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숄더
견부
책임
사명
어깨 부분
shoulder
d라이브러리
"
어깨
"(으)로 총 702건 검색되었습니다.
20대 박사들
과학동아
l
198703
20대 박사가 양산되고 있다. 이는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우리나라 과학기술계를 양
어깨
에 짊어진 이들은 대학에서 연구소에서 산업현장에서 어떠한 각오로 임하고 있을까. 우리나라에도 본격적인 20대 박사 시대가 열리고 있다. 서울대 87년 2월 박사학위 수여자(이학박사, 공학박사)의 면모를 ... ...
우리아저씨의 해당 빙하기 마지막 단계에서 사라진 네안델탈인
과학동아
l
198702
위해서 마르셀 오토교수를 중심으로 모여들었다. 잊혀져 있던 그 원시인간은 축쳐진
어깨
에 구부정한 무릎을 하고 몸집은 깡말라 있었다. 그들의 관심을 끌었던 네안델탈인의 원시적인 성격과 현대적인 성격과의 복합적인 양상은 모두 다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것이었다. 네안델탈인은 그들의 ... ...
PART6 광자공학재료 광컴퓨터가 탄생한다
과학동아
l
198702
25년간 광자공학재료의 제조기술은 전자공학에서의 실리콘의 순화기술 개발과
어깨
를 견줄 정도로 발전을 이룩했다. 유리속에서의 광흡수의 감소는 전형적인 예이다. 만일 오늘날 가장 우수한 광섬유용 유리로 16㎞두께의 유리창을 만들었을때의 투명도가 2.5㎝두께의 보통 유리창보다 높다는 ... ...
PC수출의 기수 박성규박사, 올해의 인물로 선정
과학동아
l
198701
대우통신 부사장에 재직 중이다."당연한 일을 한 것에 불과한데 이렇게 뽑아주어 오히려
어깨
가 무겁다"고 겸손해하는 박박사는 16비트 PC '모델D'를 개발, 10개월만에 수출 10만대를 기록한 공로로 작년 과학의 날 동탑산업훈장을 받은 바 있다 ... ...
PART2 비약적인 기술혁신의 비결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01
쫓았기 때무에 바람의 저항도 없고 힘도 덜 들며 페이스의 조절도 쉬웠는데, 이제 미국과
어깨
를 나란히 해 선두를 다투는 입장에서는 스스로 진로를 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런 입장에서 일본의 과학기술청과 통산성은 80년부터 '과학기술입국'의 슬로건을 내걸고 있다. 이때 기술전쟁의 ... ...
PART2 로보토피아의 실현 새로운 산업사회와 메카트로닉스
과학동아
l
198701
대우 및 현대자동차의 차체 조립라인에도 이미 수십대씩의 로보트가 투입되어 인간과
어깨
를 나란히 수행하고 있다. 로보트는 차체조립을 위하여 7백 군데가 넘는 곳을 일일히 찾아서 응접해 줄 뿐만아니라, 볼트를 체결해 주고, 모서리에 접착제도 발라 주며, 완성된 차에는 페인트까지 깨끗이 ... ...
PART1 하이테크에서의 일본의 기술력 세계제일은 시간문제인가
과학동아
l
198701
고속전송이 가능하여 중장거리의 대용량전송에는 불가피하다.이 분야에서 미국 일본은
어깨
를 나란히 개발경쟁을 벌이고 있다. 1970년 미국과 일본은 상온연속발진의 길을 연 단파장 반도체레이저를 동시 개발했다. 이 새로운 레이저의 출현을 AP통신은 '전자공학분야에서 트랜지스터가 진공관을 ... ...
인체 내부를 들여다보는 내시경
과학동아
l
198701
관절경이 주로 무릎관절에만 사용돼왔으나 내시경 수술기법의 발전으로 점차
어깨
관절 엉덩이관절 발목관절 팔꿈치관절 손마디관절 등에까지 적용범위가 넓어지고 있다.□복강내시경의 활용복강경(복강내시경)은 산부인과분야에서 활용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복부에 조그만 구멍을 뚫고 ... ...
휴대용 스팅거미사일 결함 아프간에서 실증
과학동아
l
198612
드러났다.70년대초에 개발돼 미국이 제3세계 동맹국들에 많이 보급시킨스팅거는
어깨
에 메고 다닐 수 있고 쉽게 재장전이 된다는점에서 군사전문가들의 환영을 받았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숙달된 엔지니어들이 제한된 상황에서 실험했을때의 일이고 실제로는 형편없는 무기라는 평판을 ... ...
한국고분자학회회장 김점식 박사
과학동아
l
198611
하겠지요.또 아라미드 섬유의 개발에서 보았듯이 연구의 수준에서도 선진국과
어깨
를 견줄만한 학자가 많습니다. 외국에 나가있는 한국인 고분자 학자도 50여명을 헤아리지요. 고분자 연구의 거점이라고 할만한 곳으로는 KAIST, 화학연구소 그리고 민간연구소로서 럭키중앙연구소를 꼽을 수 있고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