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d라이브러리
"
우리나라
"(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문자다중방송 무엇이 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가전사에 수상기 중 일정비율을 문자방송용으로 생산하게 하고 각종 세제혜택을 주었다.
우리나라
도 수상기 생산에 세제혜택을 준다면 시청자부담이 5만원정도에서 그칠 수 있다고 한다.방송사측이 홍보를 적극적으로 하지 않은 것도 '방송은 하고 있는데 수상기는 살 수 없는' 기이한 상황이 ... ...
교사 스스로 수업형태 개선해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한편으로 놀랐어요.경선 : 저도 그래요. 수업시간에도 외국 자료만 사용했었잖아요.
우리나라
에도 그런 멋있는 지형이 있었는데···.지은 : 그리고 이번에 전곡리에 갔다 옴으로 해서 돌 하나라도 무심코 넘기지 않게 됐어요. 저게 층이구나 습곡이구나 따지게 되던 걸요?사회 : 가서 보고 느낀 것이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흔적으로 사고당시 차량의 급제동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깜박이도 중요한 단서현재
우리나라
에서는 사고차량의 깜박이에 대한 조사를 거의 실시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사고차량의 등화조사, 다시 말해 깜박이의 작동여부를 알아내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사실상 깜박이의 작동여부만 제대로 ... ...
환자 5%가 병원서 새 병 옮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유지하고 카테터 등의 사용을 최소화하면 상당부분 그 발생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
에서는 아직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비교적 적은 편이나 앞으로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하고 또한 인적 및 물적 투자가 필요한 분야라고 생각된다 ... ...
하나가 천이 되는 씨앗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된다. 가난은 이제까지 전세계 열대지방에 있는 밀림을 64%나 파괴시켰다. 매년
우리나라
의 남한만한 면적의 밀림이 없어지고 있지만, 이를 보호하는 일은 몇몇 사람들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 오존층이 더이상 파괴되지 않게 하려면 2000년까지 전세계에서 CFC와 할론의 사용을 전면 중지해야 ... ...
질소산화물 대폭 줄여주는 메탄올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사실 날로 심각해져가는 지구의 환경문제는 이제 먼 나라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우리나라
의 자동차 보급대수는 이미 4백만대를 넘어섰고 1천만대시대도 멀지않아 닥칠 것이다. 이처럼 하루가 다르게 늘어나는 자동차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대기오염의 심각성이 그 어느 때보다 고조되고 있는데 특히 ... ...
(2) 황무지 상태의 시스템 설계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은 부분적 설계 변경이나 중간에 설계 변경등을 요구하는데
우리나라
와 같이 설계경험이나 기술 인력 등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미리 잘 정리된 것을 가정한 외국의 경영 기법보다는, 여러 상황에 잘 대처할 수 있는 기동인력(task force) 등을 적절히 이용해 과도기적 상황을 ... ...
무등천문대세워「별사랑 꿈」펼치자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참여를 바랐다. 일본에는 일반인들이 언제라도 이용할 수 있는 천문대가 많은데
우리나라
에는 아직 그런 천문대가 없다. 무등산천문대가 설립된다면 개방천문대로 키워보겠다는 것이 남도천문연구회원들의 꿈이다 ... ...
옛 영화의 복원 노리는 전기 자동차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이르는 도쿄전기사의 전기자동차가 출품돼 주목을 끌었다.총 동력비용이 절반으로한편
우리나라
의 연구현황은 아직 걸음마 단계다. 각급 연구소가 주축이 돼 수행한 부분적인 연구실적이 있을 뿐이다. 1987년 한국전력의 기술연구원은 심야 잉여전력의 이용을 계도하기 위해 미국 솔렉사에서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아프고 이야기해 봐야 끝도 없으니까 피해 보자는 경향이 이제는 지배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과학교육이 진정 바른 길을 찾아가야 한다고 생각하는 과학교육연구자라면 어느 누가 입시를 염두에 두지않고 과학교육에 대한 입안을 할 수 있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즘 진행되고 있는 6차 ... ...
이전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