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한쪽"(으)로 총 8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 개는 배고픈 나에게 음식을 나눠줄까?2016.06.30
- 실험내용은 이렇습니다. 분리된 구역에 각각 개를 한 마리씩 둡니다. 이 때 한쪽 개(주는 개)가 우리 안에 있는 끈을 당기면 연결된 트레이가 움직여 다른 구역에 있는 개가 먹이를 얻게 됩니다. 즉 주는 개의 결정으로 다른 구역의 개는 먹이가 올려져 있는 트레이를 제공받게 되는 것이지요. 실험 ... ...
- 기차가 지나는 축구 경기장?2016.06.21
- 축구장이다. 축구 경기가 한창 진행 중인데, 연기를 내뿜는 기차가 다가온다. 축구장 한쪽에 철로가 있다. 사람들은 축구를 한다. 기차는 축구장을 스쳐지나간다. 관람객들은 기차와 축구 모두를 즐기는 것처럼 보인다. 만화 같은, 이 풍경은 슬로바키아에 가면 실제로 구경할 수 있다. 슬로바키아 ... ...
- [WWDC16 ①] 이름 바꾼 ‘맥OS’, 무엇이 달라졌나?2016.06.14
- 복사해서 맥으로 옮기려면 문서를 만들거나 메모에 먼저 붙여넣어야 했다. 이제는 한쪽 기기에서 ‘복사’를 누르면 클립보드가 아이클라우드로 동기화돼서 다른 기기에서 ‘붙여넣기’를 누르면 저절로 당겨서 붙는다. 여러 기기를 쓴다면 매우 유용한 기능이다. 바탕화면도 동기화된다. 이미 ... ...
- 뒤뚱뒤뚱 두꺼비, 사실은 평형감각의 달인?2016.06.14
- 것을 볼 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밝혔습니다. 원통을 넘어가며 안정적인 착지를 위해 한쪽 다리를 길게 뻗은 모습(왼쪽), 45도 경사진 표면에 착지하는 모습(오른쪽) - 바이올로지 레터스 제공 마지막 실험으로, 두꺼비가 45도 경사진 표면에 착지하는 상황을 만들고 그 모습을 관찰했습니다. 그 결과, ... ...
- 혐오의 시대, 정신장애인의 인권은 어디에..2016.05.28
- 이 이슈에 대해서 사회적 갈등이 너무나도 고조되어, 어떤 주장을 하면 자칫 한쪽 입장만 옹호한다고 매도당하기 십상입니다(사실, 필자도 원고을 쓰면서 며칠을 망설였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신장애인은 스스로 여론을 만들거나 대응할 수 있는 힘이 취약하기 때문에, 이러한 분위기에 ... ...
- [REVIEW] 프로 애플러 기자가 직접 쓴 아이패드 프로 9.7 사용기2016.05.26
- 스테레오라고 했지만 세로로 세웠을 때나 그렇지 가로로 눕혔을 때는 모든 소리가 한쪽으로 쏠렸다. 음악 들을 때야 그렇다 쳐도 비디오 콘텐츠 볼 때는 달갑지 않은 부분이었다. 최호섭 제공 아이패드 프로 9.7의 스피커는 아이패드 프로 12.9에서 쓰였던 그 방식 그대로 들어간다. 어떤 방향으로 ... ...
- 연구자와 시민이 함께 멸종위기종 살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5.26
- 수원청개구리 복원사업으로 이어졌다. 지난해 농어촌공사의 지원을 받아 일월저수지 한쪽 구석에 서식지를 조성하게 된 것이다. 연구팀은 7월, 8월 2차에 걸쳐 연구실에서 키운 수원청개구리의 어린 성체 150마리를 방사했다. 그리고 9개월이 지난 올해 5월 18일, 수원청개구리 7개체의 울음소리를 ... ...
- [파토의 화성특급] 당신은 화성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다2016.05.23
- 갖고 있으며, 미국의 절반 크기에 달하는 충돌 분화구가 선명하게 남아 있다. 게다가 한쪽 절반은 아무래도 왕창 뜯겨 나간 것 같다. 이 모든 것들은 화성에 어느 시점에 하늘로부터 거대한 재앙이 다가왔었다는 사실을 꽤나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그렇다면 그 재앙이 화성을 멸망시킨 걸까? 그 ... ...
- [책의 향기]21년 전 사라진 삼풍백화점, 그날의 기록동아일보 l2016.05.21
- 쇼핑을 마치고 정문을 나오는 순간 백화점이 무너졌다. 사촌누나는 건물 파편에 맞아 한쪽 눈을 실명했다. 어머니는 지금도 사이렌 소리를 들으면 불안증세와 간질증세를 보인다. 1995년 6월 29일 오후 5시 57분, 3초 만에 무너진 삼풍백화점 사고에 관한 기록이다. 6·25전쟁 이후 단일 사건으로는 최대 ... ...
- 우리 몸속에도 ‘복선(複線) 기찻길’이 다닌다2016.05.08
- 이번 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미세소관 속 2개의 세관이 기찻길처럼 한쪽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는 구조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편모간수송(IFT)라고 불리는 이 메커니즘은 세포의 생장에 필수적으로, IFT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우리 몸은 질환에 걸리게 된다. 가이야 ... ...
이전646566676869707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