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스페셜
"
기능
"(으)로 총 1,660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재의 미래]⑶용접도 대신할 절대 안떨어지는 궁극의 접착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03
가진 두 소재를 맞붙이면 그 표면에서는 이전에는 발견하지 못하던 새롭고 놀라운
기능
과 현상들이 나타납니다. 정부가 세계 수준의 성과를 내기 위해 설립한 10개 글로벌프론티어사업단 중 하나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연구단은 서로 다른 물질이 닿는 ‘인터페이스(경계면)’을 ... ...
실내 공기오염 IoT측정기 초보개발자도 쉽게 만들어요…비결은 오픈소스
동아사이언스
l
2020.11.30
IoT웨어는 운영체제(OS) 5종, 센서·통신 등 펌웨어 같은 소프트웨어의 기본적인 뼈대와
기능
을 담은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수백, 수천 행에 이르는 프로그래밍 입력 수고를 덜 수 있다. 정부 출연연구기관 가운데 오픈소스를 공개한 건 ETRI가 처음이다. 이달 24일에는 오픈소스 생태계 조성을 ... ...
[인간 행동의 진화] 텃세의 진화
2020.11.29
아니 생물이 처음 등장하던 시기다. 사실 세포막의 원형이 생기던 시절부터다. 세포막의
기능
은 세포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것이다. ‘이 얇은 막의 안쪽은 내 것’이라고 주장하던 세포가 원시 바다를 헤엄치던 때부터, 우리는 자신의 영역에 집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자신의 영역 안으로 허락 ... ...
[랩큐멘터리]당뇨 진단하고 치료하는 똑똑한 콘택트렌즈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담겨 있는 약물을 방출해 빠르게 처치해준다. 스마트 콘택트렌즈는 렌즈 위에 센서
기능
을 갖춘 전자회로를 프린팅한 의료기기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지난해 11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의료기기로 만들어 제품화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기로 하며 상용화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가진 두 소재를 맞붙이면 그 표면에서는 이전에는 발견하지 못하던 새롭고 놀라운
기능
과 현상들이 나타납니다. 정부가 세계 수준의 성과를 내기 위해 설립한 10개 글로벌프론티어사업단 중 하나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연구단은 서로 다른 물질이 닿는 ‘인터페이스(경계면)’을 ... ...
김빛내리 교수, 코로나바이러스 성장 단백질 연구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현재 진행중인 이번 연구에서 확인한 바이러스 전사체 복합성과 단백질의
기능
규명은 사스-CoV-2 바이러스의 수명와 병원성을 이해하는 데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할 예정이다. 김빛내리 교수 외에도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차지욱·김성연 서울대 교수와 김기환 루닛 ... ...
한미 연구팀, 사람 피부처럼 온도와 힘 느끼는 인공피부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전자
기능
을 형성하기 위한 금 회로로 구성됐다. 센서는 압력을 측정하는 본연의
기능
을 그대로 수행했을 뿐 아니라 대기압에 해당하는 약 100킬로파스칼(kPa)의 힘으로 30번가량 문질러도 성능이 전혀 떨어지지 않았다. 사람의 인지 능력도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1 ... ...
[소재의 미래]⑴서로 다른 물질 만나는 '경계'에서 소재 미래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제도도 잘 갖춰져 있고 제각각
기능
이 뛰어나지만 산학연 경계면에서는 뛰어난 성질이나
기능
이 발견되지 않고 있는 셈이다. 김 단장은 “경계를 허무는 연구들이 빛을 발하려면 결과에 대한 배분이 명확하게 이뤄지는 제도나 규정, 사회적 공감대의 형성이 반드시 뒷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 ...
깨져도 스스로 복구되는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9
뒤 경화돼 스스로 복원한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은 단단한 소재에 자가 치유
기능
을 적용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과 차별화된다. 고온의 열을 가하지 않아도 상온에서도 스스로 복원되며 최대 20분 내에 손상의 95% 이상이 복원됐다. 정용채 센터장은 “손상된 고분자 소재의 물성과 수명을 ... ...
부정논문 감시 사이트 서울대 연구자 논문 데이터 부적절 사용 의혹 추가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20.11.18
사용됐을 가능성이 있는 경우 이를 제보하는 온라인 사이트다. 논문 부정을 감시하는 순
기능
이 있지만, 익명이다 보니 다소 무리한 의혹 제기도 일부 있다는 평도 있다. (2020년 10월 22일 데이터 중복사용 의혹 서울대 자체 조사 착수 "일부 실수 인정") (2020년 10월19일 작년 노벨상 수상자 논문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