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금융상품 탄생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마음 잡는다!”세계적인 금융기업 모건스탠리 서울지점의 김기우 이사는 탁월한 대화의
기술
을 지니고 있다. 얼마 전까지는 트레이더로 일하며 금융상품을 디자인했지만 고객에게 좀 더 가까이 다가가 ‘그들이 진짜로 원하는 게 뭔지’ 겸허히 듣기 위해 세일즈에 몸을 던졌다.서울대 수학과를 ... ...
화성으로 향한 피닉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로 기억소자를 구성하는 기억장치 IC기억장치·LSI기억장치라고도 한다주기억장치의 중요
기술
로서 버퍼 기억장치·고속기억장치 등에도 사용된다접근방법이 등속호출(임의접근 ; random access)로 고속동작이 되는 것이 최대의 특징이다반도체에 과잉 운반자를 대량으로 주입했을 때 전자와 양공(陽孔 ... ...
PART3 행성에서 생명체까지, 상상플러스 공간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도착했을 때 야만족이었던 칠라는 며칠이 지나자(칠라에게 수천년이 흐르자) 인간의
기술
을 앞설 정도다.먼 훗날 우리는 중성자별에서 낯선 생명체를 발견할지 모른다. 그들은 우주여행을 하기 힘들 것이다. 중력이 약한 곳으로 옮기자마자 그들의 몸은 압축된 구성물질이 정상 원자로 변형되며 ... ...
'아이디 2.0' 오픈아이디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무조건 마이크로소프트의 인증체계를 수용해야 한다.반면 오픈아이디는 공개된
기술
표준을 토대로 탄생한 싱글사인온 서비스이기 때문에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내가 나의인증을 책임질 기관을 선택할 수 있다는 말이다. 즉 OP를 내 의지대로 선택할 수 있다.e메일과 비교하면 이해가 쉽다. 무료로 ... ...
DNA바코드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거세지면서 미술품에 대한 위작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진짜’ 명화를 구별하는
기술
이 필요한 이유다.스티커 벗고 나노캡슐 입는다이화여대 나노과학부 최진호 교수는 “이중섭, 박수근 화백이 고유암호를 담은 DNA를 나노캡슐에 담아 물감에 넣은 뒤 그림을 그렸다면 이러한 논란은 없었을 ... ...
여인의 초상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21.....이틀 후 래빗은 네티즌 500명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사회자를 중심으로 꽃봉오리가 피듯 둥글게 계단을 쌓아올린 토론장이 이색적이었다. 카메라가 잡히지 않는 제일 위 구석 자리에 로즈와 내가 앉았다. 픽병 환자를 극도의 긴장 상태로 몰아넣는 것은 금물이다. 평범한 사람도 카메라 앞에 ... ...
한국 최고 과학자 선정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9호
007년 대한민국 최고 과학
기술
인상’에 서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권욱현 교수, 물리학과 임지순 교수, 이화여자대학교화학과 최진호 교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서진석 교수님이 선정됐어요. 이들은 대통령 상장과 함께 상금 3억 원을 받아요. 나중에 ‘어린이과학동아’독자 중에서도 이 상을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천구의 별자리 배치를 알 수 있다fcc→bcc(bct) 마텐자이트 변태의 원자 이동 과정을
기술
하는 모델의 하나 이 모델은 별명을 2중전단기구(二重剪斷機構, double shear mechanism)라고도 하며 베인(Bain)대응을 충족시키는 fcc→bcc 변태 변형을 전단 변형의 조합으로 설명한 것이며 [그림]에 제시한 톰프슨 테트라 ... ...
PART2 양자역학과 상대론 검증하는 우주실험실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그런데 찬드라세카르 이론에 따르면 백색왜성은 태양보다 1.4배 더 무거울 때 상대론으로
기술
되는 중력이 전자의 양자역학적 압력을 이기기 때문에 더 이상 안정할 수 없다. 즉 전자가 원자핵 속의 양성자와 결합해 중성자를 만들면서 중성자별이 탄생한다.중성자별은 중성자의 양자역학적 압력 ... ...
고객을 사로잡는 조명은?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자신의 LED가 광도표준에 맞는지 손쉽게 비교할 수 있다. 표준연은 현재 표준 LED를 만드는
기술
의 특허를 출원한 상태다. 또 국내뿐 아니라 대만과 인도의 외국 표준기관에 표준 LED를 보급하고 있다. 이 박사는 “LED의 광도표준오차를 3% 이하로 줄이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고객의 기분과 눈을 ... ...
이전
667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