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젖가락
저
젓갈
저분
d라이브러리
"
젓가락
"(으)로 총 100건 검색되었습니다.
걸리버 여행기 과학으로 들여다보기
과학동아
l
200806
유지한 채 크기만 커졌다 작아졌다 할 수는 없다고 강조한다. 즉 소인국 사람들은 다리가
젓가락
처럼 얇아야 하고 거인국 사람들은 통나무처럼 굵어야 한다는 것. 왜 그럴까. 몸무게는 키의 3제곱으로 늘어나지만 힘은 제곱으로 늘어나기 때문이다. 공상만화에서 사람만한 개미가 여전히 ... ...
달콤살벌한 성형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03
얼굴) 위에 큰 상자를 덮고 상자 위에 조그만 창(입안 점막)을 뚫은 뒤 기다란 튀김용
젓가락
(수술 기구)으로 식사를 하는 것과 같다.지방흡입술 _ 혈전이 혈관 막을 수도 있어성형외과 의사 최용우(김성민 분)는 재건성형에 힘쓰는 의사다. 그는 살이 쪄서 지방흡입술을 하겠다며 찾아온 환자에게 ... ...
기상 퀘스트를 달성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5
굴절시킨 거야. 빛은 원래 똑바로 직진하지만물을 만나면 꺾여(굴절). 유리컵 속에 담긴
젓가락
이 꺾여 보이는 것이 빛의 굴절 때문이지.햇빛이 물방울을 만나면 빛은 한 번 꺾인 뒤 특정한 각도로 물방울에서 되돌아 나와. 빨간 색은 약 42도, 보라색은 약 40도 벌어져 물방울에서 나오지.무지개는 ... ...
미래 공학도, 날개 펼칠 둥지 찾기
과학동아
l
200709
입학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해졌다.10m 높이에서 계란을 떨어뜨려도 깨지지 않도록 나무
젓가락
, 신문지 같은 재료로 계란을 담을 바구니를 만드는 ‘에그 드롭 콘테스트’(Egg Drop Contest)도 함께한 친구들의 실력을 엿볼 수 있어 좋았다.김 군은 “과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돌아본 시간도 의미 ... ...
거꾸로 굴절하는 빛, 법정에 서다?
과학동아
l
200709
예측하기는 했지만 공상과학소설 같은 얘기였죠.예를 들어 물이 담긴 컵에 담긴
젓가락
은 부러진 것처럼 반대방향으로 꺾여 보일 테고,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의 초점 맺는 방식이 서로 뒤바뀌고 말겁니다. 한 과학자가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증거로 제출합니다.재판장:좋습니다. 증거를 보여주세요 ... ...
과학 행사 평정 비법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8
안 보이게끔 꽁꽁 싸면 떨어뜨려도 안전하다고 생각하는 친구들 말이에요. 그래서 나무
젓가락
이나 빨대로 달걀 주위를 빙~ 둘러서 김밥처럼 싸는 친구들이 많아요. 하지만 이렇게 만든 달걀은 틀림없이 깨진답니다. 달걀을 보호할 수 있는 과학 원리를 생각하고 만들어야 해요. 달걀이 눈에 안 ... ...
40억 년 묵은 바다맛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
만든 나무모형을 넣고 물이 없어질 때까지 기다려 보렴. 물이 증발하면서 소금이 나무
젓가락
에 붙어 하얀 소금나무가 만들어진단다. 소금물처럼 바닷물에도 소금과 다른 물질들이 녹아 있어서 바닷물을 증발시키면 하얀 물질이 남지. 이것을 염류라고 한단다.바닷물에 든 염류의 양을 염분이라고 ... ...
2 놀라운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9
때문에 손재주가 좋다는 이야기 많이 들어 봤죠? 정교한 움직임과 힘 조절이 필요한
젓가락
을 사용하면서 손기술이 좋아진 거죠. 가장 오래된 가위는 기원전 1000년에 그리스에서 만들어진 것이라고 해요. 가위가 이렇게 오래 전부터 있었다는 사실이 놀랍죠?둘이 함께 연주해딱딱딱 딱딱~, 징~♪♬ ...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2
그려진 종이 두 장이 있다.2 그림이 없는 면에 풀을 바르고 두 종이를 붙인다. 이 때 나무
젓가락
을 종이 사이에 넣고 함께 붙인다.3 완성된 그림판을 빠르게 회전시키면 새가 새장에 들어 있는 것처럼 보인다 ... ...
나노 화폭에 펼친 명장의 솜씨
과학동아
l
200605
많지 않다. 더구나 깨알 수천 개를 정확하게 한 줄로 늘어놓을 수 있는 사람이라면 ‘
젓가락
질 고수’에 가깝다.여기서 조금 더 나가보자. 머리카락 굵기의 1만분의 1밖에 안 되는 입자를 원하는 모양대로 늘여 세운다면?나노입자제어기술연구단을 이끄는 서울대 기계공학과 최만수(49) 교수는 눈에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