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뉴스
"
밑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온난화 알고보니 2세기 전 산업혁명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바다 속 질소는 바다
밑
바닥에 사는 미생물들이 만들어내는데, 지구가 더워진 탓에 바다
밑
바닥에서 만들어진 질소가 위쪽 바닷물과 섞이지 못하고 아래쪽에 쌓여 산호에 침전되는 양이 점점 늘어났다는 뜻이다. 연구팀은 “바닷물이 따듯해지기 시작한 1800년대가 산업혁명으로 인간이 ... ...
점인 줄 알았는데 암?… 내 손발은 괜찮나
동아일보
l
2014.01.03
반점 형태로 손발에 나타나는데 우리나라 사람들은 평소 눈에 잘 띄지 않는 발바닥, 손톱
밑
에 자주 발생한다. 이 병은 동양인에 비해 서양인에게 나타나는 빈도가 높아 서양암으로 알려져 왔다. 주로 유전적 요인과 과도한 햇빛 노출이 주된 발병 원인으로 추정된다. 문제는 흑색종을 일반적인 ... ...
남극 빙하 녹는 속도, 최근 느려져
동아사이언스
l
2014.01.03
빙하의 경우 지형적인 요인도 빙하의 녹는 속도에 변화를 준 것으로 분석됐다. 주변 바다
밑
에서 발견된 산마루가 문턱 역할을 해서 바닥을 따라 유입되는 따뜻한 해류의 공급을 방해한 것이다. 극지연구소 신형철 책임연구원은 “앞으로 해수면의 냉수 층이 계속 두꺼워진다면 빙하가 녹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있는 IBM연구소에 들어가서는 반강자성체를 연구했다. 반강자성은 자성체가 특정 온도
밑
에서 이웃한 원자의 자기모멘트가 서로 상쇄돼 전체적으로 자성이 없는 상태가 되는 성질이다. 1970년대 들어 로러는 물질의 표면구조로 관심을 옮겼는데, 막상 연구를 하려하자 마땅한 실험도구가 없다는 ... ...
과기계 고질적 ‘손톱
밑
가시’ 빼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7
기술 사업화를 가로막는 ‘손톱
밑
가시’를 빼, 과학기술의 실제 활용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미래창조과학부는 민·관 합동으로 선정한 18개 과제에 대한 ‘과학기술규제 개선방안’을 국무회의에 보고했다고 17일 밝혔다. 특히 눈에 띄는 부분은 수소충전소용 저장용기에 대한 기준을 ... ...
[토요일에 만난 사람]‘발명왕 의사선생님’ 이희영 박사
동아일보
l
2013.12.16
해외에서도 인기가 높았다. 양악수술은 크게 절개해야 하지만 각진 턱만 깎으면 턱
밑
에 1cm만 상처를 내고 윤곽기를 투입해 수술하면 끝이다. 수술한 뒤 밴드 하나 붙이고 바로 병원을 나갈 수 있다. 이 박사는 2002년 세계 최초로 지방 이식기를 만들었다. 지방을 분리해 다시 넣는 과정을 간단하게 한 ... ...
[청년드림]“日기업들은 스펙 아닌 비전을 더 꼼꼼히 봐요”
동아일보
l
2013.12.11
내는 입사 지원서는 어떻게 쓰는 게 효율적인가. “‘엄격한 아버지, 상냥한 어머니
밑
에 장녀로 태어나…’같이 고리타분한 입사 지원서가 의외로 많다. 이건 ‘나를 떨어뜨려 달라’고 말하는 것과 같다. 채용 담당자가 알고 싶은 것은 당신이 어떤 능력을 가지고 있고, 우리 회사에 기여할 수 ... ...
과학교육, 신명나고 정확하게!
동아사이언스
l
2013.12.03
보여줘야 한다”라고 말했다. 재미있는 놀이 경험이 쌓여 아이들 스스로 사고할 수 있는
밑
바탕이 되기 때문이다. 교사는 아이들에게 정답을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경험을 제공해 스스로 답을 생각하도록 탐구의욕을 북돋아 줘야 한다. 이런 자유탐구활동을 통해 논리를 기반으로 하는 ... ...
침몰한 배에 보물이? "걱정마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12.01
효과를 낸다는 방침이다. 로봇 설계를 맡은 타비 살루메 연구원은 “난파선은 바다
밑
에 가라앉아 있기 때문에 프로펠러 추진기가 요란하게 돌아가면 바닥 침전물이 금세 바닷물과 뒤섞여 시야가 탁해질 수 있다”며 “유-캣은 물갈퀴를 조용히 움직여 바닷물을 자극하지 않은 상태에서 ... ...
어린아이 크기의 금관
동아사이언스
l
2013.11.26
하는데 왼쪽 뒤통수가 더 기울게 했다. 지금도 산동성과 강소성 북부에서는 아이머리
밑
에 책 같은 딱딱한 물건을 받쳐놓아 뒤통수를 납작하게 한다. 이들은 이렇게 하여 머리 모양이 사방형으로 되면 아이가 똑똑해 보인다고 생각한다. 헌강왕 11년(885년), 왕은 최치원에게 882년에 입적한 ... ...
이전
64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