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합성생물, 차세대 게놈 클럽 주인공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사는 사람들은 바닥에 고인 물이 중금속에 오염된 줄 모르고 그냥 먹는 경우가 많은
데
이 캡슐을 물에 풀면 물속에 중금속이 포함돼 있는지 측정할 수 있다. 우리가 직접 만든 합성생물이 여러 사람을 구할 수 있다니 얼마나 멋진 일인가. 독자들은 어떤 생물을 만들고 싶은지. 차세대 게놈 클럽의 ... ...
PART 2. 진동은 피곤해!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등 형태와 목적도 다양하다. 특히 전신진동운동은 골다공증 환자들이 골밀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임용택 고려대 교수는 2005년 ‘코칭능력개발지’에서 “전신진동운동의 효과는 웨이트트레이닝이나 달리기와 같은 전통적인 형태의 운동에 비해 결코 뒤떨어지지 않는다. 연구결과 ... ...
트랜스포머 무한변신의 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중이다. 이미 작은 지향성 스피커 12개를 묶어 소리가 특정한 방향에서 들리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각 스피커에서 나는 소리를 컴퓨터로 조절해 오른쪽과 왼쪽 귀에 각각 다른 소리가 들리도록 만들었다. 이 스피커가 있으면 현재 5.1채널 스피커처럼 각각의 스피커를 전후좌우에 설치할 필요 없이 ... ...
[life & tech] 사장님과 말단사원, 누가 더 스트레스 받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스트레스를 받는 정도에 큰 차이가 난다. 부여다사랑병원 최명기 원장은 “생활하는
데
충분한 여유를 갖고 있는 사람들조차 ‘먹고 살자고 일한다’는 얘기를 한다”며 “이는 우리 뇌의 진화상태가 여전히 석기시대에 머무르고 있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일의 형태는 바뀌었지만 우리 마음은 ... ...
생태계의 보고 갯벌, 시민이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을 후계자도 생겼다.이 지역 주민들은 갯벌체험이 갯벌을 파괴하기보다는 보전하는
데
직접 도움이 된다고 믿고 있다. 기타무라 카즈히라 카시마 시 부시장은 “습지인 갯벌을 장기적으로 보전하면서 지역도 활성화시키는 것이 목적”이라며 “어업과 농업을 함께 체험하는 새로운 체험 관광 ... ...
최종병기 활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기 마련이다. 이 궤도는 성이나 요새 같은 구조물을 공격하는
데
실제로 유용하다. 포신을 하늘 방향으로 올려 쏘는 곡사포는 대표적인 장치다.하지만 영화에 등장하는 곡사법은 흥미를 더하기 위해 고안된 가상의 기술인것처럼 보인다. 화살이 중력으로 인해 떨어지는 수직 ... ...
스마트 그리드와 함께 멋진 인생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원동력이 되고 있다. 이런 유연한 인생 철학이 졸업 후 회사에서 다양한 업무를 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됐음은 물론이다.필자는 졸업 후 현재 스마트 그리드 선도기업인 LS산전에 입사했다. 입사 후 초기에는 ‘전력IT’ 분야를 연구했다. 전력IT는 말 그대로 전력과 IT를 융합한 기술 분야로 현재의 ... ...
아시아 이공계 대학이 뜬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후학을 양성하려 한다”며 “이들이 아시아 대학을 개방적이고 창의적으로 바꾸는
데
일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구 풍토도 좋아졌다. 과거에는 정치적인 이유로 아시아의 국가들이 함께 공동 연구를 하거나 상호 협력하는 일이 드물었다. 하지만 1990년대 들면서 대학과 연구 기관을 주축으로 ... ...
수학 - 기하학과 대수학의 만남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고등학교 교과서의 단원 중 이름을 가장 잘 붙인 것을 꼽으라면 ‘도형의 방정식’이다. 이 단원은 도형(기하)과 방정식(대수)을 동시에 다룰 수 있는 수학적 도구를 제공한다. 또한 두 영역을 종합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한
데
카르트의 좌표기하학은 사고의 창의적 확장을 보여주는 좋은 예다. ...
Part 2. 게놈 클럽 신분증 직접 만들어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읽다보면 유전자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표지가 있다”며 “이 표지 사이의 염기서열을
데
이터베이스에 넣어 기존 유전자와 비슷한 것을 새 유전자로 지정할 수 있다”고 연구 방법을 설명했다. 이 작업을 계속 반복해 전체 게놈에서 유전자들이 어떤 크기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모두 알아내면 ... ...
이전
667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