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육 선진국 스웨덴·핀란드 교사단, 한국에서 한 수 배우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만들 수 있대. 작은 구조물을 만들고 싶다면 가위로 연결봉을 잘라 사용하면 되고,
큰
구조물을 만들고 싶다면 연결봉을 여러 개 연결해서 사용하면 되지. 또 여러 종류의 연결대를 이용해 0°부터 360°까지 다 표현할 수 있어. 특히 무게가 가벼워서 거대한 구조물을 만들어도 위험하지 않아. 이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않을 수 있다. 거꾸로 두 선수가 같은 가속도로 달려오다 부딪혔다면 이 때는 질량이
큰
선수가 유리하다. 이럴 때 몸집이 상대적으로 작은 축구 선수들은 몸의 무게 중심을 낮추는 등 다른 기술을 쓴다.성공적인 패스 비법은?상대편 선수에게 공을 뺏길 수도 있는 급박한 상황에서 공을 정확하게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오목판에 돌을 둘 수 있는 경우의 수는 (15×15)!=225!로 약 10105이다. 읽을수 없을 정도로
큰
수다 보니 경우의 수를 일일이 따져 가며 오목을 두는 것도 불가능하다. 돌 하나를 두기 위해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돌을 놓을 수 있는 곳의 가치를 매겨 높은 곳의 경우만 따져가며 ... ...
체조에 만점이 없는 수학적 이유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80~90cm인 후프를 바닥이나 몸 위로 굴리는 연기, 후프를 통과하는 연기가 특색이다.
큰
원이 주는 아름다움이 매력적이다.✚ 공지름 18~20cm인 공을 바닥에 튀기거나 몸 위로 굴리는 연기와 손이 아닌 무릎과 등, 배로 튀기는 연기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공을 완전히 움켜쥐거나 두 손으로 받으면 ... ...
피라미드에 숨겨진 퍼즐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많이 남아 4개를 더 만들었죠. 만든 피라미드를 쌓았더니…. 앗! 놀라운 일이 벌어졌어요!
큰
정사면체에 정팔면체 모양의 구멍이 생긴 거예요. 삼각형으로 정사면체와 정팔면체를 모두 표현한 거죠. 제 작품 어떤가요 ... ...
삼각형 내각의 합 ≠ 180°?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탄생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삼각형 내각의 합은 지구 같은 구 위에서 180°보다
큰
반면, 말안장 같은 쌍곡면에서는 180°보다 작다(본지 91쪽 참조). 즉‘삼각형 내각의 합 > 180° 또는 삼각형 내각의 합 < 180°’라는 부등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평면에서 성립하는‘삼각형 내각의 합 = 180° 라는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외계의 박테리아가 먹이로 삼는 물질이 사람의 몸을 이루는 물질과 같다면 인류에게는
큰
위협이 된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박테리아와 달리 스스로 증식하지 못하고 숙주를 이용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숙주의 유전물질을 이용하는데, 외계생명체와 지구생명체가 유전물질이 같을 가능성은 매우 ... ...
탄소 중매쟁이 노벨상 거머쥐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합성법 가운데 팔라듐촉매 교차결합 반응법이야 말로 유기화합물을 만드는 데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했다. 미국화학회 회장인 퍼듀대조셉 프랜시스코 교수도 “이들의 업적이 인정받는 건 시기의 문제였을 뿐”이라며 노벨상 선정이 당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4~5년 전 은퇴해 현재 아내의 ... ...
한국 인공태양 핵융합 리더가 되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한국은 핵융합 기술 발전에 특히 유리하며, 이미 세계 핵융합 연구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평가했다.TER와 IAEA와 같은 국제기구에서 이렇게 한국의 역할을 강조하는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먼저 한국의 핵융합실험로 KSTAR의 기술이 ITER에 적용된 기술과 같기 때문이다. 초전도 자석을 ... ...
불치병 콕 찍어내는 뇌단백질체 지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장비는 한국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국제 프로젝트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기초연은 이 외에도 7T짜리 FT-ICR과 말디-토프 질량분석기도 보유하고 있어 뇌단백질체 지도를 만드는 데 다른 선진국보다도 유리한 인프라를 갖추고 있다.기초연의 박영목 박사와 유종신 박사는 ... ...
이전
671
672
673
674
675
676
677
678
6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