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대해 오히려 고마워해야 할 일”이라며 일침을 놨다.오는 9월 임기를 마치고 평양과학
기술
대 로 자리를 옮길 예정인 박 총장은 차기총장에게 “외국인 학생과 우수교수를 더 영입하고 영어강의를 확대해 포스텍이 국제적인 대학이 되는데 힘을 실어 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청년 포스텍의 ... ...
한국 조선공학계 최고의 여성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빅3 모두 ‘수주 100억달러 클럽’에 올해도 무난히 진입할 전망이다.“우리나라는
기술
력, 가격경쟁력, 장인정신에서 타의 추종을 불허하죠. 특히 선박 설계에서는 여성의 예리한 손끝 감각으로 배의 성능을 높일 수 있어요.”이 박사는 “선형설계 분야에서 세계 선두주자가 돼 후배 여성들의 ... ...
'ID+IM'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몸체에 필터를 내장했다. 또 입맛에 따라 필터에 각종 차를 넣어 마실 수 있도록 했다.
기술
수준을 높이는 대신 ‘휴대형 정수기’라는 신선한 발상을 시각적인 디자인으로 표현해 1등에 오른 것이다.한발 앞선 상상력 배 교수팀의 톡톡 튀는 상상력과 디자인의 원천은 학창시절부터 정평이 난 배 ... ...
'과학세상'으로 소풍오세요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씨가 과학축전 개막식에 참석한다. 지구 밖으로 인간을 내보낼 만큼 성장한 한국 과학
기술
의 상징이자 청소년들이 꿈꾸는 모델이기도 한 이들과 함께 우주의 삶에 관한 궁금증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기회다.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festival.scienceall.com)를 방문하면 볼 수 있다. 8월, 명실상부 대한민국 ... ...
친환경 여객기 보잉787 드림라이너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이를 수신하는 쪽에서 음성으로 재생하여 수신하는 전화 음성분석합성부호화라는
기술
을 이용하여 소리를 분석하고 특징이 되는 부분만을 송신함으로써 같은 시간에 일반전화의 4배를 활용할 수 있다또한 도청을 방지할 수 있다 모든 양과 변수를 표현하는 데 이산형(離散型)의 숫자를 사용하는 ... ...
군장 짊어진 로봇개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전장에서 병사 대신 군장을 운반할 로봇개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영국의 인터넷
기술
전문지 브이엔유넷은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이 사우스 캐롤라이나대와 군용 로봇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 계약을 연장했다고 지난 7월 10일 보도했다. 이번 연구를 맡을 이 대학 컴퓨터과학과 스테판 ... ...
뜨거운 도시에 부는 푸른 바람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뒤덮인 벽을 나란히 적외선 카메라로 찍어보면 그 차이를 확연히 느낄 수 있다.한국건설
기술
연구원 건축도시연구부 장대희 연구원은 “한여름 콘크리트 벽의 온도는 정오부터 올라가기 시작해 오후 3시경에는 40~50℃에 이르고 이 열이 건물의 내부까지 전달돼 저녁이 되도 식지 않는다”면서 “반면 ... ...
한국에'인공태양'이 뜬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있다. 영하 268.5℃의 초전도 자석에 1억℃의 뜨거운 플라스마를 가둬놓는 상극의
기술
이 만나 빚어낼 새로운 핵융합에너지. KSTAR는 벌써부터 세계를 설레게 한다.KSTAR 기네스1. 초전도 자석에 들어간 초전도 선을 모두 이으면 길이가 약 1만2000km다. 지구의 지름과 거의 비슷한 길이. 이 정도면 서울과 ... ...
2. 세포의 달콤살벌한 하루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합성해 기미나 주근깨 같은 색소를 침착해 피부색을 칙칙하게 만든다. 아모레퍼시픽
기술
연구원 피부과학연구소 최현정 선임연구원은 “피부가 자외선을 받아 검게 그을리는 현상은 피부세포가 일종의 ‘방어 작용’을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자외선은 피부세포 아래쪽에 위치한 멜라닌 ... ...
조향사, 전자코와 한판 승부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한란은 최근 그 개체수가 급격히 줄며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지난 2001년 아모레퍼시픽
기술
연구원은 제주 한란의 향기를 재현해 향수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바람이 불지 않는 온실에서 한란의 향기를 포집해 분석하면 알코올이나 케톤, 알데히드 같은 향을 이루는 화학성분을 알 수 있다. 멸종 ... ...
이전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