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랑은 키스를 부른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이 놀이는 ‘더블릿’(doublet) 또는 ‘단어 사다리’(word ladder)라 불린다. 이 놀이를
처음
만든 사람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저자 루이스 캐럴이다.우선 문제의 답은 다음과 같다.HEAD → HEAL → TEAL → TELL → TALL → TAIL수학퍼즐에 웬 영어퍼즐이냐고 의아해 하는 분들이 있겠지만, 별 것 아니게 . ...
아인슈타인 뇌에 담긴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뇌를 보관한 통의 첫 글자를 기억하라. 그러면 그것이 공식이니라.’아인슈타인의 뇌는
처음
코스터 사과주(CostaCider)라고 쓰인 곳에 보관되어 있었다. 과연 암호에 담긴 공식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썰렁 홈즈의 정답첫 번째 문제의 답미로를 따라가 보자. 미로의 끝에는‘E’라는 문자가 나타나 ... ...
지구를 흔드는 허리케인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허리케인이 지구를 뒤흔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머서대의 랜달 피터스 교수는 허리케인이 약한 지진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지구를 흔들어 놓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뉴사 ... 거대한 지진에 이어 관측된 적은 있지만, 허리케인이 그 원인으로 밝혀진 것은 이번이
처음
이다 ... ...
미션 투 스페이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우주의 문이 열리기 시작했다. 2003년 컬럼비아 참사 이후
처음
으로 우주왕복선이 우주로 향한다. 매년 수차례 지구에 나타났다 사라지는 혜성의‘보물창고’가 무엇인지, 딥임팩트가 그 수수께끼를 풀어줄 단서를 찾는데 성공했다. 인간의 열정과 끈기로 이뤄낸 무한 우주 도전 스토리를 소개한다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우주왕복선의 주된 임무는 국제우주정거장을 건설하는 것. 디스커버리는 1984년 11월 8일
처음
발사돼 우주에서 위성을 수거하고 수리 공사를 진행했다. 이번에도 13일간 우주에 머물며 여러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기본적인 임무는 그간 진행이 지지부진한 국제우주정거장의 건설을 계속하는 것. 이를 ... ...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방향을 맞추기가 쉽지 않다.1986년 옛 소련의 우주전 베가 1호와 2호가 핼리혜성의 핵으로
처음
접근했다. 이들은 혜성에 8889km까지 접근해 사진을 찍었지만 사진은 뿌옇기만 했다. 베가 2호는 먼지에 부딪쳐 작동이 중단됐다. 2002년에는 NASA의 혜성탐사선 콘투어가 혜성을 향해 가다 궤도를 수정하는 ... ...
3. 공포증의 물귀신 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단, 가장 쉬운 상황이나 대상부터 단계적으로 시작해야 한다. 뱀공포증이 있는 사람은
처음
부터 뱀을 직접 보는 훈련보다는 뱀 그림부터 보는 게 좋다. 또 두려워하는 상황에 충분한 시간동안 머물러야 한다. 너무 짧게 머물면 더이상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깨닫기 전에 그만두게 되기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주사하고 영상장치로 촬영했어요. 실제로 혈관생성이 촉진돼 혈액 흐름이 원활해졌죠.
처음
주입한 줄기세포의 2~5%가 심장근육에 남아있다는 것도 확인했어요. 치료할 때 줄기세포를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 알 수 있게 될 겁니다.이배아 : (혼잣말로) 김 소장, 역시 명성다운걸. 그런데유명세치고 정말 ... ...
계절마다 별의 위치가 다른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있다. 그의 발표는 1842년 재관측 후에야 인정받았다.연주시차의 발견을 정리해보면,
처음
시차를 관측한 사람은 1833년 핸더슨이었다. 그러나 그가 발표한 것은 1839년이었으며 그나마 1842년에야 인정됐다. 스트루베는 1836년 관측해 1837년에 발표했으나 1839년 오차가 큰 값을 다시 발표하는 실수를 ... ...
과학교사는 전문가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한국가상캠퍼스에서 원격교육을 실시해 ‘베스트 티처’(Best Teacher)상을 받았다.“
처음
에는 ‘이론적으로 당연한 건데 실험 장치는 왜 만드나’하는 시각도 있었습니다. 그러나 물리현상의 본질적인 의미를 가르치기 위해선 실제로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죠. 연수 중에도 늘 실험 장치를 들고 다니며 ... ...
이전
690
691
692
693
694
695
696
697
6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