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소
d라이브러리
"
데
"(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숫자 마술 부리는 신기한 수9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숫자 중 하나를 제외하고 3개를 알려준다면 나머지 숫자도 알 수 있을까?그렇다. 그런
데
어떻게 알 수 있는 것일까? 임의의 4자리의 자연수를 다시 배열해 얻은 큰 숫자를 1000a+100b+10c+d, 작은 숫자를 1000b+100c+10d+a라 하면 그 차는 999a-900b-90c-9d=9(111a-100b-10c-d)로 9의 배수가 되기 ...
시베리아 횡단열차 살인미수 사건 ②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이것저것을 모은다. 이내 도형은 앤의 은색 머리핀, 크리스의 은색 장식이 달린 펜,
데
이비드의 은색 회중시계, 브릭의 퍼즐 스크랩북을 들고 허풍에게 달려간다.“최대한 비슷해 보이는 걸 모아 왔어요. 공통점을 찾아야 한다고 하셨잖아요. 브릭 아저씨는 다들 가지고 있던 은색 물건이 없어서 그냥 ... ...
특목고 입시 기획 ① 왜 수학영재학교는 없나?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금융이나 경제 전문가를 목표로 진학한 사례가 있다. 금융 분야나 경제학을 공부하는
데
에 수학 능력 못지 않게 영어 능력도 중요하기 때문이다. 외국 대학을 준비하거나 대학 진학 뒤 대학원 과정에서 유학을 생각하거나 외국기업에 취업하려고 할 때 외국어 능력이 매우 중요하다. 이런 이유로 ... ...
그래핀의 변화 모습 눈으로 본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번 연구는 그래핀과 다른 물질을 합성할 때 필수적인 ‘도핑 기술’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이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8월 19일자에 실렸다 ... ...
올해 IMO에서 한국 13위, 대책은?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최근 5년간의 IMO에서 1차례를 제외하고는 모두 1위 자리를 지켰다. 단순히 인구가 많은
데
서오는 결과로 보기엔 중국 대표팀의 실력이 너무나 탄탄하다. 중국은 지역별 예선이 활성화돼 있다. 전국 대회까지 오는 1~2년의 과정에서 치열한 경쟁을 뚫기 위해 체계적으로 준비한다.러시아와 미국도 ... ...
PART 3 영재들은 왜 갖고 노는 걸까?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야. 스도쿠의 아버지격인 라틴방진을 만든 장본인이니까. 그런
데
오일러의 이름만 거론되면 슬픈 두 남자가 있어. 1979년 미국퍼즐 잡지인 ‘델지’ 에 스도쿠 문제를 처음 소개한 하워드 간즈와 스도쿠라는 이름을 처음으로 붙인 일본퍼즐 잡지인 ‘노코리’ 의 카지 마키 ... ...
감성을 읽는 수학의 눈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디지털 기기로 대부분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를 꼽는다. 소비자가 애플 제품에 열광하는 이유는 뭘까? 전문가들은 애플이 사람의 감성에 ... 추가했다. 동공을 조절하는 홍채 근육은 눈이 피로해지면 그 조절 속도가 느려지는
데
, 이 속도를 측정한 것이다 ... ...
뇌 흉내 내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시냅스가 하는 일과 비슷하다. 이같은 인지 컴퓨터는 궁극적으로 인간행동을 이해하는
데
쓸 수 있다. 프로젝트 리더인 IBM의 다멘드라 모다 박사는 “인간의 뇌를 역공학으로 분석해 마음을 재창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이번에 개발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두 개다. 하나는 262,144개의 ... ...
DNA벽돌로 나노 만리장성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2차원 구조물이다. 오리가미(종이접기)가 2차원인 종이를 접어 3차원의 구조물을 만드는
데
서 그 이름을 따왔다.연구자들은 마치 조각퍼즐처럼 모서리에 요철이 있는 DNA 오리가미를 만들어 이 조각들이 맞물리며 스스로 조립돼 하나의 구조물을 만들게 했다. DNA 오리가미 표면의 형태나 미세구조를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관점에서 흥미로운 일”이라며 “이 물질이 초기 지구에서 생명이 탄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우주먼지처럼 우주의 유기물질이 초기 지구로 유입돼 지구에서 생명이 탄생하게 됐다는 가설을 처음 발표한 사람은 스페인의 생화학자 후안 오로 박사다. ... ...
이전
670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