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력은 열정에 비례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아이폰용 버스 시간 관리 앱을 개발해서 유명세를 얻은 고등학생이 있었다. 꼭 그만큼
큰
성과를 바라는 건 아니다. 일단 도전해보고 좋아하는 일을 파고드는 열정을 나타내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보람이 있다. 문제는 L학생의 내신 성적이다. 특목고에 다니다 보니까 내신 성적을 잘 받기가 쉽지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언젠가는 가능해질 것이다. 인류의 미래를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해보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Q. 생각해 봅시다 지금의 기술력으로는 행성에 인공적으로 자기장을 만드는 것이 어렵다. 그래서 자기장이 있는 행성이나 하전 입자가 적게 도달하는 위치의 행성을 찾아야 한다. 하전 입자가 적게 ... ...
맞춤의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않게 하는 약물 ‘와파린’은 경우 CYP2C9라는 효소의 SNP 유형에 따라 약물 분해 효율이
큰
차이가 난다. 분해 효율이 낮은 사람은 정상 복용량에도 출혈이 일어나는 부작용을 보인다. 따라서 복용량을 줄여야 한다.암 치료법도 크게 달라진다. 암을 고치기 어려운 건 원인이 무척 다양해 딱 맞는 ... ...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구조물이 되므로 자연재해나 테러로 무너진다면 사상 최악의 재난이 일어난다. 무엇보다
큰
문제는 돈이다. 우주엘리베이터를 연구하고 건설하는 데는 엄청난 비용이 들어간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주여행이 흔한 일이 되어야 한다. 관광 같은 다양한 목적으로 떠나는 우주여행이 ... ...
Part 1. 한의학은 과학이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간 손상 같은 부작용이 있는 기존 소염진통제와는 달리 별다른 부작용 이 없는 것도
큰
장점”이라고 덧붙였다. 한약은 독이다? [지난해 한의학연구원은 자주 복용하는 25가지 한약처방에 대한 중금속, 농약 검사를 실시해 안전하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최근에는 동물독성실험도 시작해 1차로 두 ... ...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많은 사람들이 연예인 사진을 들고 와 허황된 꿈을 꾸거나, 자기 외모와 어울리지 않게
큰
눈이나 높은 코를 요구했다. 한가인처럼 코를 오뚝하게 만들거나 한예슬처럼 눈을 크게 만들어도 결코 그들과 똑같은 얼굴을 재현할 수는 없다. 오히려 자기의 원래 외모보다 나빠질 가능성도 있다. 눈이 크고 ... ...
세계의 과학문화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추락하고 있다.기술적 진보로 무한대의 채널이 가능한 상황에서 특정 채널이 시청자를
큰
폭으로 점유하는 일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이다. 그런데 놀랍게도 월간 잡지는 세계 어디에서나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것은 잡지시장이 계속 넓어지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왜 그럴까.세계 속의 ... ...
과학동아 특집 ‘코리아노사우루스’ 정식 학명 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했다”며 “특집 기사가 한반도의 공룡을 새롭게 조명하고 대중의 관심을 모으는
큰
계기가 됐다”고 밝혔다.코리아노사우루스는 길이가 약 2.4m인 소형 조각류 공룡으로 목뼈 갈비뼈 척추 등 50여 점의 화석이 발굴됐다. 약 8500만 년 전 한반도에 살았던 초식 공룡이다. 이 명칭은 EBS가 2008년 방영한 ... ...
국내 연구진 배추 염색체 해독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브로콜리, 양배추 등과 함께 추과에 속하는 작물로, 앞으로 다양한 작물을 연구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국립농업과학원 유전자분석개발과 문정환 박사팀은 10개의 배추 염색체 중 2번 염색체를 완전히 분석해 그 결과를 ‘유전체생물학(Genome Biology)’ 11월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국, 일본, ... ...
익룡은 장대높이뛰기 선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가로지를 만큼 긴 거리를 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위튼 교수는 “몸집이
큰
새는 대부분 날개짓을 하기 전에 두 발로 달린 후 뛰어오른다”며 “몸집이 작은 새만 정지 상태에서 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연구팀은 “익룡은 화석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거의 한 세기 동안 연구가 이뤄지지 ... ...
이전
668
669
670
671
672
673
674
675
6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