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뉴스
"
밑
"(으)로 총 734건 검색되었습니다.
18일만에 전력경보 ‘준비’ 발령
동아일보
l
2013.07.10
전력 경보가 내려진 것은 5월 23일 이후 이번이 14번째다. ‘준비’는 예비전력이 450만 kW
밑
으로 한 번이라도 떨어지거나 20분 이상 500만 kW 미만을 유지할 경우 발령되며 ‘준비’ ‘관심’ ‘주의’ ‘경계’ ‘심각’ 등 총 5개 경보 단계 중 가장 낮은 수위다. 전력거래소는 이날 전력 경보가 발령된 ... ...
국제전화 목소리도… 스마트폰 데이터도… 海에게서 USER에게
동아일보
l
2013.07.09
상당 부분을 할애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으로도 안 되는 일이 있다. 바로 지진이나 바다
밑
화산 분출이다. 해저 광케이블은 2006년 대만 지진,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크게 훼손돼 국제전화가 먹통이 되고 인터넷 속도도 크게 떨어졌다. 이윽고 선로 점검이 막바지에 이르렀다. 홍 팀장과 팀원들은 ... ...
아시아나기, “착륙 5분전 교신” vs “착륙 직후 교신”… 5분 미스터리
동아일보
l
2013.07.08
아시아나항공은 이 노선을 매일 운행한다. 이날 214편은 오전 3시 18분에 고도 1만 피트
밑
으로 떨어졌다. 이어 불과 10분 만에 지상으로 ‘급강하’했다. 반면 전날 동일한 노선을 운항한 아시아나 항공기는 착륙 31분 전에 1만 피트 이하로 하강했다. 사고가 난 비행기는 고도 1만 피트에서 지상까지 ... ...
[채널A] ‘폴댄스’가 퇴폐라고?…봉춤, 척추 건강에 최고!
채널A
l
2013.07.04
안 됩니다. 배 앞쪽에서 척추를 잡아주는 횡복근과, 디스크 옆에 있는 다열근, 척추 맨
밑
에 있는 골반기저근은 모두 척추심부근육으로 외부 충격에서 척추를 보호합니다. [인터뷰: 이서정 / L 폴스튜디오 수강생] 폴은 전신 근력 운동이어서 온 몸의 근육을 다 써요. 푸쉬업 하면 10개도 못했거든요. ...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plum pudding)’으로 불리는 모형이다. 물론 전자가 건포도다. 케임브리지에서 톰슨
밑
에 있던 러더퍼드는 빅토리아대로 자리를 옮겨 이런 저런 실험을 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방사성 원소인 라듐에서 나오는 알파선(헬륨이온)을 금박에 투과시키는 실험이었다. 알파선 대다수는 금박을 통과했지만 ... ...
“삼겹살과는 담쌓고, 매일 10분이라도 더 주무세요”
동아일보
l
2013.07.01
많이 먹지 말라고 조언했다. 고기를 먹는 데도 요령이 필요하다. 닭고기는 지방이 껍질
밑
에 가장 많다. 따라서 껍질을 벗긴 후 삶아 먹으면 지방을 덜 흡수할 수 있다. 돼지고기는 삼겹살 대신 지방이 적은 등심이나 안심 부위가 좋다. 국내 50세 이상 여성은 칼슘 섭취량이 적은 편이다. 뼈엉성증 ... ...
태양계 외부에서 슈퍼지구 3개 발견…생명체 살까?
동아일보
l
2013.06.27
생명체 포착? 정체는 - [영상] 사막 미스터리 구슬 포착, 보라색 외계 생명체? - 남극 빙상
밑
호수에서 생명체 징후 발견 - [영상] 투명 개구리, 심장까지 다보여… 외계생명체? - 사람 얼굴에 다리 8개…괴생명체 출현에 충격 [☞모바일서비스 바로가기][☞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 ...
며칠을 못참고… 제돌이 친구 1마리 탈출
동아일보
l
2013.06.24
돌고래 2마리는 가두리에 남아 있는 상태. 가두리 시설을 점검한 결과 수중 그물망
밑
부분에 30cm가량 찢어진 곳을 통해 ‘D-38’이 바다로 나간 것으로 보인다. 20일 제4호 태풍 ‘리피(LEEPI)’의 간접 영향을 받아 가두리 시설 그물이 바위에 찢긴 것으로 추정된다. 돌고래방류 책임을 맡고 있는 김병엽 ... ...
부자동네 한 가운데 자리잡은 왕릉
동아사이언스
l
2013.06.23
음력 5월 10일이 되면 비가 왔는데 이 비를 ‘태종우(太宗雨)’라고 하며 헌릉의 혼유석
밑
하전석의 네모난 구멍 속에 있는 물을 태종우가 고였다고 한다. 학자들이 특별히 헌인릉에 주목하는 것은 400년 이상의 시간차를 두고 조성된 두 개의 왕릉이 있으므로 조선 초기와 후기의 왕릉 양식을 한 ... ...
[최형국의 무예 이야기]조선시대 화약 제조
동아일보
l
2013.05.24
많아 할당량을 채우기가 늘 어려웠다. 그래서 비상시에는 국왕이 살고 있는 궁궐의 처마
밑
이나 화장실 근처 흙도 죄다 퍼내 화약재료로 사용하기도 했다. 이렇게 구한 흙은 곱게 태운 재를 섞어 물에 녹이는 ‘사수’라는 과정을 거쳤다. 이를 가마솥에 넣고 끓였다가 채에 걸러 고운 침전물을 모은 ... ...
이전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