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국사람
코리안
korean
한인
d라이브러리
"
한국인
"(으)로 총 959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또 공 무게를 엄격히 규제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활발한 연구가 후학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이뤄지기를 바란다.역 브라질땅콩 현상 예측한
한국인
과학자 홍종한역 브라질땅콩 현상을 예측한 홍종한(Daniel C. Hong) 교수는 1956년에 서울에서 출생해 서울대 물리학과에서 학사, 동 대학원에서 석사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으로 건너가 보스턴대에서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않았지만 황 교수팀에서는 현재 백두산 호랑이 복제도 시도하고 있다.첫 복제고양이
한국인
손길외국에서 태어난 복제동물 중에도 한국 과학자가 참여한 것들이 많다. 그중 하나가 첫 복제고양이 ‘시시’(Cc)다.서울대를 나온 신태영 박사는 2000년말 미국 텍사스 A&M대학 연구팀과 함께 암코양이의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특별한 지표가 없어 암이 많이 진행된 말기상태에서 병의 존재를 알았다.백 박사팀은
한국인
간암 환자 19명의 조직을 대상으로 프로테옴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조사 대상 환자 모두가 우리 몸의 철분을 담는 그릇인 ‘페라틴’이 깨져 있음을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간암 환자를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지원했다. 개 복제에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대신 이 과정에서 같은 연구팀의
한국인
과학자 신태영 박사가 세계 최초로 고양이 ‘시시’(cc, 흉내쟁이란 뜻을 가진 Copy Cat의 약자)를 복제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개는 동아시아에서 전세계로 퍼져나갔다. 2002년 11월 ‘사이언스’에 발표된 스웨덴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좋은 결과를 낳고 있는 것처럼 10년 후 사업단의 연구는 또다른 결실을 맺을 것이다. 즉
한국인
의 난치병을 치료하는 신약의 밑바탕을 제공하고, 생명공학자를 꿈꾸는 청소년에게 손에 잡히는 비전을 선사할 것이다 ... ...
프로테오믹스 이용기술 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예정이다.사업단의 1차 목표는 치매·뇌졸중·골다공증·당뇨·동맥경화·알러지질환 등
한국인
에게 자주 발생하는 질병을 타깃으로 이에 관여하는 단백질을 발굴하고 관련 특허를 획득, 신약개발로 연결시키는 것이다.2002 12월 17일, 사업단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과학기술부 장관 등이 ... ...
로켓에 꿈을 실은 과학계의 김남일 채연석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기피하는 일은 국가뿐만 아니라 본인에게도 큰 손해라고 따끔하게 질책한다.채 박사는
한국인
은 조상 대대로 손재주가 좋으며 과학적인 창조의 피를 지니고 있다고 믿는다. 대학 시절 그는 고려와 조선시대에 화살을 장착한 로켓인 신기전이 있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 이후에는 세종 때 ... ...
법의학이 밝히는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때 내한하여 기술자로 일했다이후에도 한국에 남아 한성전보총국의 양장(洋匠) 신분으로
한국인
전보(電報)학생 양성에 힘썼다 유기수은에 의한 중독증(中毒症) 신경증상을 주로 나타낸다1953년 봄 일본 구마모토현(態本懸)미나마타만 연안에서 주로 어민과 인근 주민들에게 발병했다상류(上流)에 ... ...
한국인
게놈 연구 전도사 유향숙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위암의 원인균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의 1백59만 염기쌍의 서열을 완전해독했다. 또
한국인
에 특이적인 2천5백여개의 SNP 표지를 확인했다.연구 결과 공유하게 만들어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은 생명과학 분야 프론티어사업단 가운데 가장 먼저 출범했다. 그래서 많은 관심을 받기도 했지만 ... ...
2.
한국인
맞춤의학 실현하는 SNP분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알 수 있게 된다.이런 발생률이 인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한국인
을 대상으로 하는 SNP 연구는 더욱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 외에도 양약과 함께 한약의 효능과 부작용 역시 유전적 소양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SNP를 활용해 연구돼야 한다. 어떤 SNP를 가진 사람들이 ... ...
이전
61
62
63
64
65
66
67
68
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