알
속
까지 고루 익게 하지요. 겉모양은 우직하니 멋대로 만든 것 같지만 사실 가마솥에는 이와 같은 과학의 원리가 숨어 있답니다. 아직 가마솥 밥맛을 경험하지 못했다면 가마솥으로 지은 밥을 주는 식당에 온가족이 가서 밥맛의 ...
산타다굴러스의 허무한 추락사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13
증언을 듣고 거짓말을 하는 사슴을 찾아보도록 하자. ➊ 다털프: “난 가게에 빵을 사러 갔었다고!” ➋ 또털프: “싸라기눈만 계
속
내려서 난 아무것도 보지 못했어! 바람이 어찌나 세던지….” ➌ 싹쓸프: “내가 지붕에 올라가기도 전에 산타다굴러스가 떨어졌어.” mission 3 골목으로 도망친 두 사슴 결국 두 마리의 사슴을 범인으로 추측했다 ...
볼이 빨개 지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13
신나게 눈싸움을 하고 있노라면 어느새 볼은 빨갛게 달아오르지요. 그런데 왜 겨울에는 유난히 볼이 빨게 지는 걸까요? 그것은 몸
속
의 혈관 때문이랍니다. 혈관은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라 커지기도 하고 줄어들기도 하는데,날씨가 추워지면 모세혈관이 수축되고 혈액 순환도 잘 안되기 때문에 겉으로 빨갛게 드러나는 것입니다. 게다가 차가운 기온 때문에 피 ...
해리포터와 불의 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213
어떤 일들이 일어날까요? 요즘 들어 부쩍 해리포터가 겪는 고민들이 친숙하게 느껴지는 건 해리포터도 우리 친구들과 같은
속
도로 성장해 가고 있다는 뜻일 거예요. 예전보다 불쑥 커 버린 외모만큼이나 쑥쑥 자라나는 사랑과 모험, 우리가 해리포터 시리즈를 사랑할 수밖에 없는 이유랍니다 ... ...
잠(4)-겨울잠에서 배우는 우주여행 방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30
우리들이 겨울잠을 잔다면 일 년 내내 잠만 자야 할 거예요. 그래서 북극곰들은 추위에 강하답니다. 온몸에 덮여 있는 털은 빨대처럼
속
이 비어 있고 공기가 들어 있는데 이런 털은 체온 손실을 막아 줘요. 우리는 피부도 검은색이지요. 햇빛을 잘 흡수하기 위해서랍니다. 겨울에 검은 옷을 많이 입는 것과 같은 원리에요. 북극곰은 이렇게 차가운 물이나 ...
잠(2)-신나는 꿈을 꾸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30
렘수면 단계에서 누군가에게 깨워달라고 해야 할 거예요. 미인은 잠꾸러기? 미인은 잠꾸러기라는 말이 있지요? 그렇다면 잠자는 숲
속
의 공주는 세계 최고의 미녀?! 그런데 정말 미인이 되고 싶으면 잠을 잘 자야 한대요. 잠을 잘 자야 건강하고, 키도 크며, 공부도 더 잘 하게 된다고 해요. 반대로 잠이 부족하면 비만도가 높아진다고 하니 미인은 잠꾸러 ...
아바타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30
놀랐던 건 네 눈동자 때문만은 아니야. “안넝?” 네가 말했어. “나는 다…, 다…, 다영이야.” 또 네가 말했어. ‘알고 있어.’ 난
속
으로 생각했어. 모를 리가 없잖아. 하지만 네가 다영이가 맞는지 의심스러운 건 사실이었어. 왜냐하면 너는 얼굴을 이상하게 일그러뜨리며 힘겹게 말을 했거든. 발음도 이상했어. 천천히 더듬거리며 네가 또 말했어. ...
잠(3)-특이한 잠버릇을 잠버릇을 가진 동물기네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30
잠을 깬다고 생각했다고 해요. 정말 재미있는 생각이지요. 하지만 현대의 과학자들은 동물들이 겨울잠에서 깨어나게 하는 시계가 몸
속
에 있다고 해요. 이것을 바로 생체시계라고 부르는데요. 동물들의 뇌에는 이 생체시계가 있어서 언제 잠을 자야 하는지 또 언제 겨울잠에서 일어나야 하는지 알려 준다는 것이죠. 개구리나 뱀과 같은 변온 동물들은 날씨가 따 ...
얼음
속
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11
굴절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공기를 통과하던 빛이 렌즈의 재료인 유리나 플라스틱을 통과하면서
속
도가 바뀌게 되는데요. 바로 이런
속
도 차이 때문에 굴절이 일어나는 것이죠. 또한 빛은 렌즈의 두께가 두꺼운 쪽으로 굴절한답니다. 그래서 볼록 렌즈를 통과 할 때는 가장 렌즈가 두꺼운 중심으로 빛이 굴절해 빛이 모이게 되는 것이죠. 따뜻한 ...
기상재해로 휘청거리는 지구촌(2)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111
해요. ※지진을 예감할 수 있는 식스 센스?! 평소 조용하던 판다가 산만하게 울고 백조는 물에 다가가길 주저하거나 뱀이 급히 자기 굴
속
으로 돌아간다면…? 가끔 이렇게 이상한 행동을 보이는 동물들을 통해 지진발생을 미리 알았다는 얘기를 들은 적이 있을 것이다. 동물들은 지진을 감지하는 특별한 능력이라도 있는 걸까? 불행히 아직 과학적으로 검증되 ...
이전
651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