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쪽
남녘
남녁
리바이스
남향
남방셔츠
셔츠
뉴스
"
남방
"(으)로 총 183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짝반짝 작은 별? 사실은 쌍둥이 초거대 별!
과학동아
l
2021.07.08
2012년 4월 유럽
남방
천문대(ESO)의 비스타(Vista) 망원경이 지구에서 약 2만 5000광년 떨어져 있고, 태양보다 100배 큰 별(항성)인 ‘VVV-WIT-08’이 갑작스럽게 밝기의 97% 잃은 뒤, 약 200일 동안 어두워진 상태로 있다가 다시 빛나는 현상을 포착했다. 초거대 별이 몇 달 동안 별빛이 희미해졌다가 밝아지는 ... ...
겨울철 밝은 별 베텔게우스가 한때 빛 잃은 이유, 먼지구름 때문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17
부분에 위치한 별이다. 유럽
남방
천문대 제공 연구팀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설치된 유럽
남방
천문대 초대형망원경을 이용해 2019년 1월과 12월, 지난해 1월과 3월 베텔게우스를 촬영하고 영상을 비교했다. 그 결과 지구 북반구에서 볼 때를 기준으로 이 시기 별의 왼쪽 아랫부분이 평소의 10분의 1 ... ...
드론이 밝혀준 범고래 사회 생활…"더 친한" 개체 존재
연합뉴스
l
2021.06.16
밝혔다. 연구팀은 '고래연구센터'(CWR)가 심각한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된 북태평양 '
남방
정주돌고래'를 대상으로 40여년간 수집한 자료를 토대로 총 651분에 달하는 드론 촬영물을 분석해 결과를 내놓았다. 연구팀은 범고래가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는 무리 내에서도 특정 개체와의 상호작용을 더 ... ...
"우리 은하, 점진적으로 진화한 우주의 평범한 은하일 수도"
연합뉴스
l
2021.05.25
(The Astrophysical Journal Letter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칠레 아타카마 사막에 설치된 유럽
남방
천문대(ESO) 초거대망원경(VLT)의 '다중 분광 익스플로러'(MUSE)를 이용해 UGC 10738을 관측했다. 이 은하는 우리 은하처럼 수소 및 헬륨 대비 철의 비중이 낮은 오래된 별이 모여있는 두꺼운 원반과 중원소 ... ...
태양계 안팎 혜성 대기서 철·니켈 등 중금속 원소 첫 확인
연합뉴스
l
2021.05.21
온 혜성의 대기에서도 니켈 증기가 확인돼 태양계 내 혜성과 공통점을 보였다. 유럽
남방
천문대(ESO)에 따르면 벨기에 리에주대학의 천문학자 장 망프루아가 이끄는 연구팀은 ESO의 초거대망원경(VLT)에 장착된 '자외선·가시광 에셸 분광기'(UVES) 자료로 혜성의 대기 성분을 분석해 철과 니켈 원소를 ... ...
상어도 바다거북처럼 지구 자기장 'GPS'로 활용해 장거리 이동
연합뉴스
l
2021.05.07
자기장에서는 특정한 방향으로 쏠리지 않을 것으로 예측됐다. 실험 결과, 보닛헤드는
남방
자기장과 원래 포획된 곳의 자기장에서는 연구팀이 사전에 예측한 대로 움직였다. 그러나 북방 자기장에서도 일정한 방향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보닛헤드가 '고향'에서 북쪽으로는 ... ...
"전국 32개 해역 방사능 농도 연 1회→매월 공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26
제주
남방
해역 4개 지점은 한 달에 두 번 조사한다. 삼중수소 농도는 32개 지점 중 제주
남방
해역 4개 지점과 울릉도부근해역 2개 지점 등 총 6개 지점은 1년에 4번, 나머지 26개 지점은 연 1회 측정한다. 엄재식 원안위 위원장은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해양방출과 관련하여 국민안전을 ... ...
방류된 후쿠시마 오염수 이틀 내 추적한다
2021.04.13
경우 국내 해역 54개 정점에서 71개 정점으로 조사 지점을 늘렸다. 해수가 유입되는 제주
남방
해역 등 주요 6개 지점에 대해서는 연간 1회에서 연간 4회로 조사 횟수도 확대했다.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는 대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으로 옮겨져 방사성 핵종의 농도를 분석할 시료로 사용된다. ... ...
[동일본대지진 10년] 공중에서, 바다에서…韓 방사능 감시 이렇게 이뤄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퍼진 세슘137은 2019년까지 연간 1회 측정을 해 오다 지난해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제주
남방
해역 4개 정점은 한 달에 두 번으로 검사 횟수를 늘렸다. 김대지 KINS 환경방사능평가실장은 “해수 60L에 세슘137만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화학물질(AMP)을 넣어 침전시킨 뒤 침전물만 모아 분말로 만든다”며 ... ...
[동일본대지진 10년]지금도 한반도 바다 32곳에선 그날 흔적을 쫓고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2019년까지 세슘137 농도를 연간 1회 측정해오다가 지난해부터 해수가 유입되는 제주
남방
해역 4개 정점에 대해서는 한 달에 두 차례 시료를 채집해 분석하고 있다. 해수에서 세슘137의 농도를 확인하려면 전처리 과정이 복잡하다. 세슘137만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화학물질(AMP)을 넣어 침전시킨 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