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의 세계에 빠~져 봅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여성과학계의 노벨상이라고 부르는‘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을 우리나라에서
처음
으로 받은 과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유명희 단장님이세요. 단장님은 단백질의 모임인 프로테옴을 연구하는 프로테오믹스 사업단을 이끌고 있답니다. 그런데 프로테옴이란 무엇일까요? 궁금하다면 우리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우수해 무전기 라디오 등 통신기기의 고주파절연재로 널리 쓰였다 1937년 미국에서
처음
상업생산됐는데 공중합물을 합치면 현재 PE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다 투명성 고주파절연성 단열성이 우수하며 착색이 쉽고 가볍다 반면 충격에 약하고 내열성이 좋지않다는 단점이 있다 일반용(GPPS) 고충격용 ... ...
문학의 강에서 과학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사회에서 SF가 문학도 과학도 아닌 오락물로만 여겨져 온 것이 첫 번째 이유이다. 1923년에
처음
쓰였다는 SF 대신에 ‘공상과학소설’이라는 명칭으로 줄곧 불릴 만큼, 우리나라에서 SF는 과학을 다루되 비과학적이고, 문학인 체하지만 비(非)문학적이라는 혹평을 받아왔다. 이 때문에 문학 연구자들은 ... ...
허블의 우주팽창 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한 획을 그을 만큼 중요한 발견이었다. 하지만 허블도 100% 정확하지는 않았다. 허블이
처음
에 얻은 허블상수 500km/s/Mpc은 그가 거리를 잘못 추정해서 얻은 오차가 매우 큰 값이었다. 물론 이 때문에 은하의 거리와 후퇴 속도 사이에 존재하는 비례 관계가 무너진 것은 아니었다. 이후 허블상수를 좀 더 ... ...
한밤에 다리 건너기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학문적으로 연구해왔다. 2002년 6월 뉴질랜드의 크리스찬과 엘레나 칼루데 부부가
처음
으로 이 문제의 일반적인 풀이법을 제시했다. 그런데 불행히도 겨우 두 달 뒤 독일의 귄터 로테 교수는 그들의 풀이가 틀렸음을 밝혔다. 로테 교수는 자신의 논문 ‘밤에 다리 건너기’(Crossing the Bridge at Night)에서 ... ...
이 행성에선 태양이 3개 뜬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161개의 외계 행성이 발견됐지만 하나 이상의 태양을 둔 행성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
이다. SF영화 ‘스타워즈’에 쌍둥이 태양을 가진 것으로 그려진 행성의 이름을 따 ‘타투인 행성’이라 명명된 이 행성은 하와이 마우나케아에 있는 케크 망원경으로 발견됐으며 표면온도가 1000℃에 달해 ... ...
2. 공포는 마음속에 있는 거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이는 태어날 때부터 갖는 유전적 본능과 후천적 경험이 모두 작용하는 것이다. 고양이를
처음
보는 생쥐도 일단 냄새를 맡으면 줄행랑을 치는 건 본능이고, 전선을 물어뜯던 생쥐가 감전된 뒤 전선을 피하는 건 경험이다. 호랑아, 무섭게 생겨서 고마워포식자와 피식자 간 공포유발 관계는 ... ...
즉석필름카메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1948년 미국 폴라로이드사에서 즉석카메라가
처음
나왔을 당시 그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출시된 첫해 판매량만 650만대에 이르렀으니 말이다. 셔터버튼만 누르고 불과 2~3분 안에 사진을 쥘 수 있다는 점은 디지털시대에도 즉석카메라가 살아남을 수 있었던 가장 큰 이유다. 순수한 화학반응만을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얼굴을 전체적으로 평가한 뒤 저장돼 있는 자료와 비교한다. 이 과정에서 아는 얼굴인지,
처음
보는 얼굴인지, 닮았는지 파악한다. 마지막으로 뇌 전방이 활성화되면서 이름, 직업 등의 신상정보를 얼굴과 연결시킨다.뇌의 이런 과정은 얼굴인식기술에도 응용된다. 현재 얼굴인식에 사용되는 방법은 ... ...
갈림길에선 한국의 천문 연구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Matir)로 결정됐다. 마우나케아산 못지않은 최적의 관측지였다.하지만 대형 광학망원경을
처음
으로 설계해 제작하기란 녹록치 않은 작업이다. 그만큼 모험이 뒤따른다. 하지만 미국 마젤란천문대에서 현재 운용 중인 6.5m쌍망원경을 모방할 계획이기 때문에 위험 부담과 예산이 대폭 줄어든다.더욱 ... ...
이전
688
689
690
691
692
693
694
695
6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