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기능"(으)로 총 1,6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신이 얼마나 아픈지 누구나 이해하는 시대 온다 동아사이언스 l2021.01.05
- 분석한 결과 통증 강도에 따른 뇌의 변화를 정확하게 예측했다. 여기서 얻은 통증의 뇌기능 커넥톰을 허리통증 환자 192명에게 적용한 결과 환자들의 주관적으로 말한 통증 점수를 뇌를 읽어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논문의 1저자인 이재중 박사과정생은 "이미 통증에 연관됐다고 알려진 ... ...
- 밀가루 반죽처럼 만든 갈륨, 기능성 소재로 재탄생한다동아사이언스 l2021.01.04
- d)가 만들어진다. IBS 제공 반도체와 발광다이오드(LED) TV의 핵심 소재인 갈륨(Ga)을 가공해 기능성 소재로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다. 로드니 루오프 기초과학연구원(IBS)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장 연구팀은 액체 상태의 갈륨에 각종 충전재를 섞어 전자파와 열을 차단하는 소재를 만들었다고 4일 ... ...
- 토종 코로나19 백신부터 토종 우주로켓 발사까지…올해 한국 과학의 기대주들동아사이언스 l2021.01.04
- 이름처럼 AI 알고리즘을 이용해 밸브의 어느 쪽이 문제인지 자체적으로 판단해 알리는 기능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1억 도의 초고온 플라스마 20초 운전에 성공한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는 올해 30초 운전에 도전한다. 사진은 지난해 20초 운전 성공 당시 장면이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팬데믹의 희망과 과학자의 고난2020.12.31
- 생물이 보유한 유전물질의 지위를 DNA에 내주고 난후엔 DNA가 담당하지 못하는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생명체 유지에 필수적인 물질이다. 대부분의 원핵생물과 진핵생물의 유전물질은 DNA로 진화했지만, 여전히 바이러스의 상당수는 RNA를 유전물질로 사용한다. 코로나19 바이러스도 마찬가지다. ... ...
- 국산 코로나19 치료제 내년에는 조금 더 희망 보인다동아사이언스 l2020.12.31
-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조에 결합하는 면역 단백질로, 바이러스 주요 부위를 둘러싸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막고 독성을 떨어뜨린다. 미국 제약회사 리제네론, 영국계 다국적 제약사 아스트라제네카 등도 항체 치료제를 개발 중이다. 셀트리온은 글로벌 임상 2상을 마쳤다. 한국에선 ... ...
- [의학게시판] 공현식 분당서울대병원 교수, 상지재건술 지침서 공개 外동아사이언스 l2020.12.31
- 수술이다. 완벽하게 정상적인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팔을 뻗거나 물건을 잡는 기능을 통해 전반적 삶에 긍정적 효과를 가져다 줄 수 있다. ■서울대치과병원은 지난 29일 홍예표치과의원과 진료정보교류 현판식을 가졌다고 30일 밝혔다. 진료정보교류사업은 보건복지부가 주관하는 사업으로 ... ...
- [소재의 미래]⑺그래핀과 실리콘반도체의 경계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2020.12.30
- 가진 두 소재를 맞붙이면 그 표면에서는 이전에는 발견하지 못하던 새롭고 놀라운 기능과 현상들이 나타납니다. 정부가 세계 수준의 성과를 내기 위해 설립한 10개 글로벌프론티어사업단 중 하나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연구단은 서로 다른 물질이 닿는 ‘인터페이스(경계면)’을 ... ...
- 올해의 10대 과학뉴스에 한국산 진단키트·세계 첫 코로나19 유전자 지도 완성동아사이언스 l2020.12.29
- 밝힌 연구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미국 드렉셀대 등이 공동으로 개발한 스텔스 기능에 전자파까지 차단하는 맥신 소재 개발 연구도 올해의 연구개발 성과로 선정됐다. 과총은 “후보에 오른 뉴스들을 살펴보면 압도적인 관심을 받은 코로나19 이슈를 비롯해 수소경제, 탄소중립, 기상이변 등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벤자민 버튼의 시간은 거꾸로 갈 수 있을까2020.12.29
- 가능성이 큰 시신경 재생 연구를 병행했다. 연구자들은 시신경세포의 축삭을 손상시켜 기능을 잃게 만든 뒤 OSK 재프로그래밍 인자를 투입했다. 그러자 축삭이 복원되면서 시력이 회복됐다. 게놈의 DNA메틸화 패턴을 비교한 결과 거의 손상 전 상태로 돌아갔다. 이 연구결과는 ‘네이처’ 12월 3일자 ... ...
- [랩큐멘터리]인간을 대신해 반도체 집적도 해결할 이상적인 설계자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20.12.29
- 1개가 표현할 수 있는 정보가 증가하기 때문에 크기가 같은 회로도 구현할 수 있는 기능이 더 많고 따라서 집적도를 높일 수 있다. 시스템 반도체 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발달하고 있어서 늘 새로운 이론을 공부하고 연구 결과를 내야 한다는 게 강석형 교수의 지론이다. 이런 연구 태도 ... ...
이전6263646566676869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